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 델파이 연구
Key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s for Foreigners in Korea: A Delphi Study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8 no.2, 2012년, pp.137 - 145  

이현희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이병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key el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healthcare services for foreigners in Korea. Method: Delphi technique was used for this study. As the members of an expert panel for this study, 32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were physicians, nurses, administr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 기법은 국내에 외국인의료서비스의 향상에 필요한 요인이나 요소들을 다룬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이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해당 요소들을 확인하고, 그 중요도와 필요도가 높은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된 견해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 즉 진료, 간호, 행정 업무에 경험이 많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인들은 무엇인가, 그 필요성에 있어 우선순위가 높은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의료서비스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에서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단계적 목표를 가진다.
  • 본 연구는 델파이기법을 사용하여 전문가로부터 외국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의 합의를 통해 현 시점에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가장 필요한 요소인 주요 요소를 규명한 연구이다.
  • 1차 조사에서 확인된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요소들의 중요도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차 조사를 위해서는 1차 조사에서 도출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요소와 이들의 빈도를 참여자에게 제시하고, 이들의 중요도를 5점 척도 설문지를 사용하여 표기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외국인의 진료, 간호, 및 의료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 연구로서,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요소를 3차에 걸친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47개 요소와 이들로부터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에 대한 의료관련 사고 및 분쟁에 대한 전문가들의 높은 경각심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우리 정부나 병원협회와 같은 관련 기관을 중심으로 제정된 통일된 외국인과의 의료분쟁 해결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고 및 의료분쟁의 위험성이 있는 의료행위에 대해서는 국내 환자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사전동의를 받도록 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의료서비스의 비용, 기간, 절차 등에 대한 설명’, ‘시술 부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한 정확한 설명’ 및 ‘의료서비스의 비용, 기간, 절차 등에 대한 설명’도 외국인 의료 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에 포함되어 있어 외국인 이용자에게 이들이 받게 될 의료행위에 관한 내용을 사전에 구체적으로 정확히 알려줌으로써 외국인 이용자들의 오해를 줄이고 발생 가능한 의료분쟁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전문가들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이러한 결과는 Lee와 Ko(2010)가 지적한 대로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와 의료관광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들의 건강 및 의료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마련에 장기적이고도 지속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주요 요소를 이 분야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전략 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47개 요소는 외국인 의료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으로도 사용될 수 있어 이 분야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요 요소를 이 분야 전문가들의 합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델파이 연구이다. 연구 결과 현재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의료서비스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성이 높은 주요 요소로는 ‘의료진의 외국어 능력 함양’, ‘의료사고 및 분쟁 시 대응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 ‘영문으로 된 진료 안내지와 설명서 구비’, ‘의료분쟁 예방을 위한 사전동의 획득’, ‘외국인을 위한 질환 및 사례별 의료수가 정립’, ‘시술 부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한 정확한 설명’, ‘외국인 전담 코디네이터 양성’, ‘의료서비스의 비용, 기간, 절차 등에 대한 설명’ 등, 8개가 선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 거주하고 있지 않은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법적 기준이 마련된 시기는? 최근 우리나라에 장, 단기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를 찾는 의료관광객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는 이미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특히 우리 정부에서 의료관광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고, 2009년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지 않은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법적 기준이 마련됨에 따라(Medical Law, 2009, January 30)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외국인에 대한 의료 서비스는 이들의 건강문제 및 삶의 질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우리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나아가 우리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외국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특히 우리 정부에서 의료관광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고, 2009년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지 않은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법적 기준이 마련됨에 따라(Medical Law, 2009, January 30) 외국인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외국인에 대한 의료 서비스는 이들의 건강문제 및 삶의 질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우리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나아가 우리 의료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소비와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인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외국인 환자 전담 코디테이터 교육에 언어나 국제적 예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문화에 대한 교육도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이유는? 특히 외국인 전담 코디네이터는 의료관광이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 육성하는 사업으로 인정됨에 따라 외국인 의료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Asako(2007)는 일본의 경우 외국문화에 유능한 인력 개발에 장애가 되는 요인으로 외국인에 대한 노출 결여, 문화적 요인, 언어의 어려움 등을 들면서, 외국인의 문화에 적합한 의료서비스가 아닐 경우 자국 의료 시스템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의료서비스 결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외국인 환자 전담 코디테이터 교육에는 언어나 국제적 예절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국문화에 대한 교육도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sako, S. (2007). Developing a culturally competent health care workforce in Japan: Implications for education.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8(3). 140-144. 

  2. Roh, S. Y. (2006). Delphi Technique: Predicting future through professional insight. Planning and Policy, 299, 53-62. 

  3. Jang, Y. S., & Shin, C. N. (2005).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patient at international clinic of university hospital.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1(1), 46-54. 

  4. Jensen, N. K., Nielsen, S. S. & Krasnik, A. (2010). Expert opinion on "best practices"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services to immigrants in Denmark. Danish Medical Bulletin. 57(8), A4170. 

  5. Kennedy, H. P. (2004). Enhancing Delphi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5(5), 504-511. 

  6. Kim, J. S. (2004). Survey of services provid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foreign worker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es, 30(1), 24-35. 

  7. Kim, A. R. (1997). The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migrant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8. Kong, G. S. (2000). Medical utilization by foreigner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9. Leduc, N., & Proulx, M. (2004). Patterns of Health Services Utilization by Recent Immigrant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6(1), 15-27. 

  10. Lee, B., Ko, Z. (2010). Study on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Medical Services(The Health and Medical Care) for the Foreign Workers. Han Yang Law Review, 31, 323-352. 

  11. Lee, B. S., Oh, I. K., & Lee, E. M. (2011). Foreign residents' experience of Korean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226-237. 

  12. Lee, E. J. (2002). Activation of Mobile Medical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3. Mendoza, F. S. (2009). Health disparities and children in immigrant families: a research agenda. Pediatrics, 124(3), 187-195. 

  14. Medical Law. (2009, January 30). National Archives of Korea. Retrieved April 26, 2012, from http://contents.archives.go.kr/next/content/listSubjectDescription.do?id001497&pageFlagA. 

  15. Oxman-Martinez, J., Hanley, J., Lach, L., Khanlou, N., Weerasinghe, S., & Agnew, V. (2005). ntersection of Canadian Policy Parameters Affecting Women with Precarious Immigration Status: A Baseline for Understanding Barriers to Health.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4), 247-258. 

  16. Ruppen, W., Bandschapp, O, & Urwyler, A. (2010). Language difficulties in outpatients and their impact on a chronic pain unit in Northwest Switzerland. Swiss Medical Weekly, 140(17-18), 260-264. 

  17. Shin, H., Song, H., Kim, J., & Probst, J. C. (2005). Insurance, Acculturation, and Health Service Utilization Among Korean-American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7(2), 65-74. 

  18. Skulmoski, G. J., Hareman, F. T., & Krahn, J. (2007). The Delphi Method for Graduate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6, 1-21. 

  19. Thompson, M. (2009). Considering the implication of variations within Delphi research. Family Practice, 26(5), 420-424. 

  20. Wang, S. (2009). Comparative study of hospital service quality, loyalty and patient satisfac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21. Yeo, O. (2003). A study on the medical service increment for the foreign labor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2. Yeo, S. (2004). Language barriers and access to care. Annual Review of Nursing Research , 22, 59-7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