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의 서식지 선택과 관리방안
Habitat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 Leopard Cat(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Rural Ar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3, 2012년, pp.322 - 332  

최태영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연구팀) ,  권혁수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연구팀) ,  우동걸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연구팀)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격무선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삵의 행동권, 서식지 선택, 개체군 위협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3개체(수컷 2, 암컷 1)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권은 평균 $2.64{\pm}1.99km^2$(K 95)와 $3.69{\pm}1.34km^2$(MCP 100)이었으며, 핵심공간은 평균 $0.64{\pm}0.47km^2$(K 50)를 나타냈고, 겨울철에 추적된 수컷의 행동권이 가장 넓었다($5.19km^2$, MCP 100). 둘째, Jacobs index에 기반을 둔 Johnson의 서식지 선택모형을 분석한 결과 삵은 2단계 선택(경관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 초지와 논을 선호하고 산림은 회피하는 반면에, 3단계 선택(행동권 내에서의 서식지 선택)에서는 하천변의 초지를 매우 선호하고 논을 회피하였다. 셋째, 로드킬은 삵의 심각한 개체군 위협요인으로 판단되며, 논의 토지피복 비율이 높고, 하천변에 도로가 존재하며, 산림이 마을 주위에만 소규모로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삵의 개체군 유지가 매우 불안정할 수 있어 이러한 지역에 로드킬 대책과 하천변 초지보호 등의 노력이 보다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investigate home range, habitat selection, and threat factors of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The results based on radio tracking of three leopard cats (two males and one fema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무선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농촌지역에 서식하는 삵의 행동권, 서식지 선택, 개체군 위협요인을 파악하여 삵의 개체군 및 서식지 보전을 위한 연구와 정책의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또한 삵의 행동권 내 서식지 선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무선추적 좌표들의 공간분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최근린분석법(Nearest Neighbor Distance Method)을 활용하였다.
  • , 2001).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공간 구조의 분석을 통해 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삵 행동권 내에는 농촌의 인간 주거지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포에 따른 삵 서식지의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거지와 삵 위치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공간 구조의 분석을 통해 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삵 행동권 내에는 농촌의 인간 주거지가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포에 따른 삵 서식지의 안정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거지와 삵 위치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두 공간변수 간 서로 배척하거나 응집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이변수 점형태 분석(Bivariate Point Patter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지역의 삵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관리방안은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는 농촌지역의 삵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삵의 개체군을 지속적으로 외부에 공급하는 공급처(source)와 개체군이 지속적으로 소멸해가는 수용처(sink)를 연결하는 생태축이 보전되어야 한다. 둘째, 로드킬은 삵의 개체군을 직접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으로 판단되며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천변 초지 또는 인근의 개체군 공급처와 연결되는 곳에 건설된 도로에 생태통로 및 로드킬 방지 울타리가 우선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논의 토지피복 비율이 높고 산림이 마을주위에만 소규모로 존재하여 삵의 안정적 서식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하천변에 있는 억새밭 등의 초지가 생존에 매우 중요한 서식지 구성요소 이므로 들불을 놓아 태우거나 하천 부지 개발 등을 통해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
삵은 어떤 동물인가? 삵(Prionailurus bengalensis)은 식육목에 속하는 육식동물로서 현재 우리나라 내륙의 전역에 서식하고 있는 고양이과 야생동물이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제적으로 볼 때 삵은 아프가니스탄 동부에서부터 러시아 연해주에 이르기 까지 아시아 중남부 일대의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IUCN 적색목록의 관심필요종(LC)과 CITES 부속서 Ⅱ에 속해있다(Sanderson et al.
국내의 삵 서식밀도와 개체군 변화에 대해 어떤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가? 국내의 삵 서식밀도와 개체군 변화에 대해서는 자세히 연구된 사례가 없으나, 지리산 주변 119km 길이의 도로에서 2년 6개월간 103개체의 삵 로드킬(교통사고)이 발견된 사례를 볼 때(Choi, 2007), 국내에는 아직 적지 않은 수가 서식하고 있으며 도로 및 인간에 의한 부정적 영향에 크게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ebischer, N.J., P.A. Robertson and R.E. Kenward(1993) Compositional analysis of habitat use from animal radio-tracking data. Ecology 74: 1313-1325. 

  2. Aldridge, H.D.J.N. and R.M. Brigham(1988) Load carrying and maneuverability in an insectivorous bat: a test of the 5% "rule" of radio-telemetry. J. Mammal. 69: 379-382. 

  3. Austin, S.C.(2002) Ecology of sympatric carnivores in Khao Yai National Park, Thailand. Ph. D. thesis, Texas A&M University-Kingsville and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U.S.A. 

  4. Chamberlain, M. and B. Leopold(2000) Spatial use patterns, seasonal habitat selection, and interactions among adult gray foxes in Mississippi. J. Wildlife Manage. 64: 742-751. 

  5. Chamberlain, M., B. Leopold and L. Conner(2002) Space use, movement and habitat selection of adult bobcats(Lynx rufus) in Central Mississippi. Am. Midl. Nat. 149: 395-405. 

  6. Choi, T.Y. and C.H. Park(2006) The effects of land use on the frequency of mammal roadkills in Korea. J. Kor. land. Arc. 34: 52-5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oi, T.Y. and H.M. Choi(2007) Wildlife tracks and signs of Korea. Dolbegae, Seoul, 303pp. (in Korean) 

  8. Choi, T.Y.(2007) Road-Kill Mitigation Strategies for Mammals in Korea: Data Based on Surveys of Road-kill, Non-wildlife Passage Use, and home-range.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219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Downs, J.A. and M.W. Horner(2008) Effects of point pattern shape on home range estimates. J. Wildlife Manage. 72: 1,813-1,818. 

  10. Fortin, M. and M. Dale(2005) Spatial analysis ; a guide for ecologis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65pp. 

  11. Grassman Jr, L.I.(2000) Movements and prey selection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a dry evergreen forest in Thailand. Acta Theriol. 45: 421-426. 

  12. Grassman Jr, L.I., M.E. Tewes, N.J. Silvy and K. Kreetiyutanont(2005) Spatial organization and diet of the leop 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north-central Thailand. J. Zool. 266: 45-54. 

  13. Haase, P.(2001) Can isotropy vs. anisotropy in the spatial association of plant species resolve physical vs. biotic facilitation? J. Veg. Sci. 12: 127-136. 

  14. Hutto, R.L.(1985) Habitat selection by nonbreeding migratory land birds. p. 455-476 In: M.L. Cody (ed.). Habitat Selection in Birds. Academic Press, Orlando. 

  15. Izawa, M., D. Oh, T. Miyakuni, S. Moteki, T. Hiyama and T. Doi(2006) The forest habitat for and endngered felid, the Tsushima leopard cat living in Tsushima island, Japan. A report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Japan. (in Japanese) 

  16. Izawa, M., T. Doi and Y. Ono(1991) Ecological study on the two species of Felidae in Japan. In Wildlife conservation: present trends and perspectives for the 21st century: 141-144. 

  17. Maruyama, N. (Eds). Yokohama: Japan Wildlife Research Centre. Izawa, M., T. Doi, N. Nakanishi and A. Teranishi(2009)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wo endangered subspecies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on Japanese islands. Biol. Conserv. 142: 1,884-1,890. 

  18. Jacobs, J.(1974)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food selection. Oecologia, 14: 413-417. 

  19. Jang, W.S., P.S. Park, A.R. Han, K.Y. Kim, M.P. Kim and H.K. Park(2010) The Spatial Distribution of Quercus mongolica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Tree Species in Two Quercus mongolica Stands in Mt.Jiri, Korea. J. Ecol. Field Biol. 33(1): 67-77. 

  20. Johnson, D.H.(1980) The comparison of usage and availability measurements for evaluating resource preference. Ecology 61: 65-71. 

  21. Kauhala, K. and M. Auttila(2010) Estimating habitat selection of badgers - a test between different methods. Folia Zoologica 59: 16-25. 

  22. Laver, P.N. and M.J. Kelly(2008) A critical review of home range studies. J. Wildlife Manage. 72: 290-298. 

  23. Lee, B.H., C.M. Won, Y.S. Cho and S.H. Han(2008) Taxonomy and Status and Geographic Variations of Prionailurus bengalensi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report. (in Korean) 

  24. Lee, D.K. and W.K. Song(2008) A study on the analytic unit of habitat suitability assessment and selection in conservation area for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Focus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J. Kor. Land. Arch. 130: 64-72. (in Korean) 

  25. Lee, O.(2008) Study on the prey ha bit and habitat preference of the 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 Master Thesis, Chonnam National Univ. Kwangju, Korea, 53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Mech, L.D. and S.M. Barber(2002) A critique of wildlife radio-tracking and its use in national parks. A report to the U.S. National Park Service, pp. 19-20. 

  27. MLTM(2010) Yearbook of road statistic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Report, Seoul, Korea, 1659pp. (in Korean) 

  28. Mohr, C.O.(1947) Table of equivalent populations of North American small mammals. Am. Midl. Nat. 37: 223-249. 

  29. Oh, D., S. Moteki, T. Hiyama, A. Ueno, K. Mackawa and M. Izawa(2005) Seasonal and local variation of home range size of the leopard cat in Tsushima islands. Proceeding of 9th International Mammalogical Congress, pp. 382-383. 

  30. Rabinowitz, A.(1990) Notes on the Behavior and Movements of Leopard Cats, Felis bengalensis, in a Dry Tropical Forest Mosaic in Thailand. Biotropica 22(4): 397-403. 

  31. Rajaratnam, R.(2000) Ecology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Tabin Wildlife Reserve, Sabah, Malaysia. PhD thesis, Universiti Kebangsaan Malaysia, Bangi, Malaysia. 

  32. Rajaratnam, R., M. Sunquist, L. Rajaratnam and L. Ambu(2007) Diet and habitat selection of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borneoensi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in Sabah, Malaysian Borneo. J. Trop. Ecol. 23: 209-217. 

  33. Rho, P.(2009) Use of GIS to Develop a Multivariate Habitat Model for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n Mountainous Region of Korea. J. Ecol. Field Biol. 32(4): 229-236. 

  34. Sanderson, J., S. Sunarto, A. Wilting, C. Driscoll, R. Lorica, J. Ross, A. Hearn, S. Mujkherjee, J.A. Khan, B. Habib and L. Grassman(2008) Prionailurus bengalensis. In: IUCN(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www.iucnredlist.org. Downloaded on 10 April 2012. 

  35. Schmidt, K., N. Nakanishi, M. Okamura, T. Doi and M. Izawa(2003) Movements and use of home range in the Iriomote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irimotensis). J. Zool. 261: 273-283. 

  36. Seaman, D.E. and R.A. Powell(1996) An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kernel density estimators for home range analysis. Ecology 77: 2,075-2,085. 

  37. Seaman, D.E., J.J. Millspaugh, B.J. Kernohan, G.C. Brundige, K.J. Raedeke and R.A. Gitzen(1999). Effects of sample size on kernel home range estimates. J. Wildlife Manage. 63: 739-747. 

  38. Turner, M.G., R.H. Gardner and R.V. O'Neill(2001) Landscape Ecology in Theory and Practice:Pattern and Process. Springer-Verlag, New York, 416pp. 

  39. Woo, D.G.(2010) Wildlife Habitat Conservation Plan of Leopard cats and Raccoon dogs in Gang-Seo Ecological Park, Seoul, Korea. Seoul National Univ. Master's Thesis, 113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0. Woon, M.H., S.H. Han, H.S. Oh and J.G. Kim(2004) The Mammals of Korea. Dongbang media, Seoul, 274pp. (In Korean) 

  41. Worton, B.J.(1989) Kernel methods for estimating the utilisation distribution in home-range studies. Ecology 70: 164-168. 

  42. Worton, B.J.(1995)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o evaluate kernel- based home range estimators. J. Wildlife Manage. 59: 794-8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