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승마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94과 260속 340종 5아종 37변종 2품종으로 총 3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 고유종은 외대으아리, 진달래, 개나리, 오동나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멸종위기종(CR)인 왕벚나무, 취약종(VU)인 삼지구엽초, 약관심종(LC)인 모새달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2분류군, III등급 2분류군, II등급 1분류군, I등급 10분류군 등 15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생활형조성은 일년생식물(28.3%), 반지중식물(23.0%), 수생식물(14.3%)등이 높게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43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11.2%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의 식생은 양호하나 최근 들어 인위적인 간섭에 의한 훼손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식생변화와 동태파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eoungma (Gyeonggi-do). The vascular plant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11), and 384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94 families, 260 genera, 340 species, 5 subspecies, 37 varieties and 2 forms. Korean endemic 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된 관속식물은 상세한 식물목록 작성과 함께 분포특성을 밝혀 이 지역의 자연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생물다양성협약에 따른 생물주권확립과 이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하여 확증표본을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체 대비 승마산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의 비율은? 승마산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식재종을 포함하여, 양치 식물 7과 8속 10종 1변종의 11분류군, 나자식물 3과 3속 5종의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0과 181속 223종 3아종 22변종 2품종의 250분류군, 단자엽식물 14과 68속 102종 2아종 14변종의 118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총 94과 260속 340종 5아종 37변종 2품종의 3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1, Appendix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7.86%에 해당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생태계교란야생식물(Ministry of Environment, 2009)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돼지풀이 승마농원과 약암리 온천일대를 중심으로 넓은 분포역을 가지며 퍼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약암지 일대에 불법 폐기한 가전제품과 쓰레기, 온천개발이 취소되면서 수년째 방치되어 있는 공사현장과 건축 폐자재 등으로 인한 악취와 오폐수의 유입은 수질악화를 비롯하여 상대적으로 오염지역에 강한 귀화식물의 침입이 증가되고 있다.
승마산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승마산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식재종을 포함하여, 양치 식물 7과 8속 10종 1변종의 11분류군, 나자식물 3과 3속 5종의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은 70과 181속 223종 3아종 22변종 2품종의 250분류군, 단자엽식물 14과 68속 102종 2아종 14변종의 118분류군으로 구성되어 총 94과 260속 340종 5아종 37변종 2품종의 3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1, Appendix 1).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n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i, H.K. and H.R. Na(2007) The Flora of Tongjin(Mt. Munsu).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5pp. (in Korean) 

  2. Cronquist, A.(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1,262pp. 

  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 Co, Seoul, 1,482pp. 

  4. Gimpo City(2011) Gimpo city homepage. (http://www.gimpo.go.kr) 

  5. Kim, J.H., J.R. Park, S.H. Kim and C.Y. Yoon(2011) The Vascular Plants in Mt. Gahyeon(Gyeonggi-do, Gimpo). Korean J. Plant Res. 24(5): 521-5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J.H., G.H. Nam, C.Y. Yoon and B.Y. Lee(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Munsu(Gyeonggi-do).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4): 459-4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W. and Y.K. Jung(1995) Floral Analysis in the Kimpo Landfills and Its Peripheral Region. Korean J. Ecol. 18(1): 31-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408pp. (in Korean) 

  9.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mental Research -. pp. 1-74. (in Korean) 

  10. Korea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in Korean) 

  11.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book, Pocheon, 332pp.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pp.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34pp.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547pp. (in Korean) 

  15. Lee, C.S., H.M. Suh, M.S. Chung, Y.S. Chung and N.S. Lee(2010) A New Variety of Elsholtzia (Lamiaceae): E. splendens var. fasciflora from Korea. Korean J. Pl. Taxon. 40(4): 262-266. 

  16.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791pp. (in Korean) 

  17. Lee, T.B.(1984) Outline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ir distribution. Korean J. Pl. Taxon. 14(1): 21-32. 

  18.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914pp, 910pp. (in Korean) 

  19.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 pp. 1-33. (in Korean) 

  20. Lee, W.T. and Y.J. Yim(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412pp. (in Korean) 

  21. Lee, W.T.(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in Korean) 

  22. Lee, W.T.(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pp. (in Korean) 

  23.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Y.N.(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1,237pp. (in Korean) 

  25.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974, 885pp. (in Korean) 

  26. Melchior, H.(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27. Ministry of Environment(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28. Ministry of Environment(2009) Ecosystem disturbance Wild Animals and Plants Package. pp. 47-138. (in Korean) 

  29.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2011) Endemic species of Korea. Geobook, Incheon, pp. 318-415. (in Korean) 

  30.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205pp. (in Korean) 

  31. Oh, Y.C.(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757pp. (in Korean) 

  32. Paik, W.K.(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Bull. KACN. 13:5-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575pp. (in Korean) 

  34.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623pp. 

  35.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36. Yim, Y.J.(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 Ecol. 27: 269-278. 

  37. Yim, Y.J., K.H. Park and J.K. Sim(1982) Biogeographic distribution of Raunkiaer life form in Korea. Bull. Inst. Techn. & Sci. Chung-Ang University. 9: 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