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창지역의 전통음식 개발 및 영양평가
A study on development and nutrient analysis of traditional food in the Sunchang area 원문보기

식품과학과 산업 = Food science and industry, v.50 no.4, 2017년, pp.82 - 91  

조계범 (한국지역산업연구원) ,  박상희 (한국지역산업연구원) ,  류두영 (전북 순창농업기술센터) ,  최현숙 (충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두복 (BK company 연구소) ,  정동옥 (초당대학교 외식조리창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음식에는 민족의 역사와 삶이 살아 숨 쉬고 있고, 그 자체로 문화적 및 영양학적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창군 전통음식의 가치를 바로 알고 계승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에 의한 키워드 중심으로 상차림을 개발하여 관능 및 영양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는 순창지역 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구상은 여성 85.0%, 남성 15.0%, 연령은 80대가 66.3%으로 가장 많고, 90대가 20%, 70대가 13.8% 순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에 의한 순창만의 스타일요소를 통해 키워드를 중심으로 36가지 메뉴를 발굴하여 순창고추장정식, 순창장수오곡밥상, 순창아리랑계절정식, 장발장정식, 순창장아찌밥상, 순창약념(藥念)밥상 등 여섯가지 상차림을 개발하였다. 순창전통 음식을 시식한 후의 맛은 순창고추장한정식 및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7로 가장 맛이 좋았고 모양 및 색은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6-3.7로 가장 좋았고, 향의 경우는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7로 가장 좋았다. 간은 순창고추장 한정식 및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7로 가장 잘 맞았고, 상품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8로 가장 높았다. 타제품와 차별성에서는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3.9로 가장 높았고, 또한 맛, 모양 및 색, 향, 간, 상품화 가능성 및 타 지역 전통음식 제품와 차별성에 대한 전체적인 견해는 순창고추장한정식 및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이 22로 가장 높았다. 따라서 여섯가지 주제별 식단 중 순창의 대표 특산물인 한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흑염소를 중심으로 5가지 쌈 채소, 오곡밥, 4가지 소스로 구성된 '순창고추장한정식'과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을 순창의 대표메뉴로 선정하였다. 순창의 대표메뉴인 순창고추장한정식 및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의 대중화전략에서는 맛의 대중화가 3.7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조리법의 표준화가 3.6, 그리고 적당한 가격이 3.0 순으로 나타났다. 홍보 전략에서는 지자체의 홍보가 3.6으로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대중매체의 홍보가 3.3, 그리고 지역 문화행사 홍보가 3.1 순으로 조사되었다. 순창고추장한정식 및 순창아리랑계절밥상에서 나트륨/칼륨비가 각각 1:1로 나타나서 심혈관계 질환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칼슘 함량은 순창고추장한정식 와 순창아리랑계절밥상에서 각각 468.5 mg와 482.5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순창 전통 음식 중에서 순창고추장한정식과 순창아리랑계절밥상은 다른 밥상에 비교해서 미네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들 음식을 과학화 및 상품화에 우선적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순창군 지역특산물을 주재료로 더 많이 활용한 메뉴 리뉴얼 및 신규메뉴 개발과 향후 순창 내 실제 판매를 위하여 메뉴들의 레시피를 간소화하고 조리과정을 간편화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전통음식의 상품화와 개발/보존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산학연계형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 and nutrient analysis of traditional food in the Sunchang area. A total 6 kinds of set tables was excavated from storytelling. Among set tables, taste and season food were the best in Sunchang gochujang hanjeongsik and Sunchang arirang seas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창군 전통음식의 가치를 바로 알고 계승·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에 의한 키워드 중심으로 상차림을 개발하여 관능 및 영양평가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순창군 전통음식의 가치를 바로 알고 계승·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음식 관련 스토리 추출하여 전통음식을 발굴하여 상차림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창지역 식생활 특징은 무엇인가? 그 밖에도 콩깨묵, 수제비, 콩과자, 밀국수, 젓갈부침개, 감장아찌, 보리 뱅이장아찌, 박주가리, 참게장 등도 자주 먹는 메뉴로 조사 되었다(7). 결론적으로 내륙지방의 특성상 해산물 보다는 잡곡류와 채소 및 나물류로 구성된 식단이 많았으며, 절기에 따른 세시 음식과 제철 식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저장 식품과 발효 식품을 만들어 먹음으로써 다른 계절에 부족하기 쉬운 식품을 보충할 수 있는 슬로푸드(slow food)의 식생활로 건강을 유지하여왔다.
전통 음식이란 무엇인가? 전통 음식은 옛날부터 우리 민족의 생활여건에 가장 알맞게 창안되어 전통문화와 함께 발전해 내려온 음식이다. 이러한 전통 음식은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하여 그 지역의 독특한 조리법에 의해 만들어진 다수의 주민이 한 세기 이상 선호해 오고 있는 음식으로 정의되며, 또한 고유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특징을 지니면서 지역 특성에 맞게 전승되어 현존하는 음식으로서 식생활에 유익하게 합리적으로 보존, 육성해 오는 소중한 민족의 유산이다(1). 우리나라 전통음식은 대략 1세기 이전부터 한국의 일상생활, 왕실, 반가의 화려했던 음식, 일반 서민의 소박한 음식, 향토음식을 통틀어 일컬으며, 한국 전통음식에서는 향토음식, 혼례음식, 절기음식, 제사음식 등이 있다.
전통음식을 전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사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전통음식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보편화되고 또 대가족제도에서 핵가족화, 서구식의 식생활의 유입,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식생활의 간편화, 인스턴트화의 가속화 등에 의하여 전통음식을 전승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전공학, 공중매체, 교역의 발달은 국가 및 지역 특산물의 국내보급을 확대시키는 기회가 되었고, 제철이 아니라도 사계절 언제나 먹을 수 있는 식품의 출현은 전통음식을 평준화하게 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rk BR, Jeong YJ. A study on traditional food of Kwangwondo as a cultural tourism product. Hallym Polytechnic University J. 30: 193-213 (2000) 

  2. Yun SS. Korean Food-history and the art of cooking. Suhaksa, 25-45 (1986) 

  3. Kim SO. Native local foods in Busan area. Food J. 1: 31-33 (2001) 

  4. Han JS, Han GP, Joe YS, Park KS, Kim HO, Jung JG. A survey on awareness and use for traditional foods of housewives in kyo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480-494 (2000) 

  5. Jun HJ, Lee HJ, Han YS. Native local foods of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5-15 (2000) 

  6. Son, JH. Food history of Korean. Jinro. 12-24 (2009) 

  7. Park, SC, Lee MS, Lee JJ, Han, KH.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honam longlive area. Seoul university (2005)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rlington, VA, USA. pp.431-438 (1984) 

  9. Jang SO, Woo ES. A study on consumer awareness, prefer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regarding local food-Focusing on Gyeongju area. Korean J. Culin. Res. 21: 154-170 (2015) 

  10. Jeong WS, Hwang SJ. A study on the percepti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local traditional food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Kyungsan city. Korean J. Culin. Res. 20: 120-132 (2014) 

  11. Min YH, Paik GS. A study perception of Kyung-Book local foods b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Cook Sci. 26: 72-78 (2010) 

  12. Carneiro G, Laferrere B, Zanella MT. Vitamin and mineral deficiency and glucose metabolism. e-SPEN J. 8: 73-79 (2013) 

  13. Seely S. Mineral deficiency and atherosclerosis. Am. Heart J. 97: 540-544 (1979) 

  14. Yoon YS, Oh SW. Sodium density and obesity. Eur. J. Clin. Nutr. 67: 141-146 (2013) 

  15. Lee JK. Food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 15-26 (2009) 

  16. Zacchia M, Abategiovanni, ML, Stratigis, S Capasso, G. Potassium: from physiology to clinical implications. Kidney Dis. 2: 72-79 (2016) 

  17. Michael Z.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Am. J. Clin. Nutr. 60: 644-645 (1994) 

  18. Chang HY, Hu YW, Yue CS, Wen YW, Yeh WT, Hsu LS, Tsai SY, Pan WH. Effect of potassium-enriched salt on cardiovascular mortality and medical expenses of elderly men. Am. J. Clin. Nutr. 83: 1289-1296 (2006) 

  19. Yang Q, Liu T, Kuklina EV, Flanders WD, Hong Y, Gillespie C, Chang MH, Gwinn M, Dowling N, Khoury MJ, Hu FB.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mortality among US adults: prospective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rch. Intern. Med. 171: 1183-1191 (2011) 

  20. Kim YA. Effect of dietary sodium on calcium metabolism in health young adult women. Korean J. Nutr. 20: 246-257 (19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