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의 겨울철 황사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wintertime Asian Dust occurrence at Busan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1 no.4, 2012년, pp.581 - 591  

전병일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concentration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long range transport of wintertime Asian dust at Busan. Also we studied occurrence frequency and tendency of wintertime Asian dust from 1961 to 2010 in Korea. Asian dust 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서 황사가 관측된 1961년부터 2010년까지 50년간 겨울철 황사발생의 빈도와 경향을 고찰하고, 2008년 이후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여섯 사례의 겨울철 황사를 대상으로 미세먼지 농도 특성, 기상학적 특성, 이동경로 등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 5는 부산지역 겨울철 황사가 발생하였을 때의 지상일기도를 나타낸 것이다. 황사의 발생과 이동 및 침적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상일기도 외에도 상층일기도 및 유선도 등 다양한 보조선도를 활용하여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황사를 이해할 수 있는 지상일기도만을 선택하여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7은 부산에 발생한 겨울철 황사에 대한 공기를 추적하기 위해서 미국 해양기상청에 의해 개발된 HYSPLIT(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모형을 이용하여 기류의 이동방향을 추적한 것이다. 중국에서 발생한 대기 오염물질의 경우 대략 4일 이내에 한반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전병일과 황용식, 2007),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공기괴의 궤적을 알아본다는 차원과 겨울철 공기괴의 이동이 빠르다는 가정 하에 역궤적의 모사시간을 48시간으로 하고 6시간 간격으로 하였다. 측정지점의 좌표는 부산지방기상청으로 위도 35° 06’N 경도 129° 02‘E 지점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지역에서 황사가 관측된 1961년부터 2010년 까지 50년간 겨울철 황사발생의 빈도, 경향을 고찰 하고, 2008년 이후 부산지역에서 발생한 여섯 사례의 겨울철 황사를 대상으로 황사 시의 미세먼지 농도 특성, 기상학적 특성, 이동경로를 고찰한 결과는? 1. 우리나라 황사의 봄철 발생 빈도는 81.9%(제 주)~86.3%(울릉도)로 가장 높았고 겨울철이 9.9% (울릉도)~12.6(광주)로 두 번째로 높았으며, 2000 년대(2001~2010)의 겨울철 황사 발생일이 전체의 52.5%로 최근으로 올수록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2. 부산지역의 황사발생일은 2001년에 21일로 가장 많았고, 2002년에 12일 그리고 2006년에 10일이었으며, 최근 12년간(1999~2010)의 연발생일이 7.5일로 50년(1961~2010) 평균의 3.8일보다 두배가 높았다. 또한 부산지역의 봄철 발생일이 전체의 77%인 69일이었고 겨울철의 발생일수는 총 15일로 전체의 16.6%를 차지하여 50년간(1961~2010) 평균인 11.6%에 비해 높았다. 3. 부산지역에 2008년 이후 겨울철 황사는 여섯 차례 발생하였으며, 2009년 2월 20일을 제외하고 모두 12월에 발생하였다. 겨울철 황사 시 최고 농도는 공업지역인 학장동과 장림동에서 주로 나타났으며, 황사발생지속시간은 짧게는 1시간 30분에서 길게는 9시간 20분으로 봄철에 비해서는 짧았다. 또한 황사 발생 시 고농도(시간당 PM10 〉 120 μ​​​​​​​g/m3 ) 는 황사발생전후에도 나타났으며, PM2.5 /PM10 비는 0.21~0.33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황사발생 전에 강수가 있었던 경우는 2008년 12월 9일과 2010 년 12월 3일이었고,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황사가 관측된 후 부산까지 이동하는데 걸린 시간은 10~15 시간 정도이었다. 4. 부산지역 여섯 차례의 겨울철 황사 중 2008년 12월 9일을 제외하고 모두 몽골의 고비사막과 중국의 내몽골에서 발원한 황사가 발해만(요동반도)을 거쳐 우리나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기압에서 상승기류의 영향으로 부상하여 비교적 빠른 상층기류를 타고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다. 5. 향후 황사발원지의 지상상태가 건조하고 기류의 이동 조건이 부합되면 겨울철 황사 발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며 대기가 안정한 상태에서 겨울철 연무현상과 결합된다면 미세먼지농도가 상승하고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예측 시스템 그리고 그에 다른 대응 및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겨울철 황사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질병은? 또한 황사가 중국 동부지역의 산업지대를 통과하면서 대기오염물질과 함께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수송되어 인체 및 동ㆍ식물 그리고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낮은 기온과 건조한 날씨로 면역력이 최저로 떨어진 겨울철에 중금속이 포함된 황사가 발생한다면 알레르기에 의한 각종 피부염을 유발될 수 있다(Monn et al., 1997).
최근 황사현상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최근 황사현상은 중국의 황토고원, 내몽골 고원, 훈산타크 사막에서의 기온 상승 및 강수량 감소 그리고 경작지개발과 과도한 토지이용에 의한 사막화와 산림감소 등의 영향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황사가 중국 동부지역의 산업지대를 통과하면서 대기오염물질과 함께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수송되어 인체 및 동ㆍ식물 그리고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국립환경과학원, 2010a, 보도자료(2010. 3. 18). 

  2. 국립환경과학원, 2010b, 황사발생 특성 분석 결과(2010. 12. 10-11). 

  3. 기상청, 2009, 기상청보도자료(2009. 2. 20). 

  4. 기상청, 2010, 기상청 보도자료(2010. 12. 14). 

  5. 기상청, 2012, 일기상통계표. 

  6. 윤용황, 1990, 한반도에 수송되는 황사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6(2), 111-120. 

  7. 전병일, 2010, 부산지역 PM10과 PM2.5농도의 시간 및 공간적 변화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9(8), 1013-1023. 

  8. 전병일, 2012, 부산지역 겨울철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일의 기상학적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1(7), 815-824. 

  9. 전병일, 박재림, 박종길, 2002, 1999년 1월의 황사 발생시 부산지역의 부유분진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1(10), 1081-1087. 

  10. 전병일, 황용식, 2007, 최근 5년간 부산지역의 미세먼지(PM10)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16(6), 533-542. 

  11. 전영신, 김지영, 부경온, 김남옥, 2000, 겨울철 황사 현상의 특징,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5), 487-497. 

  12. Chun, Y., Boo, K. O., Kim, J., Park, S. U., Lee, M., 2001, Synopsis, transport,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sian dust in Korea, Jour. of Geophy., Res., 106, 18,461-18,469. 

  13. Draxler, R. R., Rolph, G. D., 2012, HYSPLIT (Hybrid Single-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 access via NOAA ARL READY Website (http://ready.arl.noaa.gov/HYSPLIT.php). NOAA Air Resources Laboratory, Silver Spring, MD. 

  14. Kim, B. G., and Park, S. U., 2001, Transport and evolution of a winter-time Yellow sand observed in Korea, Atmos. Environ., 35, 3191-3201. 

  15. Kim, S. W, Yoon, S. C, Kim, J., 2008, Columnar Asian dust particle properties observed by sun/sky radiometers from 2000 to 2006 in Korea, Atmos. Environ., 42, 492-504. 

  16. Liu, T. H., Tsai, F., Hsu, S. C., Hsu, C. W., Shiu, C. J., Chen, W. N., Tu, J. Y., 2009, Southeastward transport of Asian dust: Source, transport and its contributions to Taiwan, Atmos. Environ., 43, 458-467. 

  17. Monn, C., Carabias, V., JUnker, M., Waeber, R., Karrer, M., Wanner, H. U., 1997, Small-scale spatial variability of particulate matter $ and nitrogen dioxide, Atmos. Environ., 31(15), 2243-2247. 

  18. 西川雅高, 1993, 黃砂エアロゾルのふるまいについて, 環境化學, 3(4), 673-6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