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규모 공연장의 안전관리 개선방안 - 민간경비업체의 역할 개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large-scale of event site - on the focus of the improvement of security company's role -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33, 2012년, pp.163 - 195  

이선기 (세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최하는 각종 문화행사와 K-POP의 열풍으로 각종 공연행사가 수시로 개최되고 있는바 그로 인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지난 2005년 10월 3일, 상주 시민운동장에서 발생한 'MBC 가요콘서트 행사'와 2006년 3월 26일, 서울 롯데월드에서 발생한 '무료개방 행사'에서 대규모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각종 공연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의 공통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그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각 행사장별 사고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 안전업무를 담당하는 민간경비업체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한 '대규모 공연장의 안전관리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사의 안전을 담당하는 민간경비업체의 영세성 보완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공연장 경비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사전준비단계에서 안전조치를 위한 준비를 보다 철저히 해야 한다. 넷째, 질서유지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철저한 우발상황대비책을 수립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kinds of performances and events have been held by local governments along with the worldwide popularity of K-pop, and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possible accidents. Actually, a large-scale of accident took place during the MBC pop song concert in Sangju Sports Stadium in October 3, 20...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연장의 의미는 무엇인가? 공연장이란 무대와 관중석을 갖춘 자리를 의미하며, 크게 나누어 옥외의 것과 옥내의 것 2가지가 있다. 한국의 경우, 옥내 공연장으로는 국립극장, 예술의 전당, 세종문화회관 등이 있으며, 옥외 공연장은 한강 고수부지 등에 설치한 야외무대가 있다(김상헌, 2005: 24).
본 연구에서 민간경비업체의 개선방안을 강구하는데 제한점은 무엇인가? 첫째, 본 연구는 선행논문을 검색한 결과, 공연장의 안전과 관련된 민간경비업체와 관련된 논문이 극소수에 불과하고, 공연장과 관련한 경찰이나 포괄적인 예방방안을 연구한 유사 논문이 3편에 지나지 않아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고 참고하는데 충분치 못한 제한점이 있다(단, 공연장의 무대안전 등 시설안전에 대한 논문은 다수 발견하였음). 둘째, 공연장의 안전사고가 1992년부터 2005년까지 13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최소 6-7년이 경과한 사건으로 당시의 관련자를 찾아 전화인터뷰를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하여 원인별 사례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충분치 못한 제한점이 있다.
공연이란 무엇인가? 이때 공연장을 연 90일 이상 또는 계속하여 30일 이상 공연에 제공할 목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시설이어야 한다. 여기서 공연은 음악, 무용, 연극, 연예, 국악, 곡예 등 예술 관람물을 실연하여 공중에게 관람하도록 하는 행위를 말한다. 상품판매나 선전에 부수한 공연은 제외한다. 건축법에는 극장, 영화관, 연예장, 음악당, 서커스장, 비디오물감상실, 비디오물소극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상 공연장으로 분류해 놓았으며, 해당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 합계가 300제곱미터 미만인 것은 제2종 근린생활시설로, 그 이상인 것은 문화 및 집회시설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