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복지관 프로그램 운영자의 옥상녹화 구성요소 선호도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Green Roof Operato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6 no.3, 2012년, pp.454 - 462  

윤지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강은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장애인들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복지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옥상녹화지의 공간, 시설 및 식재식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지는 세 지역으로 전원형태의 복지관인 남양주 장애인복지관, 도심형의 서울 장애인복지관, 전원과 도심의 중간형태를 띠고 있는 시흥 장애인복지관을 선정하여 대상지별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지역 모두 50%이상이 복지관내 옥상녹화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이용목적으로는 산책과 대화의 장소로서 옥상을 활용하고 있었다. 시설물 선호도는 세 지역에서 벤치, 파고라, 휴지통 등 휴게시설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식재식물은 허브식물, 관상수 등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을 선호하고 있었다. 공간선호도의 경우 텃밭, 체험실습장, 생태습지 등 원예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자연체험공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는 휴식공간과 함께 장애인들의 자연학습공간으로서 충분히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선호 프로그램의 경우 자연체험프로그램(28.9%)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원예프로그램(27.0%) 순으로 나타나 옥상에서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를 단순 휴게의 공간 뿐 아니라 장애인들의 자연체험, 원예치료공간으로서 치유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는 녹화구성요소의 차별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ive use of green rooftop space, facilities and gardening, targeting members from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with disabilities. The thre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studied were, Namyangju Center located in a rural area, Seoul Center located in a urb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의 활용을 위해 옥상녹화가 조성된 장애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장애인들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운영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장애인복지관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구성요소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장애인들의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운영자들의 옥상녹화공간의 인식 및 선호 경향을 파악함으로서 현재, 일률적인 단순한 조성기법에서 벗어나 건물 대상자 특성에 부합된 녹화공간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향후, 장애정도에 따른 세분화된 녹화공간 조성, 효과 검증을 통한 공간별 식재종, 식재기법, 시설물 등의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대상지인 장애인복지관의 옥상녹화지는 대체적으로 최근 조성되었으며(2009∼2011년), 옥상녹화지를 활용한 자체적인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장애인이라는 사회 소외계층에게 자연환경, 녹색치유공간으로서 옥상녹화지의 활용적 관점에서 운영자들의 인식 및 활용 프로그램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장애인복지관과 같은 특수건물의 옥상녹화지 조성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는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예치료의 효과가 장애인들에게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가? Lee et al.(2010)은 장애인들에게 원예활동은 성취감과 만족감을 주고 그에 따른 자존감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자연 속에서 텃밭을 일구거나 수확을 하는 공동체적인 치료 레크리에이션 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회적 관계의 회복, 자아존중, 자아신뢰감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Nam and Lee, 2004). 그러나 장애인들은 원예활동을 하기 위해 장거리를 이동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며 원예활동의 특성상 장기간 주기적인 방문 또한 현실적으로 어렵다.
남양주 장애인복지관은 어디에 위치하여 있는가? 장애인복지관 옥상녹화지 현황(Table 2)으로 남양주 장애인복지관은 2011년 경기농림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은 곳으로 남양주 금곡동에 위치하며 옥상녹화는 4층에 혼합형으로 조성되었다. 옥상면적은 147m2(45평)로 이용공간은 85m2(64%), 녹지공간은 약 62m2(36%)로 구분되었으며 중앙에 텃밭으로 사용하였던 식재대가 소면적(7m2)을 차지하였다.
국내 최초의 장애인복지관의 기관명은 무엇인가? 서울 장애인복지관은 1982년 서울특별시에서 설립하여 성모 수도회에서 위탁관리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의 장애인복지관이다. 서울시 강동구 고덕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9년 서울시에서 지원을 받아 혼합형으로 2층에 조성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H.S., B.L. Yang, S.Y. Hong, K.K. Kim, and H.Y. Oh(2003) A study of management method of planted plants and invasive plants through monitoring on rooftop garden 'Chorokttcul' in Seoul City hall. J. KITLA. 31(3): 114-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uh, K.Y. and I.H. Lee(2004) Evaluating user's cognition and satisfaction in a hospital roofgarden environment: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7(2): 6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H., H.K. Kang, K.J. Bang, M.H. Kweon, and S.H. Kim(2012) User lever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rooftop afforestation-Emphasis on office building of Seoul cit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5(1): 39-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J.A.(2010) The componets and design guidelines for healing environments - Focused on roof garden in general hospital -.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20-3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J.C.(2003) A study on the promotion of using roof garden construction.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pp. 3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M.Y.(2011) Analysis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uilizing hospital roof garden.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15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M. S., M. Y. Jung, B. I. Chung, S. H. Park, E. Y. Yoo, and D. H. Kang(2010) Survey of job characteris and practice analysis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J. Kor. Soc. Occupational Therapy 18(2): 1-21. 

  8. Nam, H.E. and H.S. Lee(2004) The effect of the therapeutic recreational program improve on the sociality of the youth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43(5): 731-7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Oh, T.S.(2008) A study on the elements of healing function of hospital roof garden.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pp. 34-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andra, A.S., J.W. Vami, R.S. Ulrich and V.L. Malcarnc(2005) Post-occupancy evaluation of healing gardens in a pediatric cancer center.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 167-183. 

  11. Seo, J.K., J.S. Lee, B.H. Kwak, H.R. Kwak and A. K. Lee(2000) Horticultural therapy. pp. 222-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on, G.C., M.K. Cho, J.E. Song, S.Y. Kim and S.S. Lee(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hy. coubook, Seoul, 416 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Song, H.M.(2010) The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of roof garden on the office building and department stor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pp. 55-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Ulrich, R.S.(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20-4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