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특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532 - 543  

유리화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장윤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정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간의 방문 이용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및 충성도(재방문의향, 권유의향)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 모두 수목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서비스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나 이용객 충성도에 비해 평균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자연휴양림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 이용객 충성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수목원의 서비스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와 이용객 충성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목원 이용객의 전반적 만족도에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산림 및 휴양경관'이었으며 재방문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와 '시설이용요금'이, 권유의향은 '자연경관 체험콘텐츠'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국에 분포한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 이용객을 대상으로 공통된 항목을 동시에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여 두 산림휴양공간 간에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향후 이러한 전국 규모의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가 산림휴양공간 유형별 차별화된 운영전략 제시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산림휴양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을 아우르는 공통 조사항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불어 각각의 산림휴양공간의 조성목적에 부합하는 기능 발휘를 위해 서비스 콘텐츠를 선택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므로 해당 항목을 추가적으로 개발, 모듈화하여 공통 조사항목과 병행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and loyalty (revisit intention, recommendation intention) of recreational forests and arboretu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림청 산림복지통계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2019년에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추진한 「산림복지서비스 공간유형별 방문객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자연휴양림과 수목원 방문객의 이용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산림복지서비스 공간유형별 방문객 이용실태 조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전국에 분포한 자연휴양림과 수목원을 방문한 이용객을 대상으로 일관된 조사체계를 토대로 동시적으로 추진한 「산림복지서비스 공간유형별 방문객 이용실태 조사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두 산림휴양공간 간의 방문 이용특성과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및 충성도(재방문의향, 권유의향)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G.Y., Kim, T.I. and Kim, J.J. 2016. Visitor behavior and management strategy of recreation forest by ownership type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0(2): 41-55. 

  2. Choi, Y.S. and Lim, K.U. 2017. The effects of tourism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11): 63-77. 

  3. Choi, Y.S. 2020. Analysis of the effect of brand asset factors of arboretum on visitor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herb farm in Wo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4(1): 29-35. 

  4. Han, M.S., Jang, J.G., Park, S.H. and Park, J.G. 2018.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factors in Deagu arboretum. Chrysanthemum Exhibi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2(2): 71-78. 

  5. Han, S.Y. 2006. Determinant path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Expectation-Disconfirmation theo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5(3): 291-298. 

  6. Han, S.Y. and Kim, Y.P. 2014. Valuing service quality of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by the kano model.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340-340. 

  7. Hong, S.K., Kim, J.H., Kim, Y.H., Kim, S.J., Jang, H.C., Lee, S.H. and Tae, Y.L. 2010.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arboretum visitor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of Forest Science 99(4): 517-527. 

  8. Hyun, J.O., Kim, Y.S., Shin, H.T., Shin, K.K., Kim, J.I., Kim, J.G., Yoon, J.W. and Yi, M.H. 2012. The user's satisfactory analysis of botanical gardens and arboret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 13-24. 

  9. Jeon, M.J. and Sim, K.W. 2010. The effect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on loyalty: A case of 33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8): 961-969. 

  10. Kang, K.R. and Lee, K.C. 2009. Model study on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recreational fores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8(4): 435-443. 

  11. Kang, K.R. 2012. A study on operation strategy by multivariate regression of Deagu arboretum visitor's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1): 36-45. 

  12. Kim, M.H., Jin, S.H., Park, J.S., Ahn, Y.S. and An, K.W. 2012. Visitor behavior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in provincial Wando-arboretum. Journal of Forest Science 28(1): 37-45. 

  13. Koo, D.Y., Han, S.Y. and Sim, K.W. 2015. A study on change of satisfaction and loyalty according to the service quality of trail rid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9(3): 41-49. 

  14. Korea Forest Service. 2019. 2019 Korea Forest Service Annual Plan (Internal Materials). 

  15. Lee, C.H., Jeon, G.N., Lee, H.J. and Maeng, H.J. 2014. Investigation on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visitor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the aquatic plants exhibi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4): 521-533. 

  16. Lee, C.H., Choi, W.C., Song, Y.J., Nam, C.H., Kim, Y.J. and Maeng, H.J. 2015. Investigation on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the native chrysanthemum exhibition programs the improve exhibition effectiveness and to understand the native plants' value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8(3): 193-209. 

  17. Lee, J.J., Lee, H.T. and Cho, H.J. 2012. Influence of the natural forest service quality on user's satisfaction and demand for revisit-by focusing on five natural forest in Kyung-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64-73. 

  18. Lee, J.Y. 2012.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using national natural recreational forest in Gangwon-do on the intention to revisit.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3): 325-344. 

  19. Lee, S.H., Kang, S.K. and Han, S.Y. 2017. Development of visitor satisfaction model national Baedudaegan Arboretum by path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1(3): 57-65. 

  20. Lim, Y.J., Bae, J.K., Ju, J.S. and Kim, H.J. 2005. Analysis of visitors' behavior and satisfac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9(2): 21-27. 

  21. Lim, Y.J., Bae, J.K., Ju, J.S. and Lee, D.S. 2007. Evaluation of visitors' service quality in Korea Arboretum.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58-60. 

  22. Lim, Y.J., Bae, J.K., Ju, J.s. and Lee, D.S. 2008. An analysis of visitors motivation and satisfaction by visitors past experience at Korea National Arboretum: Comparison between first visit and revisi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2): 47-55. 

  23.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20. Forest Welfare Promotion Act. 

  24. Oh, M.J. 2020.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service user satisfaction on the reuse intentions of service user i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Disability & Employment 30(2): 49-70 

  25. Park, G., Yun, Y.J., Kil, S.H. and Rho, H.E. 2019. An improvement direction for increases of visitor satisfaction on arboretum by post-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d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7(2): 60-72. 

  26. Ryu, Y.S. 2019. A study on policy priority and satisfaction in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public arboretum: In the case of the Daegu Arboretu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8(9): 797-806. 

  27. Shin, H.T., Kim, S.J. and Sung, J.W. 2020. Key words analysis of arboretum and botanical garden using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24(2): 1-10. 

  28. Sim, K.W. and Lee, J.H. 2010. An examination of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of visitors' satisfaction on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63-70. 

  29. Song, J.H., Jin, H.Y., Maeng, H.J., Choi, W.K., Song, Y.J., Jeon, Y.C. and Lee, C.H. 2016. Investigation for satisfaction of facilities and programs of garden playground of Korea National Arboretum for spreading garden cultur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321-335. 

  30. Yoo, R.H., Lee, J.H. and Jang, Y.S. 2020. 52-hour workweek and change in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NIFoS Forest Policy Issue. No. 138. p.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