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적 함묵증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Sandplay Therapy for a Girl Suffering from Selective Mutism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3 no.1, 2012년, pp.41 - 62  

심희옥 (군산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sandplay therapy for a 4th grade girl suffering from selective mutism. Her selective mutism apparently began following an extremely embarrassing experience in kindergarten. Her symptoms were a combination of symbiotic, reactive and passive- aggressive type behavior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선택적 함묵증 아동은 전형적으로 부모나 형제자매와 같이 가까운 사람과는 집에서 말을 하는 것이 아무 문제없지만 일단 밖에 나가면 전혀 말을 하지 않는다. 제 3자가 보기에는 충분히 말을 할 수 있는 아이가 말을 안하는 것으로 보아 일부러 대화를 거부하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공생적 함묵증이란 무엇인가? Hayden(홍강의, 2005, 재인용) 선택적 함묵증을 가져오게 한 심리적 정신역동과 행동양상에 따라 공생형, 언어 공포형, 반응형, 수동-공격형 함묵증 4가지로 분류한다. 공생적 함묵증(symbiotic mutism)은 어머니와 강한 공생적 관계를 유지하며 자신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어머니에게 매달리고, 수줍어하고 예민하게 행동하는 형태이다. 언어 공포증적 함묵증(speech phobic mutism)은 일종의 말하기 공포증으로 말하는 것에 대한 강박적 불안을 보인다.
선택적 함묵증의 원인이 발생하는 원인으로 주장하는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선택적 함묵증의 원인은 서로 다양한 요인과 개인차가 있어 한마디로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어떤 연구자들은 아동이 겪은 충격적인 사건이나 환경의 변화와 같은 분명한 부정적인 생활 경험으로 함묵증이 생긴다고 하고, 가족 내 갈등의 결과로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기도 한다. 또한 아동의 성격특성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다양한 정신역동 때문에 함묵증이라는 증상이 나온다고 주장하기도 한다(Chung & Hong,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봉규(1999). 심리검사의 이론과 기법. 서울: 동문사. 

  2. 김동연 ? 공마리아 ? 최외선(2002). HTP와 KHTP 심리진단법. 서울: 동아문화사. 

  3. 신민섭 ? 김수경 ? 김용희 ? 김진영 ? 박혜근 ? 이혜란 외(2002).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서울: 학지사. 

  4. 오경자?이혜련?홍강의?하은혜(1997).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5. 이부영(2001). 아니마와 아니무스. 서울: 한길사. 

  6. 이부영(2002).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7. 임호찬(2008). 부모양육태도검사(Parenting Attitude Test, PAT). 서울: 마인드프레스. 

  8. 홍강의(2005). 소아정신의학. 서울: 중앙문화사. 

  9. Ackroyd, E. (1997). A dictionary of dream symbols (B. M. Kim, Trans.). Seoul:Korea Psychotherapy Institute.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10. Ammann, R. (1991). Healing and transformation in sandplay : Creative processes made visible. Chicago & Las Salle, Ill:Open court. 

  11. Ammann, R. (1994). The sandtray as a garden of the soul. Journal of Sandplay Therapy, 4(1), 46-65. 

  12. Boik, B. L., & Goodwin, E. A. (2000). Sandplay therapy : A step-by-step manual for psychotherapists of diverse orientations. New York, N Y : W. W. Norton & Company. 

  13. Bradway, K. (2001). Symbol dictionary:Symbolic meanings of sandplay images. Journal of Sandplay Therapy, 10(1), 9-110. 

  14. Brugler, B. (2011). Frozen in time ice and snow in sanplay therapy. Journal of Sandplay Therapy, 20(2), 127-140. 

  15. Chae, Y. S. (2000). Therapeutic case studies of maladjusted children with sanplay box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16. Choi, K. H. (2007). The case study on play therapy for a child who has selective mutism.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46(3), 51-71. 

  17. Choi, S. L. (2006). A case study of self-expression training program on a child with selective m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Jinju University, Seoul, Korea. 

  18. Chung, S. J., & Hong, K. O. (1995).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courses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Korea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6(1), 74-89. 

  19. Cooper, J. C. (1978). An illustrated encyclopaedia of traditional symbols. New York, NY:Thames & Hudson. 

  20. Jang, S. S. (2007). Effects of art therapy on problem behavior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Pyeungtack University, Seoul, Korea. 

  21. Kalff, D. M. (2003). Sandplay:A psychotherapeutic approach to the psyche. Cloverdale, CA:Temenos press. 

  22. Kawai, H. (1994). Sandplay therapy (J. K. Sim, Trans.). Seoul : Yangyoungkak (Original work published 1969). 

  23. Kim, J. H. (2006). The effect of Play Therapy on Self-concept and problem behaviour of child with selective m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Y. S. (1996).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sandplay through psychotherapy of kindergartner.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ocial Science, 2, 291-305. 

  25. Lee, K. M., & Kang. J. H. (2006). The effect of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in a child with elective mutism. The Journal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8(1), 43-62. 

  26. Neumann, E. (2010). The origin of consciousness (Y. K. Lee, Trans). Seoul : Analytical Psychology Center.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27. Park, J. J. (2010). Self-exp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by art-therapist's attitude and material for behavior problem of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Seoul, Korea. 

  28. Sharp, C. (2000). The lighthouse. Journal of Sandplay Therapy, 9(2), 85-97. 

  29. Shin, J. H., & Suh, Y. S. (2005). Mother intervention art therapy case study of the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2(1), 113-136. 

  30. Sim, H. O. (2011). A case study of a 5th grade girl from a divorced family recovering femininity through the sandplay therapy.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9(1), 55-65. 

  31. Weinrib, E. L. (2004). Images of the self:The sandplay therapy process. Cloverdale, CA : Temenos press. 

  32. Winter, R. (1999). Sandplay and ego development. Journal of Sandplay Therapy, 8(1), 91-105. 

  33. Yang, M. H., & Kim, H. S. (2006). The effects of stimulus fading with positive reinforcement on the speaking behaviors of a child with selective mutis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22(1), 29-47. 

  34. Yu, N. J. (1997). The linguistic therapy effect of sandplay on children with selective mutism.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4(1), 155- 1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