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공연 시 재난관리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t a Large-scale Concert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5 no.4, 2013년, pp.17 - 24  

민세홍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소방방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is study, we extracted pending problem and controversial point from management of disaster such as terror for domestic massive performance and then, investigated countermeasure plan against disaster for massive performanc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anti-disaster strategy of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또한, 이를 시행하는 정부부처는 이러한 정책을 시행함에 있어 적극적인 홍보로 국민을 이해시키는 교육 및 홍보 정책을 실시하도록 한다.
  • 지금까지 대형 공연에 대한 테러의 위험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했다. 대형공연의 화재, 안전사고 및 테러에 대해 각 개소별 위험성을 분석하도록 한다. 대형 공연에 대해 현재 우리 시스템으로는 민간주도적인 공연법만으로는 예기치 않은 돌발적인 안전사고와 의도적으로 테러를 계획하고 있는 자에 대해 무방비라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 공연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와 테러 등 현안 문제를 발췌하고, 우리나라의 공연법과 미국 등 외국의 대형 공연에 대한 재난대책을 비교 분석하여 대형 공연에 대한 우리의 재난대비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일 시간, 동일한 한 장소에 수많은 군중이 운집하는 대형 공연에 대한 테러 등 재난안전과 관련된 현안 문제에 대해 발췌하고, 재난에 대한 대비책을 수립하여 제안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여 대형 공연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우리나라 대형 공연 시 예상되는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재난안전관리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앞서 언급한 대형 공연에 대한 ‘사전재난안전성평가’제도의 도입이 선행되어야 한다.
  • (9)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모든 대형 공연에 대해 정부주도로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된다. 이에 이러한 업무를 대행하는 민간주도형 주체를 행사 준비단계에서 포함하여 정부관련 부처와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공연 관람객에 대해서 소지품 검사를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행사의 원만한 진행을 위해서 라고는 하나 그 어떠한 것도 안전에 우선할 수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로 인한 사고의 대표적인 예는? 그럼에도 2005년 10월 상주시민운동장의 가요콘서트 압사사고(11명 사망)가 발생하였다. 화재로 인한 사고는 1972년 12월에 발생한 서울시민회관 화재로 53명이 사망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대형 공연에서의 사고의 유형을 대별하면? 대형 공연에서의 사고는 전세계적으로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사고의 유형을 대별하면 ‘화재에 의한 사고’와 ‘폭발물 등에 의한 테러’ 및 ‘군중의 압사(壓死) 등의 안전사고’로 대별된다.
상주시민운동장의 가요콘서트 압사사고에서 몇명이 사망하였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1992년 2월 뉴키즈온더블락(New Kids on the Block)의 내한공연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이를 계기로 공연 시 바닥에는 반드시 의자를 놓도록 했으며 또한 무대와 관객과의 3 m 이격거리 유지 등의 안전대책이 신설되었다. 그럼에도 2005년 10월 상주시민운동장의 가요콘서트 압사사고(11명 사망)가 발생하였다. 화재로 인한 사고는 1972년 12월에 발생한 서울시민회관 화재로 53명이 사망한 경우가 대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ttp://blog.naver.com/y3prince?RedirectLog&logNo80191261565 

  2. I.T. Kim, "Cases and Analysis of the Fire Hall", Disaster & Insurance, (2008) : 53-58. 

  3. Norman Abram, "Anti-terrorism and criminal enforcement", West Group, (2003) : 1-283 

  4. Y.K. Park, "Status of Terrorism Act in the United States ans the Main Content", the Seoul Central District Prosecutors' Office, (2006) :1-30. 

  5. http://blog.naver.com/uksamo?RedirectLog&logNo120188137105. 

  6. D.K. Park, I.J. Shin,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for International Events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Its Implications for Counter-Terrorism Policy", Journal of Korean Security Science Association, No.14, (2007) : 167-179. 

  7. httpblog.naver.comleehoyeol123RedirectLog&logNo10166678834. 

  8. J.K. Kim,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Performance Law for Dealing with Accidents", Law Times, No.3201, (2005).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Public Law", Law No. 11048-11 & 11048-12, (2012).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Public Law & its Implementing Ordinances", Presiden tial Decree No.23759-9, (2012).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 "Regulat ions Relative to the Application of Public Law", Ministry of Culture, Sports &Tourism Degree No.9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