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립 완도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행태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
Visitor Behavior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n Provincial Wando-arboretum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8 no.1, 2012년, pp.37 - 45  

김민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진승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  박종석 (완도수목원) ,  안영상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  안기완 (전남대학교 산림자원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surveyed to visitor's user behavior and importance-satisfaction in the Provicial Wando-arboretum.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ost of the visitors are 40s and 50s and live in Jeonnam Region, Gwang-ju. The purpose of their visit was recreation, leisure or experience of a warm-temperat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완도수목원을 방문하는 이용객의 개인적 특성과 방문객들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완도수목원이 제공하는 시설물과 수목원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규명하여 이용객들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완도수목원 관리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10), 아직까지 외국의 식물원, 수목원의 사례를 답습하고 조성 및 관리에 있어서도 체계적인 이론보다도 운영자 및 시공자의 개인적인 경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Song and An 2008). 이에 본 연구는 완도수목원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용객들의 주 이용행태를 규명하고, 완도수목원이 보유하고 있는 산림자원과 이에 관련된 시설물에 대한 이용객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규명하여 앞으로 완도수목원이 지향해야 할 실제적인 수목원의 관리와 이용객들에게 제공해야 할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완도수목원만의 특색 있고 효율적인 운영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도수목원을 방문하는 이용객의 개인적 특성과 방문객들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이용객들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완도수목원 관리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이용객의 속성은 여성이 54%로 남성보다 약간 더 높았으며, 주방문 연령층은 40대와 50대의 장년층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상의 방문객이 58%로 나타났으며, 거주 지역은 전남 50.3%, 광주 20.9%로써 완도수목원의 지리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문객들의 52.3%가 10인 이상의 단체형태로 나타났으며, 가족단위 이용행태는 31.3%로 나타났다. 완도수목원의 인지경로는 43.0%가 ‘주변 분의 추천’이라는 항목이 가장 높았고 인터넷을 통해 알게 된 응답자는 8.8%에 불과했다. 이는 완도수목원의 주 방문연령층이 40-50대의 장년층이라는 점에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보다 적극적인 이용객 유치를 위해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홍보활동에도 행정의 중요성을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여행이나 특정 장소를 방문하고자 할 경우,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방문지 정보를 사전파악을 하고 있음 주지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정보제공 목적의 블로그 마케팅 홍보 또는 이벤트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방문자의 70.4%가 수목원관람에 2시간 미만을 소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방문 시에는 관람시간을 보다 할애하고자 하는 의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완도수목원의 역할과 시설의 중요도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중요도에 비하여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IPA분석에서 화장실, 학술연구 기능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운영, 홈페이지 관리·운영 항목은 중요하지만 만족도가 낮은 요인으로 나타나 이용객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른 요인보다 가장 우선시되어 관리·개선해야하는 중점적 관리항목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에서는 생물자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생물자원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의 토대이자 21세기 기간산업으로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미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서식생물들의 목록과 보호책을 세우는 등 생물자원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과 맞물려 식물원 및 수목원의 역할이 기존의 개념인 식물의 보존 및 전시에서 환경의 중요성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생물자원은 어떻게 대두되고 있는가? 21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생물자원은 인류의 지속가능한 국가발전의 토대이자 21세기 기간산업으로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요소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미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서식생물들의 목록과 보호책을 세우는 등 생물자원관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과 맞물려 식물원 및 수목원의 역할이 기존의 개념인 식물의 보존 및 전시에서 환경의 중요성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An YH. 2001. Green Environmentology. Taerim Press, Seoul. 

  2. Song DW, An YH. 2008. Improvement Plan and Presnet Condition of Botanical Garden and Arboretu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 Design 4: 37-42. 

  3. Lim YJ, Bae JG, Ju JS, Lee DS. 2008. An Analysis of Visito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y Visitor's Past Experience at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 47-55. 

  4. Kim JS, Oh DK, Kim SB. 2010. Visitor's Evaluation of Trail in the Hanbat Arboretum: A Cas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 404-413. 

  5. Hong SK, Kim JH, Kim YH, Kim SJ, Jang HC, Lee SH, Tae YL. 2010. Perceived Value, Sati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Arboretum Visito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 517-527. 

  6. Lee YY. 1999. Function and Role of Arboretum, Workshop for Specialization of Arboretum.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7. Lim YJ, Bae JG, Ju JS, Kim HJ. 2005.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9: 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