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Predicting the Goshawk's habitat are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Case Study area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3, 2015년, pp.333 - 343  

조해진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김달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신만석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강태한 (한국환경생태연구소) ,  이명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미흡한 조류 번식지 예측 모형을 이용해 참매의 서식지 예측 및 대체번식지로서 이용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참매 번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보호관리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방안이다. 참매의 번식지는 현장조사에서 확인된 둥지(N=10)를 이용하였으며, 출현지점은 제3차자연환경조사를 통해 확인된 참매출현지점(N=23)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모형변수로는 지형인자 4가지, 자연환경인자(식생) 3가지, 거리인자 7가지, 기후변수 9가지를 활용하였다. 활용변수 중 Random sampling을 통해 확보된 비출현 좌표와 출현좌표간 비모수 검증을 통해 최종 환경변수를 선정하였다. 유의성 검증을 통해 선택된 변수는 번식지 대상 10가지, 출현지점 대상 7가지였으며, 이 변수를 활용해 최종 서식지 예측 모형(MaxEnt)을 구축하였다. 모델 구축결과 번식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혼효림 과의 거리, 입목밀도, 경급의 순이었으며, 출현지점에 활용된 각 변수별 모형 기여도는 온도의 계절적 변동, 수계와의 거리, 경작지와의 거리, 경사도의 순이었다.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기후환경과 숲 내부에서 번식하는 참매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예상서식지는 충청북도 중부 이북지역으로 예상되었으며, 그 면적은 $189.5km^2$(2.55%)였다. 충북 이남지역은 청주와 충주 등의 비교적 큰 도시가 발달되어 있는 반면 충청북도 북부지역의 경우 산림과 경작지가 고루 발달되어 있어 번식에 있어 일정한 세력권과 먹이원이 필요한 참매로서는 번식에 유리한 지역일 것으로 판단된다. 출현지점 대상으로 한 모델링은 면적이 $3,071km^2$(41.38%)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여 단순이동 관찰 및 계절적인 변동 미고려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번식지점을 대상으로 한 모델링보다 광범위한 서식예상지역을 예측하였다. 결과에서 확인된 예측지점은 번식지를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정밀한 서식예측이 가능하나, 둥지의 특성상 확인되는 지점이 적고, 참매의 행동영역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을 경우 더 광범위한 지점에 대한 결과 도출이 가능하였으나, 단순 이동이나 지속적인 이용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밀도에서는 다소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참매의 서식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특히 정밀한 번식지역의 예측자료는 환경영향평가나 개발계획 수립시 서식지 모형 결과를 도입하여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goshawk's possible and replaceable breeding ground by using the MaxEnt prediction model which has so far been insufficiently used in Korea, and providing evidence to expand possible protection areas for the goshawk's breeding for the future. The field research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미흡한 멸종위기종인 참매의 번식지 및 출현지점을 대상으로 예측 모형을 구축하여 참매의 번식지 예측 및 대체서식지로서 이용 가능한 지역을 선정하고, 향후 참매 서식 가능지역을 대상으로 보호 관리 지역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 시도된 참매의 번식지 모델링 및 출현지점에 대한 모델링은 차후 멸종위기종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 구축 및 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이다. 아직 많은 수의 번식둥지와 관찰정보가 적은 종이기 때문에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관찰정보의 축적이 필요하며, 서식지 분석에 사용된 정보가 모델링의 대상지인 충청북도 중 일부 구간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지역 환경에 기초한 모델링 결과라는 점은 본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멸종위기 생물로서 맹금류의 특징은? 최근 많은 국가에서 생물을 하나의 자원으로 인식하고 생물자원의 확보 및 보호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 맹금류(Raptorial birds)는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분류군이 많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국내에 계절적으로 도래하거나 연중 서식하는 맹금류 중 대부분이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또는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법정 보호를 받고 있다. 일부 맹금류의 경우 개체수 감소의 정도가 심해 종 절멸의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인 증식복원을 통한 개체군 유지 및 보전활동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다.
참매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종인 참매는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북부에 넓게 분포하는 중형의 맹금류로 국내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Ⅱ급,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제 323-1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5a; 2005b;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9). 전 세계에 8아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번식 시기는 2월에서 8월까지로 알려져 있다(Donald and Lillian, 1989; Hoyo et al.
국내에서 맹금류를 인위적으로 증식복원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가? 일부 맹금류의 경우 개체수 감소의 정도가 심해 종 절멸의 위기에 처해 있으며, 인위적인 증식복원을 통한 개체군 유지 및 보전활동이 필요한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증식·복원 종합계획’ 시행에 따라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멸종위기종의 증식·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Chungcheongbukdo(2011) A White Paper on chungcheongbuk provincial government. pp. 7-9.(in Korean) 

  2. Austin. K.K.(1994) Habitat Use and Home Range Size of Breeding Northern Goshawks in the Southern Cascades. A master's thesis, Univ. of Oregon, U.S.A., 57pp. 

  3. Beier. P., E. C.Rogan, M.I. Ingraldi and S.S. Rosenstock(2008) Does forest structure affect reproduction of northern goshawks in ponderosa pine forest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342-350. 

  4. Boal. C. W., D.E. Andersen and P.L. Kennedy(2003) Home range and residency status of Northern goshawks breeding in Minnesota. The Condor. 105:811-816. 

  5. Byholm. P. and M. Kekkonen(2008) Food regulates reproduction differently in different habitats: Experimental evidence in the goshawk. Ecology. 89(6): 1696-1702. 

  6. Cho, J. H., C.H. Lee, T.K. Baek(2011) A Study on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 Case Study of Jin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91-10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T.Y and C.H. Park(2005) Establishing a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Heude)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6):23-3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9) Overview of Korean Natural Heritage: Animal. kumgang printing house. pp.70-72. (in Korean) 

  9. DeStefano, S. and J. McCloskey. (1997) Does vegetation structure limit the distribution of Northern Goshawks in the Oregon coast ranges. Journal Raptor Res. 31:34-3. 

  10. Donald W. and Q. Lillian(1989) A Guide to Bird Behavior vol III. Little Brown and Company, U.S.A., 397pp. 

  11. Frankin J.(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6pp. 

  12. Hoekman, S.T., J. Ball and T.F. Fondell(2002) Grassland birds orient nests relative to nearby vegetation. Wilson Bulletin. 114:450-456. 

  13. Horie, R., K. Endo, J. Nonaka, H. Hunatsumaru and M. Koganezawa(2006) Nest site selection of Northern Goshawks Accipiter gentilis in Nasunogahara, Tochigi Prefecture, central Japan, Jan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55(2):41-47 

  14. Horie, R., K. Endo, J. Nonaka and K. Ozaki(2007) Seasonal change in home range of male Northern Goshawk in central Japan. Jan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56(1):22-32. 

  15. Hoyo, D., A. Elliott and J. Sargatal(1992)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2. Linx edicions. pp.160-163. 

  16. Ishizuka, T. and Y. Ikeda(1996) Goshawk breeding in coastal windbreak forest in Ishikawa, STRIX, 14:197-200. 

  17. Iwami, Y.(1996) Some Prey Items of Three Species of Hawks (Goshawk Accipite rgeneilis, Sparrowhawks A.nisus and Buzzard Buteo buteo) in Tokachi District, Eastern Hokkaido. Jap. J. Ornithol. 45:37-38. 

  18. Kang, J.E. and M.J. Lee(2012)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Using Fuzzy Model and GI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19-13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D.M. and H.S. Oh(2013) Breeding Ecology according to Altitude and Temperature Variation in Timouse. Korean J. Environ. Ecol. 27(6):666-67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D.S. and S.A. Jung(2013) Developing Analytical Model for Locating Preferred Ecovillage Sites Using GIS: The Case Study of Bukgu, Poha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30-46.(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H.G.(2012) Study on the method establishing protected areas for the prediction of habitat distribution changes of living species by climate change : focused on forest vegetations, birds and amphibians, A master's thesis, Univ. of seoul, national, Korea, 102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H.G., D.K. Lee, Y.W. Mo, S.H. Kil, C.Park and S.J. Lee(2013) Prediction of Landslides Occurrence Probability under cimate Change using MaxEnt Model.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1):39-5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im, J. S., B. H. Han and J.I. Kwak(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Wildbirds and Temperature for Six Years: A Case Study of Worldcup Park in Seoul,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4(3):227-23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im, K.C. and O.S. Kwon(2000) Estimating the Biological Growth Function of Korean Anchovy:A Maximum Entropy Approach. Journal of Korean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9(2):285-30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im S.K., N.S. Kim, S.W. Cheong, Y.H. Kim, H.C. Sung and S.R. Park(2008) A Habitat Analysis of the Historical Breeding Sites of Oriental White Storks(Ciconia boyciana) in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Korea.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25-13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laver R.W., D. Backlund, P.E. Bartelt, M.G. Erickson, C.J. Knowles, P.R. Kmowles and M.C. Wimberly(2012) Spatial analysis of northern goshawk territories in the black hills, south dakota. Condor. 114(3):532-543. 

  27. Kwon, H.S. (2011) Integrated Evaluation Model of Bio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Focused on Mt. Jiri , Mt. Deokyu and Mt. Gaya regions. Ph. D. thesis, Univ. of Seoul national, Korea, 120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Kwon, H.S., J.E. Ryu, C.W. Seo, J.Y. Kim, D.O. Lim and M.H. Suh(2012a)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5):735-74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Kwon, H.S., C.W. Seo and C.H. Park(2012b)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3): 11-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D.K. and H.G. Kim(2010) Habitat Potential Evaluation Using MaxEnt Model: Focused on Riparian Distance, Stream Order and Land Use. J. Korean Env. Res. Tech. 13(6):161-17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S.G., S.G. Jung, K.H. Park, K.T. Kim and W.S. Lee(2010) A Prediction Model and Mapping for Forest-Dwelling Birds Habitat Using GIS.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62-7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orraine, T. C(2000) Nesting habitat selection and productivity of Northern Goshawks in west-central montana. Ph. D. thesis, Univ. of Montana, U.S.A., 87pp. 

  33. Matsue, M., H. Momose, M. Ueta and N. Fujiwara(2006) Factors Affecting the Breeding Density of Northern Goshawks (Accipiter gentilis).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69(5): 513-518. 

  34. Ministry of Environment(2005a) Announcement of Ministry of Environment. pp.29. (in Korean) 

  35. Ministry of Environment(2005b) Picture book of endangered wild animals and plants. Ministry of Environment. p.78.(in Korean) 

  36. Philips, S.J., M. Dudik, R.E. Schapire(2006) Maximum entropy Approach to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Proceedings of the Twenty-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p. 655-662. 

  37. Seo, C.W., T.Y. Choi, Y.S.Choi and D.Y.Kim(2008) A Study on Wildlife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for Goral (Nemorhaedus caudatus raddeanus) in Seorak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3):28-3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Shin, M.S.(2013) Species Distribution Model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Focused on city in Boryeong. A master's thesis, Univ. of Junbuk, national, Korea, 102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mithers, B. L., C.W.Boal and D.E. Andersen(2005) Northern goshawk diet in minnesota: An analysis using video recording systems. Journal Raptor Res. 39(3):264-273. 

  40. Speiser, R., and T. Bosakowski(1987) Nest site selection by Northern Goshawk is northern New Jersey and south eastern New York. Condor. 89:387-394. 

  41. Squires, J.R. and L.F. Ruggiero(1996) Nest-site preference of Northern Goshawk in south central. Wyoming J.Wildl. Manage. 60:170-177. 

  42. Song W.K. and E.Y. Kim(2012)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Species Distribution Methods for Habitat Analysis of the Kore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argyropu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171-18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Suzuki. T. (1999) Nesting Habitat of the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in the Tokachi Plain, Eastern Hokkaido. Jan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48(2):135-144. 

  44. Tornberg. R. and A. Colpaert(2001) Survival, ranging, habitat choice and diet of the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during winter in Northern Finland. IBIS. 143:41-50. 

  45. Toyne. E. P.(1998) Breeding season diet of the Goshawk Accipiter gentilis in Wales. Ibis. 140(4): 569-579. 

  46. Uchida, H., S. Shigeru, S. Suzuki, T. Watanabe, Y. Ishimatu, I. Tanaka, S. Aoyama, H. Nakamura, M. Noumi, H. Nakajima and M. Sakurai(2007) Breeding ecology of Northern Goshawk at hilly terrain area in central Japan, Janpanese Journal of Ornithology. 56(2):131-140. 

  47. Ueta M., H. Momose, Y. Yamada, K.D. Tanaka and M. Matsue (2006) Habitat use and natal dispersal patterns of fledgling Goshawks. Bird Research 2:1-10. 

  48. Ueta M., R. Horie, H. Uchida and K.Endo(2010) Estimation of home ranges and important foraging areas of Northern Goshawks based on nest distributions, vegetation and land-use. Bird Research. 6: 1-9. 

  49. Widen, P. (1989) The hunting habitats of goshawks Accipite rgentilis in boreal forests of central Sweden. Ibis. 131:205-213. 

  50. Yi, J.H, C.H. Baek, J.W.Jung, K. S. Youm and S.R. Cho.(2011) Studies on Breeding Ecology of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at South Korea. Kor. J. Orni. 18(2): 171-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1. Yi, J.H, I.K. Lee, C.R.Baek and S.R. Cho.(2013) Studied on Habitat and Nest Characteristic of the Breeding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in South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6(5):83-9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2. Yun J.M.(2012)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Space Syntax and GIS: ACase Study of the Hadeok Area in Dangji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3-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3. Zar, J.H.(1984) Biostatistical Analysi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718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