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토음식의 산업화가치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7 no.3, 2012년, pp.233 - 239  

최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한식 ((주)명소IMC) ,  박승현 (켄사스주립대) ,  이진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민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local cuisine. We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Delphi survey. The resulting evaluation indicator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nine sub-groups. The four groups were loca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토음식의 상품화를 통해 지역의 고유성과 장소성, 이미지를 제고하고 지역의 다양한 파급효과를 확산시키기 위해 산업화가 가능한 향토음식의 발굴과 잠재력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토음식이 산업화로 발전하기 위한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지표는 지역 향토음식 자원화 사업을 추진할 때 산업화 가치가 있는 품목 선정의 우선 순위를 정하거나 사후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러나 산업화로 성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인이 무엇이고 그러한 것을 평가하고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근거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토음식 산업화가치 평가 지표 개발 연구를 통해 잠재력 있는 향토음식을 발굴하고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실무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각 지역에서는 향토음식을 산업화하기 위한 가공상품화 또는 외식과의 연계 등을 추진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표가 사전 품목 선정 및 사후 평가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향토성, 맛·기능성, 기반성, 산업성의 대분류 4개와 전통성, 지역성, 식미성, 영양·기능성, 개발여건, 기술 수준, 권리화·정책, 시장성, 파급효과의 중분류 9개, 세부 측정항목 22개를 도출하였다. 또한 각 분류별 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표 간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향토음식 산업화가치 평가를 위한 기초적인 지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한 산업화 노력과 정책적인 추진을 위한 탐색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지표를 통해 향토음식산업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향후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지표개발을 기대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토음식의 특징은? 향토음식은 지역성을 기반으로 장소를 상품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들의 지역에 대한 정체성·소속감·자긍심 등을 확립시켜 주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이 & 최 2007). 향토음식을 상품화하여 산업화 하는 것은 식품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농산물의 소비촉진과 고용창출에 기여함과 동시에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나타난다.
Han 등(2007a)은 전통음식의 가치평가를 위해 어떤 평가 항목을 설정하였나? 전자의 연구로는 Han 등(2007a)의 전통음식의 가치평가 연구를 들 수 있다. 상기 연구에서 전통음식의 평가항목으로 맛, 색, 질감, 영양, 식재료, 특산물, 전통성, 대중성, 발전성, 지명성, 조리법, 가치성, 가격성의 13가지 항목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각 평가항목 중에서 중요한 항목은 맛, 색, 질감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순서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김치류, 떡류 등이 가치가 높은 전통음식으로 분석되었다.
성공한 한식당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후자의 연구로는 Lee(2009)가 한식의 산업화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을 위한 속성을 도출하였다. 성공한 한식당의 공통점으로는 음식의 맛, 서비스, 인테리어, 시설, 아이템의 선정에서 차별화하였다는 점이며, 브랜드의 고급화, 맛과 멋, 표준화된 매뉴얼과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Lee & Chung(2008)은 외식산업의 프랜차이즈 성공을 위해 본사경영, 본사마케팅, 운영시스템, 운영매뉴얼, 가맹점지원, 교육, 점포성장, 동질성, 지역 적응성, 시스템 적응, 고객 평가의 11개 평가요인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미희, 안옥선, 안윤수. 2007. 향토자원 산업화가치평가지표 개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 102 

  2. 농림수산식품부. 2009. 한식 세계화.산업화 추진계획 

  3. 박지윤. 2008. 전통향토음식의 사업화를 통한 소득 창출 사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2008. 10.) 자료집. pp 17-19 

  4. 이동필, 최경은. 2007. 향토음식산업의 육성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pp 164-167 

  5. 이영진. 2009. 향토음식의 개념과 조사연구과제. 실천민속학. 2:29-56 

  6. 한국관광공사. 2007. 음식관광 서비스 개선 중장기 계획 

  7. Bae YD. 2008. The Invention and Marketing of Local Fusion-Style Food. The Korean Folklore, 48:179-212 

  8. Ban YU, Joo KS, Jeong HK, Hwang GH. 2010. Developing Performance Evaluation Indicators of Eco-Industrial Park Demonstration Projects Using Expert Delphi Survey Method.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3(1):131-146 

  9. Han O. 1999. The Industrial Process Technology of Traditional Foods: The Recreation of Korean Food Culture and Search of Rice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the 45th Conference proceeding. pp 53-71 

  10. Hwang IJ. 1994. Food and contemporary Korean Society: Sociocultural Meanings of the Consumption of the Local Cuisine: The Case of the Chunchon Chicken Rib. Korean Society for Cultural Anthropology, 26:69-93 

  11. Han GJ, Lim YS, Kim HR a. 2007. Resident survey evalyating the degree of value plac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in the Kyunggi and Kangwon areas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124-139 

  12. Han GJ, Lim YS, Kim HR b. 2007. A study on the selection of Kyunggi area traditional Korean foods suitable for standard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factor analysis of the selec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511-529 

  13. Kim AJ. 2003. Industr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Nutritional Evaluation.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1):57-63 

  14. Lee JJ, Chung YH, 2008.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dicators and the practical models of the franchise system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 Hotel Resort Association, 7(1):133-153 

  15. Lee MA. 2009. The Industrialization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Korea Food.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4(1):21-32 

  16. Lee WS, Jung SG, Yoo JH, Kim KT. 2007. Determination of Weight on the Intergrated Indicators for Assessing Urban Sustainability. J.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3) 

  17.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3. The investigation-Excavation for the Industrial Health Functional Foods and Development of a Based on Technology of Property Right Protection, pp 201-205 

  18. Morris, C. & Buller, H. 2003. The local food sector: A preliminary assessment of its form and impact in Gloucestershire. British Food Journal, 105(8):559-566 

  19. Wikipedia website: http://ko.wikipedia.org/wiki/%EC%82%B0%EC%97%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