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조경설계에 있어서 생태미학적 접근
An Ecological Aesthetic in Sustainable Landscape Desig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0 no.2, 2012년, pp.38 - 48  

민병욱 ((주)동심원 조경)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현재 인류의 생존과 웰빙에 관련된 가장 큰 화두일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조경을 포함한 환경설계 분야에서도 이 개념을 실천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계속해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급변하는 도시경관의 변화와 조경설계의 방법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되는 시대에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추구하기 위한 대안적인 설계이론으로 생태미학이라는 분야를 소개하고 재정의하고자 하였다. 본문에서는 생태미학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조경설계에 있어서 미학의 역할과 지속가능한 경관과 미학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그리고 광범위한 문헌조사와 분석을 통해 생태미학의 특징을 정의하였는 데, 첫 번째는 경관체험에 있어서 인지적 과정을 강조, 두 번째는 환경주의자적인 가치관, 세 번째는 기존의 스타일로부터 해방, 네 번째로 설계에 있어서 규범적인 성격이 분석되었다. 이렇게 규명된 생태미학의 특징을 바탕으로 조경설계에 반영해야 하는 생태미학적 설계주제를 요약 및 논증하였다. 주 설계 개념인 "실제로 느낄 수 있는 자연"을 바탕으로 설계가 표현해야 할 다섯 가지 주제는 생태적 기능, 경관의 일시성, 역사성, 안전성, 접근성 등이며, 이와 못지않게 중요한 설계의 과제는 위 주제들을 예술적이며 친근하게 표현해야 하는 설계(가)의 창의성이라고 판단되며 차후 연구에서 심도 깊게 다뤄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late 20th century, sustainability is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for the security and well-being of our society when we are witnessing the rapid change in urban landscape patterns. Responding to this issue, the discipline of environmental designs including landscape architecture h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대립되는 두 가치를 연결하려는 시도로 생태미학(ecologicalaesthetics)이라는 분야가 관심을 받고 있는데, 기존 연구들에서 생태미학은 설계분야보다는 주로 경관 생태학이나 산림 관리, 순수 미학분야에서 많이 언급되어 왔으며, 설계 방법론과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았다고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조경설계 분야에 있어서 미학과 생태의 관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고찰함과 동시에 대안적인 가치로 알려져 있는 설계 이론으로서, 생태미학적 접근의 발생 배경과 특징을 문헌연구를 통해서 종합하고 정리하여, 환경 및 경관 미학분야에서 주목 받아온 생태미학이라는 개념이 어떠한 함의를 지니고 있으며, 조경 설계 및 계획에 어떠한 실천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 이 연구는 조경설계분야에서 ‘생태미학’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했을 때, 설계 이론으로써 어떤 잠재적인 가치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경관미학의 한 분야인 생태미학의 특성에 대하여 정의하고, 설계이론으로서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미학과 생태는 둘 다 조경설계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이론적 토대이다.
  • 이러한 이론적 성격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에서는 “실제로 느낄 수 있는 자연”이라는 조경설계에 큰 개념을 제시하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개념에 따른 구체적인 조경 설계의 과제에 대하여 논의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학이라는 개념은 무엇인가? 더욱이, 역사적으로 볼 때, 원래 미학(aesthetics)이란 감각적인 지각, 감각적인 경험 또는 감정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aisthesis’에서 기원하며, 옥스포드 영어 사전은 미학(aesthetics)을 “감각적인 지각의 상태”를 다루는 과학(science), 혹은 자연 및 예술에 있어서 “취향 또는 지각”을 다루는 철학(philosophy)및 이론(theory)이라고 정의한다. 즉, 미학이라는 개념은 단순히 예술에 대한 이론적인 비평을 다루는 학문이 아니라, 사람들의 “미적인 체험에서 이뤄지는 지각적인 현상과 반응을 다루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미학은 어떤 특정 예술 작품이 흥미로운지 아닌지에 대한 코멘트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통속적인 경관의 미를 해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를 들어, 집단적으로 설치된 풍력발전기는 그 문화적·지역적 맥락에 따라 자연경관을 해치는 흉물로 이해될 수도 있지만, 광의적인 차원에서 실제 우리 환경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즉, 눈에 보이는 이미지가 아니라 경관이 작동하는 기능과 의미를 알게 되면, 그 경관의 가치를 다시 평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관이 가지고 있는 특성은 무엇인가요? 하지만, 기존 예술분야에서 다루는 전통적인 미학에서는 개체의 독립적인 미(美)가 주요 대상이기 때문에, 경관이라는 복합적이며 맥락에 의해 의미의 변동이 큰 대상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Bourassa,1988,1990). 특히, 경관미학 (LandscapeAesthetics)의 분야에서는 경관(landscape)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사회적, 생태적 복합체”라는 특성 때문에, 더욱 통합적이며 분석적인 접근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조경이 “특정 문화의 바탕에서 자연을 표현하고, 그 자연과 함께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을 일구어내는 분야”(Corner,1999)라고 정의한다면, 조경 설계 분야의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단순히 자연을 재현하거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보다, 근본적으로 사람들과 자연의 사이에 일어나는 인식적 상호관계 혹은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긍정적으로 이뤄지도록 돕는 방안을 모색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배정한(2006) 숭고, 조경미학과 설계의 새로운 접점, in LAnD: 조경 미학 디자인,파주: 도서출판 조경. 

  2. Appleton, J.(1975).The Experience of Landscape. London: John Wiley & Sons. 

  3. Berleant, A.(1997) Living in the Landscape: Toward an Aesthetics of Environment, Kansas University Press. 

  4. Bourassa, S. C.(1988) Toward a theory of landscape aesthet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5: 241-252. 

  5. Bourassa, S. C. (1990) A paradigm for landscape aesthetics. Environment and Behavior 22:787-812. 

  6. Callicott, J. B.(1994) "The land aesthetic", in Ecological Prospects: Scientific, Religious, and Aesthetic Perspectives, C. K. Chapple(ed.), Alban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 Carlson, A.(1979) Appreciation and the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37(3):267-275. 

  8. Carlson, A.(2010) Environmental Aesthetics, http://plato.stanford.edu/entries/environmental-aesthet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tanford University. 

  9. Clark, K.(1949) Landscape into Art. London: John Murray. 

  10. Corner, J.(1999). Recovering landscape as a critical cultural practice. In J. Corner(Eds.) Recovering Landscape: Essays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New York :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1. Cranz,G. and M. Boland(2004) Defining the sustainable park : A fifth model for urbanparks. Landscape Journal 23:2-04. 

  12. Cronon, W.(1996) The trouble with wilderness: Or, getting back to the wrong nature. Environmental History 1 (1, Jan). 

  13. Eisenstein, W.(2001) Ecological Design, Urban Places, and the Culture of Sustainability. SPUR Newsletter, September. 

  14. Flander, SusanL., and J. Baird Callicott, eds.(1991) The River of the Mother of God, and Other Essays by Aldo Leopold,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 in Press. Gibson,1979. 

  15. Glacken, C. J.(1967) Traceson the Rhodian Shore : Nature and Culturein Western Thought from Ancient Times to the End of the Eighteenth Centur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Gobster, P. H.(1999) An ecological aesthetic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Landscape Journal 18(1). 

  17. Gobster, P. H.(2008) Yellowstone hotspot: Reflection on scenic beauty, ecology, 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Landscape Journal 27:2-08. 

  18. Gobster, P. H., J. I. Nassauer, T. C. Daniel and G. Fry(2007) The shared landscape : What does aesthetics have to do with ecology?. Landscape Ecology 22:959-972. 

  19. Hacking, I. (1999) The Social Construction of What? Cambridge, Mass : Harvard University Press. 

  20. Hettinger, N. (2008). Objectivity in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In A. Carlson & S. Lintott (Eds.). Nature, Aesthetics, and Environmentalism: From Beauty to Duty,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Press. 

  21. Hough, M.(2004) Cities & Natural Process: A Basis for Sustainability. New York : Routledge. 

  22. Jencks, C.(1995) The Architecture of the Jumping Universe: A Polemic: How Complexity Science Is Changing Architecture and Culture, London : Academy Edition. 

  23. Kaplan, R. and S. Kaplan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ambridge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4. Koh, J. (1988) An ecological aesthetic. Landscape Journal 7 : 177-191. 

  25. Kolen, J. (2004) Belvedere- or the complicity of the designer in the historical process, In : H. Harsema H. (Eds.). Landscape Architecture and Town Planning in the Netherlands, Thoth, Publishing. 

  26. Lyle, J. T.(1994) Regenerative Desig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Inc. New York. 

  27. Lyle, J. T.(1999) Design for Human Ecosystems : Landscape, Land Use, & Natural Resources. Washington, DC : Island Press. 

  28.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Cambridge : MIT Press. 

  29. Lynch, K.(1981) Access, In: A Theory of Good City Form. Cambridge: MIT Press. 

  30. Motloch, J.L.(2001) Introduction to Landscape Design (second edition). New York : Van Nostrand Reinhold. 

  31. Mozingo, L. A.(1997) The aesthetics of ecological design : Seeing science as culture. Landscape Journal 16(1) : 46-59. 

  32. Nassauer, J. I.(1988) Landscape Care: Perceptions of Local People in Landscape Ecolog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Landscape and Land Use Planning, 8 : 27-41, American Society of Landscape Architects, Washington D.C. 

  33. Nassauer, J. I.(1995a) Culture and changing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Ecology 10(4). 

  34. Nassauer, J. I.(1995b) Messy ecosystems, orderly frames. Landscape Journal 14(2). 

  35. Nassauer, J. I.(1997) Cultural sustainability: Aligning aesthetics and ecology. In J. I. Nassauer(Eds.) Placing Nature: Culture and Landscape Ecology, Washington D.C. : Island Press. 

  36. Nohl, W. (2001) Sustainable landscape use and aesthetic perceptionpreliminary reflections on future landscape aesthetics. Landscapeand Urban Planning 54:223-237. 

  37. Orr, D. W. (2002) The Nature of Design : Ecology, Culture, and Human Intention,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38. Parsons, R. and T. C. Daniel (2002) Good looking: In defense of scenic landscapeaesthet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60:43-56. 

  39. Potteiger, M. and J. Purington(1998) Landscape Narratives. New York : John Wiley & Sons. 

  40. Proctor, J. D.(1998) The social construction of nature: Relativist accusations, pragmatist and critical realist response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88(3):352-276. 

  41. Rolston, H.(1988) Environmental Ethics: Dutiesto and Values in the Natural World, Philadelphia : Temple University Press. 

  42. Saito, Y.(1998) The aesthetics of unscenic nature. The Journal of Aesthetics and Art Criticism 56(2):101-111. 

  43. Sepanmaa, Y.(1986) The Beauty of Environment: A General Model for Environmental Aesthetics, Helsinki, Finland: Suomalainen Tiedeakatemia 

  44. Spirn, A. W.(1988) The poetics of city and nature: Towards a new aesthetic for urbandesign. Landscape Journal 7(2):108-126. 

  45. Thayer, Jr., R. L.(1989) The experience of sustainable landscapes, Landscape Journal 8(2):101-110. 

  46. Toulmin, S. E.(1992) Cosmopolis: The Hidden Agenda of Modern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7. Van der Ryn, S. and S. Cowan (1996) Ecological Design. Washington, DC : Island Press. 

  48. Vroom, M. J.(2006) Lexicon of Garden and Landscape Architecture. Basel, Switzerland: Birkhauser. 

  49. Wasserman, J.(2002) Memory embedded Landscape Journal 21(1): 190-200. 

  50. Wohlwill, J.(1983) The Concept of Nature: A Psychologist's View, In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I. Altman and J. Wohlwill, eds., New York : Plenum Press. 

  51. Zube, E.H., J.L. Sell and J.G. Taylor (1982) Landsca peperception: research, application and theory. Landscape Planning 9:1-33. 

  52. http://www.oed.com/ 

  53. http://www.websters-online-dictionary.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