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뮴에 의해 유도된 담배 식물의 생장, 엽록소와 rubisco/rubisco activase에 대한 salicylic acid의 전환 효과
The Reverse Effect of Salicylic Acid on Cd-induced Growth, Chlorophyll, and Rubisco/Rubisco Activase in Tobacco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6 = no.146, 2012년, pp.778 - 787  

왕옥산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  노광수 (계명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카드뮴에 의해 유도되는 담배의 생장, 엽록소 함량, rubisco와 rubisco activase에 미치는 SA의 영향과, 이에 대한 변성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담배 기내생장에 대한 SA의 최적농도를 찾기 위해, $10^{-6}$ mM - $10^2$ mM SA를 처리하여 9주간 생장시킨 결과, $10^{-4}$ mM SA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다. SA와 카드뮴을 4개의 실험구(대조구, SA, 카드뮴, 카드뮴 + SA)로 하여 생장, 엽록소 함량 및 rubisco와 rubisco activase의 함량과 활성을 측정한 결과, 카드뮴 > 카드뮴 + SA < 대조구 카드뮴 + SA < 대조구 ${\beta}$-mercaptoethanol은 활성을 촉진시켰으며, urea, thiourea, guanidium-HCl은 억제시켰다. 이는 L-cysteine과 ${\beta}$-mercaptoethanol은 변성에 관여하지 않으며, urea, thiourea, guanidium-HCl은 변성에 관여하였음을 의미한다. Rubisco activase의 활성에 대한 변성제들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5종 모두는 비처리구와 비교하여 현저한 영향은 나타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fluence of salicylic acid (SA) on growth, chlorophyll, and rubisco/rubisco activase and effect of denaturator on rubisco/rubisco activase activity were studied in tobacco plants grown in vitro with cadmium (Cd) treatment. In order to find out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SA, tobacco plants 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SA에 의해 유도되는 담배 식물의 생장, 엽록소 함량, rubisco와 rubisco activase의 함량과 활성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여 카드뮴의 효과에 대한 SA의 영향과, 이에 대한 변성제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SA는 세포분열의 촉진과 세포의 팽창을 통해 식물의 생장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지며[33], SA의 농도에 따라 식물의 생장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4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합성과 관련된 물질에서 카드뮴의 효과에 대한 SA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카드뮴에 의해 유도되는 담배 식물의 생장, 엽록소 함량, rubisco와 rubisco activase의 함량과 활성에 미치는 SA의 효과와 이에 대한 변성제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드뮴이 식물에 어떤 작용을 하나요? 중금속의 일종인 카드뮴(Cd)은 산업화의 부산물로서 생기는 환경오염원으로써, 자연생태계로 유입되면 인간에게 만성중독을 유발시켜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식물에게도 매우 유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카드뮴은 식물의 생장에 필수적인 원소는 아니지만 뿌리를 통해 흡수되어 액포에 고농도로 축적되면[7],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및 핵산 대사의 교란[29,40], 뿌리에서의 수분과 양분흡수 및 기타 이온들의 흡수억제, 발생과 분화의 지연[35], 광합성, 광호흡 및 호흡을 저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식물의 생장을 억제시킨다[2].
식물 방어 기전으로 Salicylic acid은 어떤 기능을 하나요? Salicylic acid(SA)는 페닐알라닌으로부터 시킴산 경로를 통해 합성되는 단순 페놀성 화합물로서, 카르복실기와 수산기를 가지고 있다. 식물에 병원체가 침입하면 저항성이 유도되어 그 후에 침입하는 동일하거나 다른 종류의 병원체에 대해 저항성이 증가하는 식물질병에 대한 전신획득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1,5,32], 오존, 자외선, 열 스트레스, 냉해, 가뭄, 염 스트레스에 관여한다[14,22,39]. SA는 ABA에 의한 성장 억제 효과를 반전시키며[28], 키네틴. IAA, 지베렐린과 같은 식물성장 조절제와 같이 사용하면 개화를 촉진 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19]. 또한 SA는 중금속이온에 의한 손실효과를 개선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1], 특히 SA는 카드뮴의 독성을 변형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Panković 등[25]은 광합성의 암반응에서 RuBP (ribulose 1,5-bisphosphate) 재생에 카드뮴이 영향을 미치며, Lee와 Roh [18]는 카드뮴이 rubisco의 유도와 활성화를 저해한다고 보고하였다.
카드뮴과 SA 조건하 rubisco의 활성부위에서 L-cysteine과 β-mercaptoethanol은 어떤 작용을 촉진한 것으로 보이는가? L-cysteine과 β-mercaptoethanol은 SH 기를 가지고 있어 S-S 결합을 절단함으로써 변성을 유도하는데, 카드뮴과 SA 조건하에서도 rubisco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촉진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SA에 대한 효과가 매우 컸다. 이는 rubisco의 활성부위의 SH기에 결합된 카드뮴[37]의 제거에 관여하는 SA의 작용을 L-cysteine과 β-mercaptoethanol이 촉진시킨 결과로 추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varez, M. E. 2000. Salicylic acid in the machinery of hypersensitive cell death and disease resistance. Plant Mol. Biol. 44, 429-442. 

  2. Barcelo, J., Vazquez, M. D. and Poschenrieder, C. 1988. Cadmium-induced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vascular system of bush bean stems. Bot. Acta 101, 254-261. 

  3. Bodddi, B., Oravecz, A. R. and Lehoczki, E. 1995. Effect of cadminm on organization and photoreduction of protochlorophyllide in dark-grown leaves and etioplast inner membrane preparations of wheat. Photosynthetica 31, 411-420. 

  4. Borsani, O., Valpuesta, V. and Botella, M. A. 2001. Evidence for a role of salicylic acid in the oxidative damage generated by NaCl and osmotic stress in Arabidopsis seedlings. Plant Physiol. 126, 1024-1030. 

  5. Chandra, A. and Bhatt, R. K. 1998.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to salicylic acid in relation to the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Photosynthetica 35, 255-258. 

  6. Chen, Z., Ricigliano, W. and Klessig, D. F. 1993. Purification and charaterization of a soluble salicylic acid-binding protein from tobacco. Proc. Natl. Acad. Sci. USA 90, 9533-9537. 

  7. Choudhary, M., Bailey, L. D. and Grant, C. A. 1994. Effect of zinc on cadmium concentration in the tissue of durum wheat. Can. J. Plant Sci. 74, 549-552. 

  8. Delaney, T. P., Uknes, S., Vernooij, B., Friedrich, L., Weymann, K., Negrotto, D., Gaffney, T., Gut-Rella, M., Kessmann, H., Ward, E. and Ryals, J. 1994. A central role of salicylic acid in plant disease resistance. Science 266, 1247-1250. 

  9. Drazic, G. and Mihailovic, N. 2005. Modification of cadmium toxicity in soybean seedlings by salicylic acid. Plant Sci. 168, 511-517. 

  10. Eckardt, N. A. and Portis, Jr. A. R. 1997. Heat denaturation profiles of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rubisco) and rubisco activase and the inability of rubisco activase to restore activity of heat-denaturated rubisco. Plant Physiol. 113, 243-248. 

  11. Gutierrez-Coronado, M. A., Trejo-Lopez, C. and Larque- Saavedra, A. 1998. Effects of salicylic acid on the growth of roots and shoots in soybean. Plant Physiol. Biochem. 36, 563-565. 

  12. Hong, J. H. and Kim, T. Y. 2007. Effects of salicylic acid on oxidative stress and UV-B tolerance in cucumber leaves. J. Environ. Sci. 16, 1345-1353. 

  13. Inskeep, W. P. and Bloom, P. R. 1985. Extinction cofficients of chlorophyll a and b in N,N-dimethylformamide and 80% acetone. Plant Physiol. 77, 483-485. 

  14. Kang, H. M. and Saltveit, M. E. 2002. Chilling tolerance of maize, cucumber and rice seedling leaves and roots are differentially affected by salicylic acid. Physiol. Plant 115, 571-576. 

  15. Kneer, R. and Zenk, M. H. 1991. Phytochelatins protect plant enzymes from heavy metal poisoning. Phytochemistry 31, 2663-2667. 

  16. Larsson, E. H., Bornman, J. F. and Hakan, A. 1998. Influence of UV-B radiation and $Cd^{2+}$ on chlorophyII fluorescence, growth and nutrient content in Brassica napus. J. Exp. Bot. 323, 1031-1039. 

  17. Lee, G. S., Kim, T. Y. and Hong, J. H. 2002. Salicylic acid and water stress effects on growth and proline of cucumber seedlings. J. Environ. Sci. 11, 1165-1172. 

  18. Lee, K. R. and Roh, K. S. 2003. Influence of cadmium on rubisco activation in Canavalia ensiformis L. leaves. Biotechnol. Biopro. Bioeng. 8, 94-100. 

  19. Lee, T. T. and Scoog, F. 1965. Effect of substituted phenols on bud formation and growth of tobacco tissue culture. Physiol. Plant 18, 386-402. 

  20. Metwally, A., Finkemeier, I., Georgi, M. and Dietz, K.-J. 2003. Salicylic acid alleviates the cadmium toxicity in barley seedlings. Plant Physiol. 132, 272-281. 

  21. Mishra, A. and Choudhuri, M. A. 1999. Effects of salicylic acid on heavy metal induce membrane degradation mediated by lipooxygenase in rice. Biol. Plant 42, 409-415. 

  22. Munne-Bosch, S., Penuelas, J. and Llusia, J. 2007. A deficiency in salicylic acid alters isoprenoid accumlation in water-stressed NahG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Plant Sci. 172, 756-762. 

  23. Murashige, T. and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 473-497. 

  24. Pancheva, T. V., Popova, L. P. and Uzunova, A. N. 1996. Effects of salicylic acid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in barley plants. J. Plant Physiol. 149, 57-63. 

  25. Pankovi?, D., Plesni?ar, M., Arsenijevi?-Maksimovi?, I., Petrovi?, N., Saka?, Z. and Kastori, R. 2000. Effects of nitrogen nutrition on phosynthesis in Cd-treated sunflower plants. Ann. Botany 86, 841-847. 

  26. Racker, E. 1962. Ribulose diphosphate carboxylase from spinach leaves. Methods Enzymol. 5, 266-270. 

  27. Raskin, I. 1992. Role of salicylic acid in plants. Ann. Rev. Plant Physiol. Mol. Biol. 43, 439-463. 

  28. Ray, S. D. 1986. GA, ABA, phenolic interaction and control of growth: phenolic compounds as effective modulators of GA-ABA interaction in radish seedlings. Biol. Plant 28, 361-369. 

  29. Reese, E. N. and Roberts, L. W. 1984. Cadmium uptake and its effects on growth of tobacco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 Cell Rep. 3, 91-94. 

  30. Robinson, S. P. and Portis, A. R. Jr. 1989. Adenosine triphosphate hydrolysis by purified rubisco activase. Arch. Biochem. Biophys. 268, 93-99. 

  31. Roh, K. S. and Chin, H. S. 2005. Cadmium toxicity and calcium effect on growth and photosynthesis of tobacco. J. Life Sci. 15, 453-460. 

  32. Ryals, J. A., Neuenschwander, U. H., Willits, M. G., Molina, A., Steiner, H. Y. and Hunt, M. D. 1996. Systemic acquired resistance. Plant Cell 8, 1809-1819. 

  33. Shakirova, F. M., Sakhabutdinova, A. R., Bezrukova, M. V., Fatkhutdinova, R. A. and Fatkhutdinova, D. R. 2003. Changes in the hormonal status of wheat seedlings induced by salicylic acid and salinity. Plant Sci. 164, 317-322. 

  34. Shin, D. H., Yu, S. R. and Choi, K. S. 1995. Effect of salicylic acid on anthocyanin synthesis in cell suspension cultures of Vitis vinifera L. Kor. J. Plant Tissue Culture 22, 59-64. 

  35. Somashekaraiah, B. V., Padmaja, K. and Praead, A. R. K. 1992. Phytotoxicity of cadmium ions on germinating seedlings of mung bean (Phaseolus vulgarts): involvement of lipid peroxides in chlorophyill degradation. Physiol. Plant 85, 85-89. 

  36. Srivastava, M. K. and Dwivedi, U. N. 2000. Delayed ripening of banana fruit by salicylic acid. Plant Sci. 158, 87-96. 

  37. Stiborova, M. 1988. $Cd^{2+}$ ions affect the quaternary structure of ribulose- 1,5-bisphoshate carboxylase from barley leaves. Biochemia Physiol. Planzen 183, 371-378. 

  38. Stobart, A. K., Griffiths, W. T., Ameen-Bukhari, I. and Sherwood, R. P. 1985. The effect of $Cd^{2+}$ on the biosynthesis of chlorophyll in leaves of barley. Physiol. Plant. 63, 293-298. 

  39. Vahala, J., Keinanen, M., Schutzendubel, A., Polle, A. and Kangasjarvi, J. 2003. Differential effects of elevated ozone on two hybrid aspen genotypes predisposed to chronic ozone fumigation. Role of ethylene and salicylic acid. Plant Physiol. 132, 196-205. 

  40. Vogelli-Large, R. and Wagner, G. J. 1990. Subcellular localization of cadmium and cadmium-binding peptides in tobacco leaves. Plant Physiol. 92, 1086-1093. 

  41. Wang, D., Karolina, P.-M., Angela, H. C. and Dong, X. 2007. Salicylic acid inhibits pathogen growth in plants through repression of the auxin signaling pathway. Current Biology 17, 1784-1790. 

  42. Wang, Z. Y. and Portis, Jr. A. R. 1992. Dissociation of ribulose 1,5-bisphosphate bound to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and its enhancement by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activase-mediated hydrolysis of ATP. Plant Physiol. 99, 1348-1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