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및 환경영향평가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 of Biodiversity Assessment method and Its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1 no.1, 2012년, pp.119 - 132  

구미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동근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diversity is a key element of ecosystem of which function provides essential product and service in human life. In the course since development projects often causes damages to biodivers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echnique must be capable of accurately assessing potential impact from 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물다양성 평가기법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발표된 자료가 상당히 부족하여 연구경향에 대한 분석을 하기 어려웠으며 국외 연구들도 연구내용들이 다양하고 연구의 범위가 넓어 심도있게 분석의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것이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럼에도 생물다양성이 가지는 가치에 대한 인식과 인간복지를 위한 생태계서비스의 중요성이 더해 가고 있고 국제적으로도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개발 사업으로 인한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생물다양성 평가기법들을 고찰하고 평가기법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환경영향평가 각 단계별 개선방향에 대해 후속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이를 적용하여 생물다양성 평가를 효율적으로 시행하는 환경영향평가제도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생물다양성 평가기법과 관련한 문헌조사 및 분석을 통해서 주요한 경향들을 도출하고, 이를 환경영향평가의 자연생태환경분야 평가단계에 적용하여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이고 발전된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 평가기법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생물다양성 평가방법, 평가도구, 평가모델에 대한 주요 연구경향들을 도출하고 이를 환경영향평가 단계에 적용하여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각 단계별로 제시한 내용들은 현행 환경영향평가 규정에 필요항목만 기술되어 있고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재량에 맡겨두고 있는 문제를 상당히 보완하여 평가의 질적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에 생물다양성 보존이 고려되야 하는 이유는? 환경영향평가는‘환경적으로 건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구현하는 핵심정책으로 생물다양성의 보존은 지속가능한 개발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환경영향평가에서 생물다양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생물다양성협약은 제14조에서 생물다양성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요구를 담고 있고 국제환경평가학회(IAIA)에서는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업을 계획하거나 시행할 경우 환경영향평가제도에 생물다양성에 대한 고려사항들을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권영한 등, 2006).
생물다양성 평가기법의 개선방향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 각 단계별로 제시한 내용들은 현행 환경영향평가 규정에 필요항목만 기술되어 있고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재량에 맡겨두고 있는 문제를 상당히 보완하여 평가의 질적 수준을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즉, 자연 생태계에 대한 면밀한 조사를 토대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구체적인 저감방안과 이에 따른 협의의견을 제시하는 한편, 사후관리차원에서 협의의견의 철저한 이행과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각 단계별로 국내 실정에 부합하고 생물다양성의 증진과 생태계서비스 향상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기법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들은‘경관생태학적 방법’, ‘지속가능성 평가’, ‘통합적 접근방법’, ‘생물다양성 오프셋’및‘생태적 영향평가’에 관한 유형들로 분류되었으며, 평가내용 개선을 위한 생태적 영향평가에 대한 논문(38.1%)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통합적 접근방법(19%)이었고, 경관생태학적 방법, 지속가능성 평가 및 생물다양성 오프셋에 대한 논문(각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신규, John Tenhunen, 2010, 산지복잡지형과 생태적 비균질성: 산지경관의 생산성과 수자원/수질에 관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12(4), 307-316. 

  2. 권영한, 노태호, 이현우, 정흥락, 2006, 환경평가에 있어 생물다양성 항목의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RE-18. 

  3. 기동원, 박준홍, 이재진, 노백호, 2007, 현장 측정된 토양미생물 종다양성과 생태자연도 등급 자료간의 통계적 상관관계 평가와 토양생태의 질 산정방안 제안, 대한토목학회, 27(제6B), 703-710. 

  4. 김성훈, 김정환, 허준, 2007,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생물다양성 분석의 표준화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지, 3802-3805. 

  5. 오정학, 조재형, 조현제, 최명섭, 권진호, 2008, 경관생태학적 도시숲 관리를 위한 비오톱 평가지표 및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 101-111. 

  6. 여준호, 방상원, 2007, 울진 금강소나무 군락지역 보전에 대한 전문가집단의 지불의사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2), 11-23. 

  7. 정다정, 강경호, 허준, 김장채, 김성호, 이정빈, 2010, 국가 생태정보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지도 구축,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9(6), 573-581. 

  8. 정연만, 2010, 생물다양성과 영향평가, 한국환경영향 평가학회 2010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3-11. 

  9. 정흥락, 이현우, 유헌석, 권영한, 노태호, 박소현. 2003,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RE-23. 

  10. 환경부, 2010.1.27, 환경성과지수(EPI) 발표 한국 94위, 보도자료. 

  11. Balfors, B., Mortberg, U., Gontier, M., and Brokking, P., 2005, Impacts of region-wide urban development on biodiversity i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Assessment Policy and Management, 9(4), 229-246. 

  12. Benini, L., Bandini, V., Marazza, D., and Contin, A., 2010, Assessment of land use changes through an indicator-based approach: A case study from the Lamone river basin in Northern Italy, Ecological Indicators, 10(1), 4-14. 

  13. Cardinale, B. J., Matulich, K. L., Hooper, D. U., Byrnes, J. E., Duffy, E., Gamfeldt, L., Balvanera, P., O'Connor, M., and Gonzalez, A., 2011, The functional role of producer diversity in ecosystem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8(3), 572-592. 

  14. Costanza, R., d'Arge, R., de Groot, R. S., Farber, S., Grasso, M., Hannon, B., Limburg, K., Naeem, S., O'Neill, R. V., Paruelo, J., Raskin, R. G., Sutton, P., and van den Belt, M.,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15. Curran, M., de Baan, L., de Schryver, A. M., van Zelm, R., Hellweg, S., Koellner, T., Sonnemann, G., and Huijbregts, M. A. J., 2011, Toward meaningful end points of biodiversity in life cycle assess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5(1), 70-79. 

  16. De Lange, H. J., Sala, S., Vighi, M., and Faber, J. H., 2010, Ecological vulnerability in risk assessment- A review and perspectiv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8(18), 3871-3879. 

  17. De Nooij, R. J. W., Lotterman, K. M., van de Sande, P. H. J., Pelsma, T., Leuven, R. S. E. W., and Lenders, H. J. R., 2006, Validity and sensitivity of a model for assessment of impacts of river floodplain reconstruction on protected and endangered specie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6(8), 677-695. 

  18. Diaz, S., Fargione, J., Chapin III F. S., and Tilman., D., 2006, Biodiversity loss threatens human well-being, Plos Biology, 4(8), 1300-1305. 

  19. Erikstad, L., Lindblom, I., Jerpasen, G., Hanssen, M. A., Bekkby, T., Stabbetorp, O., and Bakkestuen, V., 2008, Environmental value assessment in a multidisciplinary EIA sett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8(2-3), 131-143. 

  20. Garcia-Montero, L. G., Lopez, E., Monzon, A., and Otero, P. I., 2010, Environmental screening tools for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plans based on biodiversity preservation and global warming (PEIT, Spa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30(3), 158-168. 

  21. Garver, G., and Podhora, A., 2008, Transbound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part of the North American Agreement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26(4), 253-263. 

  22. Gasparatos, A., 2010, Embedded value systems in sustainability assessment tools and their implication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1(8), 1613-1622. 

  23. Gibbons, P., Briggs, S. V., Ayers, D., Seddon, J., Doyle, S., Cosier, P., McElhinny, C., Pelly, V., and Roberts, K., 2009, An operational method to assess impacts of land clearing on terrestrial biodiversity, Ecological Indicators, 9(1), 26-40. 

  24. Gontier, M., Balfors, B., and Mortberg, U., 2006, Biodiversity in environmental assessment-current practice and tools for predict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6(3), 268-286. 

  25. Gontier, M., 2007, Scale issu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impacts using a GIS-based habitat model-A case study for the Stockholm reg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7(5), 440-459. 

  26. Gontier, M., Mortberg, U., and Balfors, B., 2010, Comparing GIS-based habitat models for applications in EIA and SEA,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30(1), 8-18. 

  27. Graham, S. P., Steen, D. A., Nelson, K. T., Durso, A. M., and Maerz, J. C., 2010, An overlooked hotspot? Rapid biodiversity assessment reveals a region of exceptional herpetofaunal richnes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Southeastern Naturalist, 9(1), 19-34. 

  28. Hacking, T., and Guthrie, P., 2008, A framework for clarifying the meaning of Triple Bottom-Line, Integrated,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8(2-3), 73-89. 

  29. Heink, U., and Kowarik, I., 2010, What criteria should be used to select biodiversity indicator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9(13), 3769-3797. 

  30. Henry, P. Y., Lengyel, S., Nowicki, P., Julliard, R., Clobert, J., Celik, T., Gruber, B., Schmeller, D. S., Babij, V., and Henle K., 2008, Integrating ongoing biodiversity monitoring: Potential benefits and method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7(14), 3357-3382. 

  31. Kim, K. C., and Byrne, L. B., 2006, Biodiversity loss and the taxonomic bottleneck: Emerging biodiversity science, Ecological Research, 21(6), 794-810. 

  32. Lamd, E. G., Bayne, E., Holloway, G., Schieck, J., Boutin, S., Herbers, J., and Haughland, D. L., 2009, Indices for monitoring biodiversity change: Are some more effective than others?, Ecological indicators, 9, 432-444. 

  33. Liu, Y., Chen, J., He, W., Tong, Q., and Li, W., 2010, Application of an uncertainty analysis approach to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urban planning,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4(8), 3136-3141. 

  34. Louette, G., Maes, D., Alkemade, J. R. M., Boitani, L., de Knegt, B., Eggers, J., Falcucci, A., Framstad, E., Hagemeijer, W., Hennekens, S. M., Maiorano, L., Nagy, S., Serradilla, A. N., Ozinga, W. A., Schaminee, J. H. J., Tsiaousi, V., van Tol, S., and Delbaere, B., 2010, BioScore-Cost-effective assessment of policy impact on biodiversity using species sensitivity scores, Journal for Nature Conservation, 18(2), 142-148. 

  35. Magee, T. K., Ringold, P. L., Bollman, M. A., and Ernst, T. L., 2010, Index of alien impact: A method for evaluating potential ecological impact of alien plant species, Environmental Management, 45(4), 759-778. 

  36. Mandelik, Y., Dayan, T., and Feitelson, E., 2005, Issues and dilemmas in ecological scoping: Scientific, procedural and economic perspectives,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23(1), 55-63. 

  37. Maxim, L., Spangenberg, J. H., and O'Connor, M., 2009, An analysis of risks for biodiversity under the DPSIR framework, Ecological Economics, 69(1), 12-23. 

  38. McCluskey, D., and Joao, E., 2011, The promotion of environmental enhancement i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31(3), 344-351. 

  39. MEA,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Multiscale Assessment,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Series, 4, Washington, DC (Island Press), Google Books. 

  40. Middle, G., and Middle, I., 2010, A review of the use of environmental offset as a policy mechanism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EIA) in Western Australia,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28(4), 313-322. 

  41. Monavari, M., and Fard, S. M. B., 2011, Application of network method as a tool for integrating biodiversity valu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72(1-4), 145-156. 

  42. Mortberg, U. M., Balfors, B., and Knol, W. C., 2007, Landscape ecological assessment: A tool for integrating biodiversity issues in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plan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2(4), 457-470. 

  43. Norton, D. A., 2009, Biodiversity offsets: Two New Zealand case studies and an assessment framework, Environmental Management, 43(4), 698-706. 

  44. Pearson, R. G., Thuiller, W., Araujo, M. B., Martinez-Meyer, E., Brotons, L., McClean, C., Miles, L., Segurado, P., Dawson, T. P., and Lees, D. C., 2006, Model-based uncertainty in species range prediction, Journal of Biogeography, 33(10), 1704-1711. 

  45. Pena, S. B., Abreu, M. M., Teles, R., and Espirito-Santo, M. D., 2010, A methodology for creating greenways through multidisciplinary sustainable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1(4), 970-983. 

  46. Potschin, M., 2009, Land use and the state of the natural environment, Land Use Policy, 26(suppl 1), S170-S177. 

  47. Prato, T., 2007, Evaluating land use plans under uncertainty, Land Use Policy, 24(1), 165-174. 

  48. Rouget, M., Cowling, R. M., Vlok, J., Thompson, M., and Balmford, A., 2006, Getting the biodiversity intactness index right: The importance of habitat degradation data, Global Change Biology, 12(11), 2032-2036. 

  49. Sandin, L., and Verdonschot, P. F. M., 2006, Stream and river typologies-Major results and conclusions from the STAR project, Hydrobiologia, 566(1), 33-37. 

  50. Schultz, L., Folke, C., and Olsson, P., 2007, Enhancing ecosystem management through social-ecological inventories: Lessons from Kristianstads Vattenrike, Sweden, Environmental Conservation, 34(2), 140-152. 

  51. Smith, K. L., and Jones, M. L., 2007, When are historical data sufficient for making watershed- level stream fish management and conservation decision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35(1-3), 291-311. 

  52. Thorne, J. H., Girvetz, E. H., and McCoy, M. C., 2009, Evaluating aggregate terrestrial impacts of road construction projects for advanced regional mitig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43(5), 936-948. 

  53. Vihervaara, P., Ronka, M., and Walls, M., 2010, Trends in Ecosystem Service Research: Early Steps and Current Drivers, AMBIO, 39, 314-324. 

  54. Wilson, E. B., and Piper, J., 2008, Spatial planning for biodiversity in Europe's changing climate, European Environment, 18(3), 135-151. 

  55. Zhou, J., Liu, Y., and Chen, J., 2010, Accounting for uncertainty in evaluating water quality impacts of urban development pl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30(4), 219-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