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 및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2 no.2, 2012년, pp.131 - 138  

박형수 (국립축산과학원) ,  박남건 (국립축산과학원) ,  김종근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춘 (국립축산과학원) ,  임영철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준 (국립축산과학원) ,  이기원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을 위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 시험포장 (해발 200 m)에서 2007년 4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영년생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제주 자생형 (Ecotype)" 품종과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을 2007년 4월 22일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일은 5월 8일로 파종 후 16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수기는 버뮤다그라스 Common은 5월 28일, 바이하그라스 Tifton 9은 7월 4일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3년간 평균 건물수량은 Common이 16,749 kg/ha으로 Ecotype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에 있어서는 Tifton 9이 23,695 kg/ha으로 Argentine 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3.8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27.9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 (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5.48%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각각 70.90%, 70.44%로 두초종이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제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는 월동이 가능하여 여름철 조사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고 또한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어 말의 제상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방목용 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Bermudagrass cultivars evaluated were Common and Ecotype. Bahiagrass cultivars evaluated were Tifton 9 and Argentine. Two warm season grass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한지형 목초의 여름철 생산성 감소를 보완하고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주지역에 적합한 난지형 목초자원 선발 및 버뮤다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사초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각 작물에 대한 생육적온을 이해하는 것은 무엇에 중요한 요인인가? 식물이 생장함에 있어 외부기온은 식물의 적응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각 작물에 대한 생육적온을 이해한다는 것은그 지역에 적합한 작목을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산업화로 인한 기후 온난화의 영향은 농업분야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다.
난지형 목초의 일반적인 생육특성은 무엇인가? , 2007). 난지형 목초의 일반적인 생육특성은 한지형 목초 (cool season grasses)보다 초기 생육이 느려서 정착이 느린 반면 일단 정착이 되면 지속성이 우수하고 더위와 가뭄에 강하여 여름철 고온기에 생산성이 높은 것이 큰 특징이다. 버뮤다그라스는 우리나라에서 우산잔디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해안지방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많은 생태형이 존재한다.
버뮤다그라스의 번식방법과 이용목적은 무엇인가? 버뮤다그라스는 우리나라에서 우산잔디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해안지방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많은 생태형이 존재한다. 지하경과 포복경을 가지고 있으며 종자와 줄기로 번식하고 미국의 경우 남부지역에서 주로 건초와 방목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월동성과 생산성이 우수한 새로운 품종들이 육성되고 있다 (Burton and Hanna, 1995). 바히아그라스의 원산지는 남미지역으로 지하경과포복경을 가지고 있으며 음지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임간초지 조성에 및 방목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Nadin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KOM Technology. 2005a. Method for determining neutral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09_procedures /procedures2.shtml. Accessed May 8, 2005. 

  2. ANKOM Technology. 2005b. Method for determining acid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9_procedures /proceduresl.shtml. Accessed May 8, 2005.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4. Barbehenn R.V., Z. Chen, D.N. Karowe and A. Spickard. 2004. C3 grasses have higher nutritional quality than C4 grasses under ambient and elevated atmospheric $CO_2$ . Glob. Change Biol. 10:1565-1575. 

  5. Barnes, Robert F., Darrell A. Miller and C. Jerry Nelson (eds.). 2007. Forages: The Science of Grassland Agriculture. 6th ed. Vol. 2. Blackwell publishing. pp. 88. 

  6. Burton, G.W. and W.W. Hanna. 1995. Bermudagrass. In R.F. Barnes et al. (ed.) Forages - An introduction to grassland agriculture. Vol. 1. Iowa State Univ. Press, Ames. pp. 421-429. 

  7. Chambliss, C.G. 2003. Tifton 9 Pensacola Bahiagrass1. Publication # SS-AGR-25. University of Florida Extension, Gainesville. 

  8. Ditsch, D.C., S.R. Smith and G.D. Lacefield. 2011. Bermudagrass : A Summer Forage in Kentucky. Publication # AGR-48. UNIVERSITY OF KENTUCKY COLLEGE OF AGRICULTURE, LEXINGTON, KY, 40546. 

  9. Evers, G.W. and M.J. Parsons. 2002. Comparison of seeded and vegetatively planted bermudagrasses. Research Center Technical Report No. 2002-1. Texas A&M Univ., Overton, TX. pp. 41-42. 

  10. Evers, G.W., L.A. Redmon and T.L. Provin. 2004. Comparison of bermudagrass, bahiagrass, and kikuyugrass as a standing hay crop. Crop science. 44:1370-1378. 

  11. Henderson, M.S. and D.L. Robinson. 1982. Environmental influences on fiber component concentrations of warm-season perennial grasses. Agron. J. 74:573-579. 

  12. Hodgson, H.J. 1949. Effect of heat and acid scarification on germination of seed of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Agron. J., 41: 531-533. 

  13. Hsu, F.H. 1985. Temperature effects on germination of perennial warm-season forage grasses. Crop science. 25:215-220. 

  14. Huxely, A.(ed.). 1992.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Lawns : ch. 3: pp.26-33. (Macmillan. ISBN 0-333-47494-5). 

  15. Jones, C.A. 1985. C4 Grasses and Cereals. Growth, Development and Stress Response.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419. 

  16. Nadine, G.-B., O. Onokpise, J. Muchovej, B. Macoon, C. Louime and L. Anderson. 2008. Tifton-9 Bahiagrass Performance in Widely Space Loblolly Pine Trees Used for Silvopasture. European Journal of Scientific Research. 22:422-432. 

  17. Moore, R.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t. of Animal Sci. 

  18. Overman, A.R. and R.L. Stanley. 1998. Bahiagrass response to applied nitrogen and harvest interval, Communications in Soil Science and Plant Analysis, 29:1-2, 237-244. 

  19. RDA. 1969.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chnical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269-294. 

  20. Reid, R.L., G.A. Jung and W.V. Thayne. 1988.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ve quality and fiber components of cool season and warm season forages: A retrospective study. J. Anim. Sci. 66: 1275. 

  21. Tilley, J.M.A. and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fo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0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