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DHD 치료에서 가족치료캠프의 적용
Application of Family Treatment Camp in Treatment of ADHD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3 no.2, 2012년, pp.82 - 89  

황병주 (마더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안동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재영 (청주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Demands for comprehensive and intensive treatment programs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who suffer from serious impairment in various psychosocial areas are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에 대한 통합적 치료형태로서의 캠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 사후 설문지를 이용한 객관적 변화를 평가하였고, 부모와 치료자들이 아동의 행동을 가정과 캠프 현장에서 관찰하는 주관적인 평가를 동시에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논의점들을 얻을 수 있었다.
  • 또한, 숲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힘든 것을 이겨내는 성취경험을 할 수 있고, 치료자, 부모, 또래와의 대인관계기술을 늘려 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라는 환경적 자극과 숲에서의 적절한 활동 및 체험집단간의 교류가 부정적 대인관계 개선, 친사회적 행동의 증가, 부모의 양육행동 개선과 같은 실질적 치료효과를 가져오는지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ADHD 아동의 정서 및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캠프라는 형태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캠프의 장소를 숲으로 정하였는데, 대상자들이 도시에서 벗어나는 색다른 경험을 할 수가 있고, 이를 통해 부모가 아동에게 집중적인 관심을 쏟을 수가 있으므로 평소 부정적인 평가에 익숙해져 있는 아동들에게 긍정적인 자기개념형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또한, 숲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힘든 것을 이겨내는 성취경험을 할 수 있고, 치료자, 부모, 또래와의 대인관계기술을 늘려 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 이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한 것으로서,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에 작용하는 부모역할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이다. 어머니가 아동에게 어떻게 대하는지에 대해 아동이 평가하도록 하였다. 부모의 돌봄과 과보호 두 가지 요인을 평가하며 각 문항은 0-3점으로 채점된다.
  • 6회 캠프가 끝난 다음인 2007년 9월 14일에 한양대학교병원에서 실시하였고, 9가족의 부모님(총 18명)이 참여하였다. 치료캠프의 취지와 목적, 진행상황에 대해 설명하여 아버지들의 질병에 대한 이해도 및 아동에 대한 관심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핵심 증상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주의산만과 과잉행동, 충동성을 핵심증상으로 가지며, 학령기 아동들에게서 3-5%의 유병률로 가장 흔히 나타나는 행동장애에 속한다.1)특히, 초기 아동기에 발병하여 만성 경과를 밟으면서 가정, 학교, 사회 등 여러 기능영역에 광범위한 지장을 초래하는 매우 중요한 질병이다.
ADHD 환자에게 행동치료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현재 시행되고 있는 ADHD의 치료법 중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것은 약물치료로서 주의력과 충동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5)과다활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등 ADHD의 핵심증상들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6)행동치료는 부모를 매개자로 삼아 아동의 긍정적 행동을 강화하고 부정적 행동을 줄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부모훈련은 아동의 비순종 행동을 줄이고 모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7) 사회기술훈련은 또래관계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교육하고, 다양한 갈등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하는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는 것으로, ADHD 아동의 부정적인 또래관계를 개선하고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ADHD 환자에게 약물치료법 적용시 효과는 무엇인가? 상기한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줄이기 위해 효과적인 아동기의 개입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ADHD에 대한 단일한 효과적 치료법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ADHD의 치료법 중 가장 일반적이고 효과적인 것은 약물치료로서 주의력과 충동조절능력을 향상시키고,5)과다활동과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등 ADHD의 핵심증상들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6)행동치료는 부모를 매개자로 삼아 아동의 긍정적 행동을 강화하고 부정적 행동을 줄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부모훈련은 아동의 비순종 행동을 줄이고 모자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2.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1990. 

  3. Hinshaw SP. Attention Deficits and Hyperactivity in Children. Thousand Oaks: Sage;1994. 

  4. Greene RW, Biederman J, Faraone SV, Sienna M, Garcia-Jetton J. Adolescent outcome of boy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nd social disability: results from a 4-year longitudinal follow-up study. J Consult Clin Psychol 1997;65:758-767. 

  5. Ahn D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Med Assoc 1995;38:1000-1007. 

  6. Firestone P, Kelly MJ, Goodman JT, Davey J.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 training and stimulant medication with hyperactives: a progress report. J Am Acad Child Psychiatry 1981;20:135-147. 

  7. Barkley RA, Guevremont DC, Anastopoulos AD, Fletcher KE. A comparison of three family therapy programs for treating family conflicts in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Consult Clin Psychol 1992;60:450-462. 

  8. Cousins LS, Weiss G. Parent training and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ow can they be combined for greater effectiveness? Can J Psychiatry 1993;38: 449-457. 

  9. Pisterman S, McGrath P, Firestone P, Goodman JT, Webster I, Mallory R. Outcome of parent-mediated treatment of preschoolers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hyperactivity. J Consult Clin Psychol 1989;57:628-635. 

  10. Firestone P, Crowe D, Goodman JT, McGrath P. Vicissitudes of follow-up studies: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 training and stimulant medication with hyperactives. Am J Orthopsychiatry 1986;56:184-194. 

  11. Pelham WE, Hinshaw SP. Behavioral intervention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Tuner SM, Calhoun KS, Adams HE, editors. Handbook of Clinical Behavior Therapy. New York: Wiley & Sons;1992. p.259-283. 

  12. Hong KE M, Oh KJ, Shin MS. Comparison of the treatment effects between medication only and medication-plus-parent training in ADHD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5;6: 65-73. 

  13. Kim SS, Ahn DH, Lee YH. The effects of the combined treatment of medication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 37:683-699. 

  14. Pelham WE, Hoza B. Intensive treatment: A summer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In: Euthymia DH, Peter SJ, editors.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 and adolescent disorders; Empirically based strategies for clinical practic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96. p.311-340. 

  15. Ahn DH, Kim SS. Oppositional child: manuals for clinicians performing assessment and parental training. Seoul: Hanaeuihaksa;1997. 

  16. Ahn DH, Kim SS, Han ES. Social skill training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eoul: Hakjisa;2004. 

  17.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 Bull 1985;21:995-998. 

  18.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0;29:943-956. 

  19. Spielberger CD. Preliminary Professional Manual for the Tes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1980. 

  20. Cho SC, Choi J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eoul J Psychiatry 1989;14:150-157. 

  21. Coopersmith 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Freeman;1967. 

  22. Pope AW, McChale SM, Craighead WE.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Pergamon Press;1988. 

  23. Choi BG, Jeon GY. Resear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elf-esteem inventory (1). J Korean Home Econ Assoc 1993;31:41-54. 

  24. Arthur LR, Sharon LF. Negotiating Parent-Adolescent conflict. New York: Guilford Press;1989. 

  25. Parker G, Tupling H, Brown LB.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 J Med Psychol 1979;52:1-10. 

  26. Song JY.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Korean version : evaluation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2;31:979-992. 

  27. Achenbach TM, Edelbrock C.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1983. 

  28. Oh KJ, Lee H, Hong KE, Ha EH. Korean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eoul: ChungAng Aptitude Publishing;1997. 

  29. Barkley RA. Defiant children: Parent-teacher assignments. New York: Guilford Press;1987. 

  30. Kim MK, Ahn DH, Lee YH. Analyses of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learning problem. Ment Health Res 1996;15:122-133. 

  31. Gresham FM, Elliott S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1990. 

  32. Han ES, Ahn DH, Lee YH. The social skills training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1;12:79-93. 

  33. Abidin RR. Paren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1990. 

  34. Kim TR, Park RG, Lee KS. Parental perceptions of child adjustment associated with parenting stress with autistic children. J Kor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2;3:106-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