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관 재질에 형성된 초기 생물막 형성 미생물의 군집 특성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early biofilms formed on water distribution pipe material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26 no.6, 2012년, pp.767 - 777  

김영관 (강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성구 (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이동훈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최성찬 (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nular Biofilm Reactor (ABR) equipped with coupons of three different pipe materials (STS 304, PVC, PE) was used to generate drinking water biofilm samples. The level of assimilable organic carbon (AOC) during the sample generation period was $37.3{\mu}g/L$, and this level did not see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급수 관망의 모사 실험 장치에 형성된 생물막으로부터 시간에 따른 초기 미생물 군집의 동적 변화를 추적하고 궁극적으로 생물막 형성을 지연 또는 제어하기 위해 target으로 해야 할 대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 2000; Bachmann and Edyvean, 2006).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재질별(STS 304, PVC, PE)로 초기 생물막 형성이 감지되는 시간이 각 수도관 재질의 표면 조도 값(Ra)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았다.
  • 수도관 재질에 따른 생물막 군집의 다양성과 재질 및 시간에 따른 유사성 분석은 생물막 군집분석에서 얻어진 electropherogram의 결과에 기초하여 수행하였다. 우선 phylotype richness (S)는 전체 T-RF 중 구별되는 T-RF 길이를 갖는 phylotype의 수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RFLP 분석 방법의 장점은? 그 중 T-RFLP Terminal-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은 대표적인 community fingerprinting 기술로서 형광물질로 표지된 primer를 이용하여 증폭된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산물을 제한효소(restriction enzyme)로 절단하여 말단의 단편들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미생물 종은 특정 길이의 TRFs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s)를 나타내는데 이 분석방법은 신속하게 많은 시료를 처리할 수 있고, 군집에서 특정 유전자의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재현성이 높은 방법이다. 동시에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미생물 군집의 적은 구성원(rare member)까지 검출할 수 있는 민감도를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인 초기 생물막 군집 분석에 적합한 방법이다(Liu et al., 1997; Lee et al.
정수된 수돗물의 2차 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은? , 2008). 이러한 2차 오염의 근본적인 원인은 미생물의 재생장(regrowth) 즉, 정수시설에서 생산된 수돗물이 배·급수관을 흐르면서 미생물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 때문이다(Wingender and Flemming, 2004). 배·급수관과 같은 빈영양성(oligotrophic)이면서 소독제가 잔류하고 있는 불리한 환경에서 미생물의 재생장은 주로 생물막(biofilm) 형성과 탈리(detachment)에 연관되어 있다(O’Toole et al.
정수처리 된 수돗물이 2차 오염되는 경우는?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정수처리장에 고도처리공정이 도입되어 개선되고는 있지만 정수처리 된 수돗물은 관로를 통해 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관의 부식에 의한 오염, 노후한 관 또는 관의 교차연결(cross connection) 부분에서 유입되는 오폐수와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 그리고 관 표면에 부착하여 생장하는 미생물에 의한 오염 등 2차 오염에 의하여 수질이 저하될 수 있다(Szewzyk et al., 2000; Eboigbod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PHA, Washington DC. 

  2. Armon, R., Starosvetzky, J., Arbel, T., and Green, M. (1997) Survival of Legionella pneumophila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biofilm systems. Wat. Sci. Technol., 35(11), pp. 293-300. 

  3. Bachmann, R.T. and Edyvean, R.G.J. (2006) AFM study of the colonisation of stainless steel by Aquabacterium commune. Int. Biodeter. Biodegrad., 58, pp. 112-118. 

  4. Chu, C. , Lu, C., and Lee, C. (2005) Effects of inorganic nutrients on the regrowth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J. Environ. Manage., 74, pp. 255-263. 

  5. Deines, P., Sekar, R., Husband, P.S., Boxall, J.B., Osborn, A.M., and Biggs, C.A. (2010) A new coupon design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in situ microbial biofilm forma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s. Appl. Microbiol. Biotechnol., 87, pp. 749-756. 

  6. Eboigbodin, K.E., Seth, A., and Biggs, C.A. (2008) A review of biofilms in domestic plumbing. J. AWWA, 100, pp. 131-138. 

  7. Eichler, S., Christen, R., Holtje, C., Westphal, P., Botel, J., Brettar, I., Mehling, A., and Hofle, G. (2006) Composition and dynamics of bacterial communities of a drinking water supply system as assessed by RNA- and DNA-based 16S rRNA gene fingerprinting. Appl. Environ. Microbiol., 72, pp. 1858-1872. 

  8. Gjaltema, A., Arts, P.A.M., van Loosdrecht, M.C.M., Kuenen, J.G., and Heijnen, J.J. (1994) Heterogeneity of biofilms in rotating annular reactors: occurrence, structure, and consequences. Biotech. Bioeng., 44, pp. 194-204. 

  9. Hallam, N.B., West, J.R., Forster, C.F., and Simms, J. (2001) The potential for biofilm growth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Wat. Res., 35, pp. 4063-4071. 

  10. Janzon, A., Sjoling, A., Lothigius, A., Ahmed, D., Qadri, F., and Svennerholm, A.-M. (2009) Failure to detect Helicobacter pylori DNA in drinking and environmental water in Dhaka, Bangladesh, using highly sensitive real-time PCR assays. Appl. Environ. Microbiol., 75, pp. 3039-3044. 

  11. Jefferson, K.K. (2004) What drives bacteria to produce a biofilm? FEMS Microbiol. Lett., 236(2), pp. 163-173. 

  12. Keinanen, M.M., Korhonen, L.K., Lehtola, M.J., Miettinen, I.T., Martikainen, P.J., Vartiainen, T., and Suutari, M.H. (2002)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of drinking water biofilms can be affected by phosphorus availability. Appl. Environ. Microbiol., 68, pp. 434-439. 

  13. Krasner, S.W., Croue, J.P., Buffle, J., and Perdue, E.M. (1996) Three approaches for characterizing NOM. J. AWWA, 88(6), pp. 66-79. 

  14. Lee, J. -W., Nam, J.-H., Kim, Y.-H., Lee, K.-H., and Lee, D.-H. (2008)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initial stage of marine biofilm formation on artificial surfaces. J. Microbiol., 46, pp. 174-182. 

  15. Lee, D. -G. and Kim, S.-J. (2003) Bacterial species in biofilm cultivated from the end of the Seoul water distribution system. J. Appl. Microbiol., 95, pp. 317-324. 

  16. Lehtola, M.J., Miettinen, I.T., Vartiainen, T., Myllykangas, T., and Martikainen, P.J. (2001) Microbially available organic carbon, phosphorus, and microbial growth in ozonated drinking water. Wat. Res., 35, pp. 1635-1640. 

  17. Lehtola, M.J., Nissinen, T.K., Miettinen, I.T., Martikainen, P.J., and Vartiainen, T. (2004) Removal of soft deposits from the distribution system improves the drinking water quality. Wat. Res., 38, pp. 601-610. 

  18. Liu, W. T., Marsh, T.L., Cheng, H., and Forney, L.J. (1997)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diversity by determining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of genes encoding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63, pp. 4516-4522. 

  19. Martiny, A.C., $J{\phi}rgensen$ , T.M., Albrechtsen, H.-J., Arvin, E., and Molin, S. (2003) Long-term succession of structure and diversity of a biofilm formed in a model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69, pp. 6899-6907. 

  20. Miettinen, I.T., Vartiainen, T., and Martikainen, P.J. (1997) Phosphorus and bacterial growth in drinking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63, pp. 3242-3245. 

  21. O'Toole, G., Kaplan, H.B., and Kolter, R. (2000) Biofilm formation as microbial development. Ann. Rev. Microbiol., 54, pp. 49-79. 

  22. Percival, S.L., Walker, J.T., and Hunter, P.R. (2000) Microbiological Aspects of Biofilms and Drinking Water. CRC Press, Boca Raton, FL. 

  23. Rochelle, P.A., Fry, J.C., Parkes, R.J., and Weightman, A.J. (1992) DNA extraction for 16S rRNA gene analysis to determine genetic diversity in deep sediment communities. FEMS Microbiol. Lett., 79, pp. 59-65. 

  24. Sartory, D.P. (2004) Heterotrophic plate count monitoring of treated drinking water in the UK: a useful operational tool. Int. J. Food Microbiol., 92, pp. 297-306. 

  25. Sathasivan, A. and Ohgaki, S. (1999) Application of new bacterial regrowth potential method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a clear evidence of phosphorus limitation. Wat. Res., 33, pp. 137-144. 

  26. Stach, J .E.M., Maldonado, L.A., Masson, D.G., Ward, A.C., Goodfellow, M., and Bull, A.T. (2003) Statistical approaches for estimating actinobacterial diversity in marin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9, pp. 6189-6200. 

  27. Szewzyk, U., Szewzyk, R., Manz, W., and Schleifer, K.-H. (2000) Microbiological safety of drinking water. Ann. Rev. Microbiol., 54, pp. 81-127. 

  28. van der Kooij, D. (1992) Assimilable organic carbon as an indicator of bacterial regrowth. J. AWWA, 84(2), pp. 57-65. 

  29. van der Kooij, D., Visser, A., and Hijnen, W.A.M. (1982)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easily assimilable organic carbon in drinking water. J. AWWA, 74(10), pp. 540-545. 

  30. White, C., Tancos, M., and Lytle, D.A. (2011) Microbial community profile of a lead service line removed from a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77, pp. 5557-5561. 

  31. Wingender, J. and Flemming H.-C. (2004) Contamination potential of drinking water distribution network biofilms. Wat. Sci. Technol., 49(11), pp. 277-286. 

  32. Zacheus, O.M., Iivanainen, E.K., Nissinen, T.K., Lehtola, M.J., and Martikainen, P.J. (2000) Bacterial biofilm formation on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and stainless steel exposed to ozonated water. Wat. Res., 34, pp.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