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여름철 고농도 PM2.5 농도 사례와 기상학적 관련성
Characteristics of Summertime High PM2.5 Episodes and Meteorological Relevance in Busa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7, 2020년, pp.761 - 772  

전병일 (신라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eteorologically relevant characteristics of high PM2.5 episodes in Busan. The number of days when daily mean PM10 concentration exceeded 100 ㎍/㎥ and the PM2.5 concentration exceeded 50 ㎍/㎥ over the last four years in Busan were 24 and 58,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지역에서 여름철에 발생한 연무현상과 고농도 미세먼지 사이에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기상자료와 미세먼지 자료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였고, 특히 2018년 여름철에 발생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여름철 고농도 미세먼지농도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는 향후 부산지역 미세먼지의 효율적인 관리와 개선방안 제시에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무는 무엇인가? Table 1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4년간 부산지역의 연무 발생일수를 월별로 나타낸 것이다. 연무는 시정이 1 km 이상이고 습도가 75% 이하일 때, 대기 중에 연기, 먼지 등 미세하고 건조한 고체입자가 떠 있어서 공기의 색이 우윳빛으로 흐려 보이는 현상이다(Jeon, 2017). 3월이 32일(14.
연무는 어떻게 시정악화를 야기하는가? 연무는 입자상 에어로졸이 공기 중에 축적할 때 발생하며, 태양복사를 산란하고 흡수해서 대기혼탁도를 증가시켜 시정악화를 야기한다(Xu et al., 2013).
미세먼지 발생에 광화학반응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또한 남해안 부근에서 기류가 다소 정체되면서 전남 산단지역의 오염물질이 본 연구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 형성될 수 있었다. 그리고 고기압권에서 강한 일사조건하에서 국지적으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SO2 , VOCS) 등의 활발한 광화학반응으로 2차 생성 먼지가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연중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은 여름철에도 대기정체·광화학반응·배출조건이 동시에 형성되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이 가능하고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KMOE, 2018; Park and Yu,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un, Y. S., Lim, J. Y., Choi, B. C., 2003, The features of aerosol in Seoul by Asian dust and haze during springtime from 1998 to 2002, Kor. Meteoro. Soc., 39, 459-474. 

  2. Draxler, R. R., Rolph, G. D., 2013, HYSPLIT (HYbrid Single-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 access via NOAA ARL READY Website (http://ready.arl.noaa.gov/HYSPLIT_traj.php). 

  3. Fu, Q. Y., Zhuang, G. S., Wang, J., Xu, C., Huang, K., Li, J., Hou, B., Lu, T., Streets, D. G., 2008, Mechanism of formation of the heaviest pollution episode ever recorded in the Yangtze River Delta, China, Atmos. Environ., 42, 2023-2036. 

  4. Hyslop, N. P., 2009, Impaired visibility: the air pollution people see, Atmos. Environ., 43, 182-195. 

  5. Jeon, B. I., 2017,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nd case during haze days in Busan, Environ. Sci. Inter., 26, 751-765. 

  6. Ji, D. S., Wang, Y. S., Wang, L. L., 2012, Analysis of heavy pollution episodes in selected cities of northern China, Atmos. Environ., 50, 338-348. 

  7. Koo, Y. S., Yun, H. Y., Choi, D. R., 2018, An Analysis of chemical and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ze ev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January 12-18, 2013, Atmos. Environ., 178, 87-100. 

  8.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Press release(2018. 7. 20), 12. 

  9. Lee, S. M., Ho, C. H., Choi, Y. S., 2011, High- $PM_{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 Environ., 45, 7240-7247. 

  10. Lee, S., Ho, C. H., Lee, Y. G., Choi, H. J., Song, C. K., 2008, Influence of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from China on the high- $PM_{10}$ episode in Seoul, Korea for the period October 16-20, 2008, Atmos. Environ., 77, 430-439. 

  11. Li, W., Liu, X., Zhang, Y., Sun, K.,, Wu, Y., Xue, R., Zeng, L., Qu, Y., An, J., 2018,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mechanism of regional haze episodes in the Pearl River Delta of China, Environ., Sci., 63, 236-249. 

  12. Liu, D. J., Li, L., 2015, Application study of comprehensive forecasting model based on entropy weighting method on trend of $PM_{2.5}$ concentration in Guangzhou, China, Int. Environ. Res. Public Health, 12, 7085-7099. 

  13. Park, S. S., Yu, G. H., 2018, Effect of air stagnation conditions on mass size distributions of water-soluble aerosol particles, Kor. Atmos. Environ., 34, 418-429. 

  14. Pathak, R. K., Wu, W. S., Wang, T., 2009, Summertime $PM_{2.5}$ ionic species in four major cities of China: nitrate formation in an ammonia-deficient atmosphere, Atmos. Chemi. & Phy., 9, 1711-1722. 

  15. Ueno, H., Akiyama, K., Ishii, K., Miyoshi, T., Yokata, H., Nagoya, T., 2011, Relationship between $PM_{2.5}$ water-soluble organic carbon and oxidants in Tokyo during the summer, Jpn. Atmos. Environ., 46, 124-130. 

  16. Wang, Y., Zhuang, G. S., Zhang, X. Y., Huang, K., Xu, C., Tang, A. H., Chen, J. M., An, Z. S., 2006, The ion chemistry, seasonal cycle, and sources of $PM_{2.5}$ and TSP aerosol in Shanghai, Atmos. Environ., 40, 2935-2952. 

  17. Xu, W., Chen, H., Li, D., Zhao, F., Yang, Y., 2013, A Case study of aerosol characteristics during a haze episode over Beijing. Prog. Environ. Sci., 18, 404-411. 

  18. Yao, X. H., Chan, C. K., Fang, M., Cadle, S., Chan, T., Mulawa, P., He, K., Ye, B., 2002, The water-soluble ionic composition of $PM_{2.5}$ in Shanghai and Beijing, China, Atmos. Environ., 36, 4223-4234. 

  19. Yoshikado, H., 2018, Occurrence conditions of high concentrations of $PM_{2.5}$ in summer mainly around the Tokyo metropolitan area, Jpn. Atmos. Environ., 53, 120-1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