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Geumsun Valley and Weonjeok Valley in Naejangsan(Mt.)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3, 2012년, pp.412 - 425  

배기욱 (신성엔지니어링)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종엽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장재훈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을 대상으로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 특성을 밝혀냄으로써 국립공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조사결과, 굴참나무군집(47.3%)과 졸참나무군집(17.0%) 등 참나무류군집(64.3%)이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나, 계곡부에는 개서어나무군집(7.5%)과 느티나무군집(6.9%)이 분포하고 있었다. $400m^2$ 크기의 조사구 20개소를 설정하여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 기법을 이용하여 군집분류를 실시한 결과, 들메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굴피나무-느티나무군집, 느티나무군집, 낙엽활엽수혼효군집, 비목나무-말채나무군집 등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금선계곡은 평균경사 $20^{\circ}$의 전석지대 계곡부로서 수령 86년생의 들메나무군집, 수령 56~79년생의 개서어나무군집, 수령 48~71년생의 개서어나무-굴피나무-느티나무군집이 분포하고 있었다. 원적계곡은 평균경사 $11^{\circ}$의 전석지대 계곡부로서 수령 52~71년생의 느티나무군집, 수령 49~70년생의 낙엽활엽수혼효군집, 수령 43~51년생의 비목나무-말채나무군집이 분포하고 있었다. 군집별 천이경향은 대부분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400m^2$ 당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0.8220(들메나무군집)~1.3850(개서어나무군집)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Geumsun valley and Weonjeok valley of Naejangsan(Mt.) National Park to provide the data for park manag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Quercus variabilis community(47.3%)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지구의 금선계곡뿐만 아니라 내장사가 위치한 원적계곡까지 포함한 유역권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그동안 조사되지 않았던 계곡부 일대 자연식생의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여 국립공원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장산 이름의 유래는? 내장산(763m)은 본사 영은사(本寺 靈隱寺)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이라고 불렀으나 산 안에 숨겨진 것이 무궁무진하다하여 내장(內藏)산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지명도 내장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정읍시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내장산은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해발 600∼700m의 기암괴석이 말발굽의 능선을 그리고 있고, 호남의 금강이라 불리어 예로부터 조선 8경의 하나로 이름나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는 남원 지리산, 영암 월출산, 장흥 천관산, 부안 능가산(변산)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손꼽힌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기후적 특성은? 내장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학적으로는 한반도 남부아구에 속하고(Lee and Yim, 1978), 식물군계 수준(formation level)으로는 한국냉온대 남부에 속하나(Yim and Kira, 1975) 저지대에서는 차나무, 비자나무, 굴거리나무, 털노박덩굴, 약난초, 이나무 등이 분포하고 있어 난대적 특징을, 고지대에서는 신갈나무가 군락을 이루어 냉온대 중부의 특징을 볼 수 있는 곳이었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내장산국립공원은 식생구조 특성과 천이계열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내장산국립공원 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는? 본 연구는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산지구의 금선계곡뿐만 아니라 내장사가 위치한 원적계곡까지 포함한 유역권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그동안 조사되지 않았던 계곡부 일대 자연식생의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여 국립공원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 G.W.(2011)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Geumsun Valley and Weonjeok Valley Plant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Univ. of Seoul, 94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Barnes, B.V., Z. Xu and S. Zhzo(1992) Forest ecosystems in an old-growth pine-mixed hardwood forest of the Changbai Shan Preserve in northeastern Chain. Can. J. For. Res. 22: 144-160. 

  3. Brower, J.E and J.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o, H.S., K.S. Song, B.H. Han and E.H. Park(2000)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3(4): 382-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S.H., K.J. Song and K.J. Lee(1997) The Vegetation Structure of Fraxinus mandshurica Community in Mt. Minjuji, Youngdong-gun, Chungcheongbuk-do,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1(2): 166-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i, S.H., K.K. Oh, H.S. Cho and H.M. Kang(201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5(2): 175-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ox, G.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 232pp. 

  8.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9. Han, B.H., I.T. Choi, K.S. Ki, S.H. Hong and W.K. Choi(2006)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deciduous broad- Leaved forest at Bongraegugok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Presented at the 2006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pp. 55-58. (in Korean) 

  10.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11. Hill, M.O.(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Systematics, Cornell University, Ithacca, N. Y., 52pp. 

  12. Kil, B.S., J.U. Kim and Y.S. Kim(2000) Forest Vegetation of Southern Area of Mt. Naejang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3: 231-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U.(1987)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in Naejangsan National Park.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Chung-Ang University, 123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Kim, K.S.(1983) Taxanomical Study of Lichens in the National Park Mt. Naejang A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Chonbuk National Univ., 27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MA(2010) 1981-2010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678 pp. 

  16. Lee, K.J., B.H. Kim and D.W. Kim(1999)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Kojedo District, Hallyo-Haesang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2(4): 331-3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K.J., C.H. Ryu and S.H. Choi(1991)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n Orimok, Yongsil and Donaeko Area in Mt. Halla. Korea. Kor. J. Env. Eco. 6(1): 2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K.J., G.H. Goo, J.S. Choi and H.S. Cho(1991)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Daewon Vally in Mt. Chiri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Korea. Kor. J. Env. Eco. 5(1): 54-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K.J., K.K. Oh and J.C. Jo(1988)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Visitor's Activities in Mt. Naejang Park (I) - Analysis of the Vegetational Structure by the Ordination Techniques -. Journal of Korean Forestry 77(2): 166-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Korea. Kor. J. Env. Eco. 7(2): 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K.J., S.H. Min and B.H. Han(1997)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Jujeongol Valley of Sorak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0(2): 283-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K.W.(1992)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Sungkyunkwan Univ., 173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8: appendix 1-33. 

  24. Lim, Y.H. and K.K. Oh(2000)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Population in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3(1): 17-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 John Wiley & Sons Publication, N. Y., 337pp. 

  26. Monk C.D., G.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27. Oh, K. K. and S. H. Choi(1993) Vegetational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Regio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6(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Oh, K. K. and W. Cho(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ea. Kor. J. Env. Eco. 8(1): 2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Oh, K.K. and S.G. Park(2002)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5(4): 330-3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I.H.(1985) Forest Structure, Biomass, and Net Production in a Natural Forest Ecosystem at Mt. Baekun Are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Seoul Univ., 48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Park, I.H., K.J. Lee and J.C. Jo(1987)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Bukhan area.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1(1): 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385pp. 

  33.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ogiske Skrifter 5(4): 1-34. 

  34.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 1-80. 

  35. Yang, H. and W. Yegang(1986) Tree composition, age structure and regeneration strategy of the mixed broad-leaved Pinus koraiensis(Korean pine) forest in Changbai Mountain Preserve. In: The Temperate Forest Ecosystem. Edited by Yang, Wang, Jeffers and Ward 12-20(ITE symposium no. 20) Antu, Jilin Province. 

  36. Yim, K.B., I.H. Park and K.J. Lee(1980) Phytosociological Chang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duced by Insect Damage in Kyonggi-do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50: 56-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anese J. Ecol. 25: 77-8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