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상 체질별 음성과 건강 수준 관련 가능성에 대한 고찰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Voice and Health Condition in the Sasang Constitution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6 no.2, 2012년, pp.221 - 227  

유현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  조태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condition and voice to study the validity and value of voice diagnosis.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voices, Health index questionnaires (Short form 36, Psychological Well Being Index) and Sasang Constitution informations on 197 males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들은 음성과 건강 상태의 관련성에 대한 시범적 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실제적인 음성 데이터와 대상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건강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진단 도구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본 연구는 건강 수준과 음성의 관련성에 대한 선도적 연구이므로 비교적 간단하게 포괄적이며 전체적인 건강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Short Form(SF)-3610)과 Psychological Well Being Index(PWI)11)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 이러한 설문지들은 세계 보건 기구에서 말하는 건강 개념인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닌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 상태’에도 부합하며 오랜 기간의 연구를 통해 그 신뢰도와 타당도도 입증되었다. 또한 여기에 기존 연구에서 사상 체질이 음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 대상자는 물론 각 체질별로 분류하여 음성과 건강 상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음성이 대상자의 건강 수준을 반영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범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대 남자를 대상으로 음성과 함께 건강 설문 점수를 분석하였다.
  • 그러나 대상자를 사상 체질로 분류하여 체질별로 건강 설문 점수와 음성 변수를 분석했을 때는 피어슨 상관 계수의 값이 증가하여 관련 경향성을 보이는 음성 변수가 나타났는데 특히 태음인과 소양인에게서 두드러졌으며 쉼머 변수가 유의한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음성에 체질과 건강 상태가 모두 반영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혈액 검사, 영상 의학적 검사 등 일반 건강 검진 등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대상자의 건강 분포 폭이 넓지 않다는 것이다. 즉,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는 생체징후와 의사의 진찰에서 심각한 질환이 없는 20대 남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건강 설문지의 최고 점수자와 최저 점수자의 건강 수준 차이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진의 관찰 대상은 무엇이 있는가? 사진(四診) 가운데 하나인 문진(聞診)은 호흡, 해수, 구토, 애역 등 여러 가지 병리적 현상에서 발생하는 소리뿐만 아니라 환자의 음성 자체도 그 관찰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한의학의 고전인 내경에서는 오음(角, 徵, 宮, 商, 羽)과 오성(呼, 笑, 歌, 哭, 呻)을오장에 배속시켜 오장 병변의 이해에 적용하기도 한다1).
음성으로 체질을 분류 시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음성이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체질을 고려해야 한다고 해석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음성으로 체질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도 고려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체질과 건강 상태가 각각 음성에 영향을 주는 독립 요소일 수 있다는 것으로 단순히 체질이나 건강 상태 하나의 요소로만 분석할 경우 다른 변수가 통제되지 않는다면 의미 있는 결과를 찾기 힘들 수도 있다는 것이다.
SF-36에서 측정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들에 대해 SF-36 설문지를 배포하고 자기보고식으로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SF-36은 서구에서 개발한 일반적인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도구로 기능 수준 (functional status), 안녕 수준(well-being), 전반적 건강평가 (overall evaluation of health)의 3개 영역을 다시 신체적 기능 (Physical Functioning: PF), 신체적 역할 제한(Role limitation due to Physical problem: RP), 통증(BodilyPain: BP), 일반 건강 (General Health: GH), 활력(Vitality: VT),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ing: SF), 감정적 역할 제한(Role limitation due to Emotionalproblem: RE) 및 정신 건강(Mental Health: MH)의 8개 범주로 나누어 측정한다. SF-36 설문지로부터 얻어진 원점수와 8개 범주에 대한 점수화 및 결과 해석은 매뉴얼에서 제시한 절차와 해석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각 범주는 최저 0에서 최고 100점의 값을 갖게 되는데 높은 점수가 건강이 좋은 상태를 반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이봉교, 김태희, 박영배. 한방진단학. 서울, 성보사, p 109-124, 2004. 

  2. 백유상. 음성과 오장의 관계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19(2):97-107, 2006. 

  3. Chiu, C.C., Chang, H.H., Yang, C.H. Objective auscultation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al diagnosis using novel acoustic parameters.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62: 99-107, 2000. 

  4. Chiu, C.C., Yang, M.T., Lin, C.S. Using fractal dimension analysis on objective auscultation of traditional Chinese medical diagnosis. J. Med. Biol. Eng. 22: 219-225, 2002. 

  5. Carole T. Ferrand. (한지연, 최양규 역) 언어임상을 위한 음성 과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55-314, 2007. 

  6. 이의주, 송광빈, 최환수, 유정희, 곽창규, 손은혜, 고병희. 음성분석에 의한 체질진단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6(1):93-102, 2005. 

  7. 박성진, 김달래. Harmonics(배음)와 Formant Bandwidth(포먼트 폭)를 이용한 음성특성과 사상체질간의 상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6(1):61-73, 2004. 

  8. 최재완, 송학수, 한동윤, 조성언, 왕향란, 전종원, 유준상, 김달래. 사상체질음성분석기(PSSC)를 통한 한국인 성인남성의 체질별 음향특성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8(3):64-74, 2006. 

  9. 이재철, 이유정, 김재욱, 김상길, 강남식, 김종열, 김상혁. 사상체질별 건강수준에 따른 맥상, 안면, 피부, 음성의 물리량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5(4): 755-758, 2011. 

  10. 남봉현, 이승욱. 건강수준 측정도구 SF-36의 타당성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통계학회지 28(2):3-24, 2003. 

  11. 이채용, 이종영.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방의학회지 29(2):255-64, 1996. 

  12. 최경주, 최양식, 차재훈, 황민우, 이수경, 고병희, 송일병. 개정된 사상체질분류검사지 II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8(1):62-74, 2006. 

  1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p165-172, 2005. 

  14. 양승현, 김달래. 성문과 사상체질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8(2):191-202, 1996. 

  15. 박희관, 이종화. 이제마의 사상체질과 융의 심리학적 유형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10(2):41-50, 1998. 

  16. 김정호, 송정모. 사상의학장부이론의 특징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16(1):20-36,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