$\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유통 고춧가루의 병원성 대장균 오염 및 대장균 저감화 방법
Efficient Treatment Methods for Reducing Escherichia coli Populations in Commercially-Available Red Pepper Powder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6, 2012년, pp.875 - 880  

송영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험연구소) ,  박세원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  천세철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  최미정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  정구춘 (건국대학교 화학과) ,  이시경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생산 유통 중인 50개의 시료 고춧가루에서 병원성 대장균 오염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병원성 대장균의 확인은 분자생물학적 방법인 PCR(polymerase chain reaction)법을 사용하였으며 4종류의 병원성 대장균(EAEC, EPEC, EHEC, ETEC)의 검출은 각각 target gene을 검출할 수 있는 primer와 반응시켜 시료 중 병원성 대장균의 종류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시료 50점 중 1점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되었으며 오염도는 2%이며, 병원성 대장균의 종류는 EAEC(장관 부착성 대장균, enteroadherent E. coli )형으로 확인되었다. 고춧가루 시료에 대장균 표준균주를 인위적으로 접종 후 시료에 알코올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처리하고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대장균수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은 대장균 수가 $1.2{\times}10^6$ cfu/mL로 검출되었고, 알코올 10% 처리하여 10분 경과하였을 경우 대장균 수는 $1.1{\times}10^6$ cfu/mL이었으나, 시료에 알코올 20% 이상의 농도로 처리한 실험군은 백배희석 시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에 고춧가루에 20%이상 농도로 10분 이상 알코올 침지 처리는 대장균 살균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대장균 표준군주를 접종한 시료에 UV를 시간별로 구분하여 조사 후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대장균 수를 확인한 결과 대조군의 대장균 수는 $5.0{\times}10^5$ cfu/mL이었으나 45분간 UV를 조사 후 확인한 대장균 수는 $1.0{\times}10^3$ cfu/mL이었고, 60분과 120분의 UV 조사 시 백배 희석한 시료에서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UV 조사 시 45분 경과시에 대장균 수는 $10^2$ cfu/mL 감소되었고, 60분 이상 UV조사 시 백배희석 시료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고춧가루 시료의 오염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ontamin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E.) coli in 50 types of red pepper powders collected domestically. Pathogenic E. coli was confirmed using real-time PCR to confirm the 4 types of EAEC, EPEC, EHEC and ETEC. One sample out of 50 was conta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식중독 발생과 직결된 병원성 대장균의 오염도 조사 자료는 전무하다. 따라서 국내에서 유통 중인 고춧가루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오염정도와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고춧가루의 병원성 대장균을 저감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춧가루 시료에 E.
  • 따라서 국내에서 유통 중인 고춧가루에서 병원성 대장균의 오염정도와 종류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고춧가루의 병원성 대장균을 저감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고춧가루 시료에 E. coli ATCC 11775를 배양 후 인위적으로 오염시켜 일정 농도로 희석한 알코올을 이용하였으며 또한 세척하는 것과 분쇄까지 공정을 마친 제품에 UV를 조사하여 병원성 대장균이 어느 정도 저감화될 수 있는지 두 가지 방법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고춧가루 살균처리 방법이 대장균의 오염감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추는 언제 우리나라에 전래되었습니까? 고추(Capsicum annuum L.)는 가지과에 속하는 식물로 남미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이며 유럽을 거쳐 우리나라에는 약 400여 년 전에 전래되었다(1). 단일작목으로 농업 총생산의 4.
대장균은 어디에 서식합니까? 일반 대장균과 병원성 대장균 사이에는 항원성에 차이가 있어, 균체를 구성하는 항원성분(균체항원: O항원, 협막 항원: K항원, 편모 항원: H항원)의 면역학적 특이성에 의해 구별되어 180여 종류의 O항원, 100종류의 K항원, 56종류의 H항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대장균은 동물 장관 내에 주로 서식하는 통성혐기성균으로 갓 태어난 신생 동물의 위장 관내에 서식하고 숙주의 공생관계를 유지하거나 질병을 유발한다. 대장균은 숙주의 면역 방어기전이 저하되거나 위장관 계통의 방어벽이 손상을 입었을 경우 장 점막에서 대량 증식하고 감염을 유발하여 요로계 감염, 창상 감염, 폐렴, 뇌막염, 패혈증을 일으킨다.
주정살균제품에 대한 법적 규정은 어떠합니까? 식품업계에서도 우동, 냉면 등의 제품에서 알코올을 적용하여 살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주정살균제품으로 구분한다(19). 또한 식품위생법의 식품 등의 기준 및 규격 고시에서 제1총칙 중 ‘주정처리라 함은 식품의 제조공정상 주정을 사용하여 제품을 침지하거나 분사하는 등의 방법을 말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규격 적용품목으로는 빵 또는 떡류와면류이고 제조 및 가공 기준 시 주정처리(주정 1% 이상 사용) 제품은 잔류 주정에 의한 품질변화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으며, 면류의 규격의 세균 수는 1 g당 1,000,000 이하(주정처리제품에 한한다)와 1 g당 100,000 이하(살균제품에 한한다)로 구분하여 정의되고 또한 대장균은 음성(주정처리제품에 한한다)으로 대장균군은 음성(살균제품에 한한다)으로 주정살균에 관하여 법적 규정들이 제시되어 있다(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IH. 1983. Hankook Shiksenghwalsa. Samyong Co., Seoul, Korea. p 190. 

  2. Shin HH, Lee SR. 1991. Attempts to estimate the use level of red pepper in kimchi and kochujang. Korea J Food Sci Tecnol 23: 301-305. 

  3. Govindarajan VS, Rajalakshmi D, Chand N. 1987. Capsicumproduction, technology, chemistry and quality. Part IV. Evaluation of quality. CRC Crit Rev Food Sci Nutr 25: 185-282. 

  4. Moon HW. 1974. Pathogenesis of enteric disease caused by Escherichia coli. Adv Vet Sci Comp Med 18: 179-211. 

  5. Nataro JP, Kaper JB. 1998. Diarrheagenic Escherichia coli. Clin Microbiol Rev 11: 142-201. 

  6. KCDC,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08. Legally notifiable communicable disease. from http://dis.mohw.go.kr/kcdchome.potal. 

  7. Lee SH, Lee HJ, Byun MW. 1997. Effects of ozone treatment and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al decontamin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462-467. 

  8. Kwon JH, Byun MW, Cho HO. 1984.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sterilization of red pepper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13: 188-192. 

  9. Song BS, Bark JN, Joe WJ, Hwan IJ, Kim JH, Choi JI, Byun MW, Lee JW. 2008. Gamma rays irradiated red pepper added sensory and microbiological quality attributes of stored musaengchae. International Symposium & Annual Meeting,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p 4-5. 

  10. Song YJ. 2012. Enumer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in red pepper powder and reduction efficiency by alcohol treatment and UV irradiation.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1. Kwak HS, Lee JS. 1997. Research on the detection of pathogenic E. coli and serotypes from meat. Proceedings of Korea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Conference on Comprehensive Health (twenty second). p 162. 

  12. Choi SK, Lee MH, Lee BH, Jung JY, Choi CS. 2010. Virulence factor profile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pork and chicken meats obtained from retail markets. J Kor Sci Ani Res 30: 148-153. 

  13. Bhan MK, Raj P, Levine MM, Kaper JB, Bhandari N, Srivastava R, Sazawal S. 1989.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associated with persistent diarrhea in a cohort of rural children in India. J Infect Dis 159: 1061-1064. 

  14. Bhan MK, Khoshoo V, Sommerfelt H, Raj P, Sazawal S, Srivastava R. 1989.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associated with nondysenteric persistent diarrhea. Pediatr Infect Dis J 8: 499-502. 

  15. Savarino SJ, Fasano A, Wartin BM, Levine MM, Guandalini S, Guerry P. 1993.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heatstable enterotoxin 1 represents another subfamily of E. coli heat-stable toxin. Proc Natl Acad Sci 90: 3093-3097. 

  16. Choi C, Kwon D, Chae C. 2001. Prevalence of the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heat-stable enterotoxin 1 and its relationship with fimbrial and enterotoxin genes in E. coli isolated from diarrheic piglets. J Vet Diagn Invest 13: 26-29. 

  17. Ishiguro F, Kyota Y, Mochizuki M, Horikawa T. 2005. An outbreak of diarrhea caused by Escherichia coli serogroup O139:HNM harboring a coding gene for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heat-stable enterotoxin 1 (astA) in fukui prefecture. Jpn J Infect Dis 58: 119-120. 

  18. Toshima H, Uenaka E, Bi Y, Nakamura H, Ogasawara J, Hase A, Kamate Y, Nishikawa Y. 2004. Detection and isolation of Escherichia coli with a coding gene for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heat stable enterotoxin 1 from food and comparison with fecal isolates. J Food Prot 67: 2117-2122. 

  19. KFDA. 2011.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5-15-1. 

  20. Jung JJ, Lee JH, Choi EJ, Kang ST. 2011. Effects of infrared pasteurization on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56-160. 

  21. Mok CK, Lee NH. 2009. Ultraviolet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in stainless steel cups. Food Eng Prog 13: 122-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