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주류광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동영상 맥주광고 내용분석
An Exploratory Content Analysis of Beer Advertisements in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2, 2012년, pp.47 - 58  

이재경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슬기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재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of beer advertisements in Korea. Research has suggested the influence of alcohol advertisements on viewer's drinking behavior, attitude, and expectancies. Korea's policy on alcohol advertising relies on limited government regulation and s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별히 청소년에게 영향력 있는 매체로 분류되는 TV에 맥주광고가 대부분을 차지(17도 미만의 주류만 광고가능)하고 있고, 국내 주류광고 지출비용에서 맥주광고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주류광고 송출이 가장 많은 매체가 지상파TV와 케이블TV라는 점(Lee, Chung, & Kim, 2011)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TV방송매체에 송출된 동영상 맥주광고를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제한적인 국내 선행연구를 보완하고 주류광고 규제정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국내 주류광고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후)주류 광고의">주류광고의 내용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직까지 주류광고 내용분석이라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탐색적이고 기술적으로 광고내용분석에 접근하고자 한다. 특별히 청소년에게 영향력 있는 매체로 분류되는 TV에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목표는 주류광고에 나타난 주제, 주류광고에 등장하는 광고모델의 특성, 주류광고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현방법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토대로 주류광고 규제정책 보완을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주류광고 규제정책을 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이를 통한 음주폐해 감소와 예방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국내 동영상 맥주광고가 담고 있는 광고의 주제, 광고에 나타난 모델, 광고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현방법 등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논의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동영상 후)내용 분석을">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논의에서는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동영상 맥주광고의 내용과 특성을 정리하고, 국내 주류광고 규제정책 보완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 2009; Kim,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계적 정책 수립에 초점을 두고,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류광고 규제정책 보완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편향되고 왜곡된 주류의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광고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 후)주류 광고">주류광고 규제정책의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상황에서 본고는 비록 동영상 맥주광고로 한정했을지라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광고되고 있는 주류광고를 대상으로 광고가 담고 있는 주제와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가 주류광고 규제 정책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에 추후 연구는 이러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류광고는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주류광고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특히 주류광고는 청소년의 음주태도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 알코올 사용과 관련한 지식이나 인식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Ellickson, Collins, Hambarsoomians, & McCaffrey, 2005; Fleming, Thorson, & Atkin, 2004; Gordon, Hastings, & Moodie, 2010; Grube & Waiters, 2005; Grube & Wallack, 1994; Hastings, Anderson, Cooke, & Gordon, 2005; Jones & Magee, 2011; Kim, Chang, Kim, Lee, & Jeong, 2008; Mazis, 1995; Snyder, Millici, Slater, Sun, & Strizhakova, 2006; Stacy, Wogg, Unger, & Dent, 2004). Atkin & Block (1981)의 연구는 청소년의 음주신념과 행동에 대한 주류광고 효과를 보여준 가장 잘 알려진 연구로써, 주류광고에 과도하게 노출된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음주자가 매력적이고, 건강하거나, 성공한 가치있는 사람이라고 믿는 경향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는 기업에서 생산하는 공산품에 대한 소비, 판매를 위해 판촉과 마케팅하는 것으로 더 많은 이윤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Linn, 2004). 하지만 소비자와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공산품들에 대한 일부 광고는 적절한 여과없이 판매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광고내용에 적절한 주의와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남용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가 소비자와 사용자의 책임으로 전가되고 있기도 하다(Linn, 2004). 주류광고는 이러한 광고방식을 잘 보여주는데, 독특한 경험을 만들어 내기 위해 다양한 기술과 방법을 사용하고(Jernigan & O’Hara, 2004), 그 결과 긍정적인 사회문화적 상징과 음주로 인한 긍정적 기대효과를 갖게 하는 믿음을 확산시키고 있다(Hastings, Anderson, Cook, & Gordon, 2005).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란 무엇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는 기업에서 생산하는 공산품에 대한 소비, 판매를 위해 판촉과 마케팅하는 것으로 더 많은 이윤창출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Linn, 2004). 하지만 소비자와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한 공산품들에 대한 일부 광고는 적절한 여과없이 판매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광고내용에 적절한 주의와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남용으로 인해 초래되는 결과가 소비자와 사용자의 책임으로 전가되고 있기도 하다(Linn,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tkin, C. K., & Block, M. (1981). Content and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Report no. PB-82-123142. Washington, DC: Bureau of Tobacco, Alcohol, and Firearms. 

  2. Atkin, C. K., Hocking, J., & Block, M. (1984). Teenage drinking: Does advertising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34(2), 157-167. 

  3. Atkin, C. K., Neuendorf, K., & McDermott, S. (1983). The role of alcohol advertising in excessive and hazardous drinking. Journal of Drug Education, 13(4), 313-325. 

  4. Austin, E. W., & Hust, S. J. T. (2005). Targeting adolescents? The content and frequency of alcoholic nonalcoholic beverage ads in magazine and video formats November 1999-April 2000.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10(8), 769-785. 

  5. Babor, T., Caetano, R., Casswell, S., Edwards, G., Giesbrecht, N., Graham. K., Grube, J., . . . Rossow, I. (2010). Alcohol: No ordinary commodit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6. Baek, S. G., Bong, M. S., & Park, J. A. (2008). Erotic representation and its meaning in the Korean internet advertisements: A semiotic approach on the 'Mild-Soju' advertisemen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10(3), 122-162. 

  7. Beccaria, F. (2001). Italian alcohol adverti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ntemporary Drug Problems, 28(Fall), 391-414. 

  8. Chae, B. R. (2008). The influence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advertising eff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9. Christie-Mizell, C. A., & Peralta, R. L. (2009). The gender gap in alcohol consumption during late adolescence and young adult roles. Journal of Health & Social Behavior, 50, 410-426. 

  10. Cho, S. G., & Kim, H. S. (2009). Alcohol advertising self-regulation study. Seoul, Korea: Korea Alcohol Research Center. 

  11. Chun, S. S., Percoheles, G., & Kim, J. R. (2008). The influence of mass media entertainment on drinking.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9(2), 1-12. 

  12. Chun, S. S., Son, E. L., Yoo, J. H., Welch, M., Reid, E., Yoon, S. M., . . . Percoheles, G. (2009). Strategies for the National Alcohol Control Policy. Seoul, Korea: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3. Chung, K. H. (2006). A study of the influences of drinking scenes in television beer advertising on the consumer.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8(1), 187-218. 

  14. Ellickson, P. L., Collins, R. L., Hambarsoomians, K., & McCaffrey, D. F. (2005). Does alcohol advertising promote adolescent drinking? Results from a longitudinal assessment. Addiction, 100, 235-246. 

  15. Finn, T. A., & Strickland D. E. (1982). A content analysis of beverage alcohol advertising: II.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3(9). 964-989. 

  16. Fleming, K., Thorson, E., & Atkin, C. K. (2004).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and perceptions: Links with alcohol expectancies and intentions to drink or drinking in underage youth and young adults.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9, 3-29. 

  17. Gordon, R., Hastings, G., & Moodie, C. (2010). Alcohol marketing and young people's drinking: What the evidence base suggests for policy? Journal of Public Affairs, 10, 88-101. 

  18. Grube, J. W., & Waiters, E. (2005). Alcohol in the media: Content and effects on drinking beliefs and behaviors among youth. Adolescent Medicine Clinic, 16, 327-343. 

  19. Grube, J. W., & Wallack, L. (1994). Television beer advertising and drinking knowledge, beliefs, and intentions among school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 254-259. 

  20. Hester, R, K., & Miller, W. R. (1995). Handbook of alcoholism treatment approaches : Effective alternatives. Boston, MA: Allyn and Bacon. 

  21. Hastings, G., Anderson, S., Cooke, E., & Gordon, R. (2005). Alcohol marketing and young peoples' drinking: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Public Health Policy, 26, 296-311. 

  22. Jeon, C. H., & Kim, J. E. (1996). Television beverage advertising and drinking knowledge and intentions among schoolchildr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3(1), 1-20. 

  23. Jernigan, D. H. & O'Hara, J. (2004). Alcohol advertising and promotion, background papers. In National Research Council Institute of Medicine (Eds.), Reducing Underage Drinking: A collective responsibility (pp. 597-624).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Jones, S. C., & Donovan, R. J. (2002). Self-regulation of alcohol advertising: Is it working for Australia? Journal of Public Affairs, 2(3), 153-165. 

  25. Jones, S. C., & Magee, C. A. (2011). Exposure to alcohol advertising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Australian adolescents. Alcohol and Alcoholism, 46(5), 630-637. 

  26. Jeong, H. G. (2010).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alcohol advertising and drinking behavior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Korea. 

  27. Kim, Y. J. (2012, March 10). Need for better travel culture. Promotion targeting Gyung-Chun Express travelers. Kangwon Domin Ilbo. Retrieved from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04541 

  28. Kim, G. K. (2003). A review of socioeconomic measures to control alcohol consumption and alcohol-related problem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4(1), 5-23. 

  29. Kim, G. K., Chang, C. G., Kim, J. M., Lee, S. M., & Jeong, H. K. (2008). A study of drinking promoting alcohol advertisement and environment. Seoul, Korea: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30. Kim, S. H., & Cha, T. H. (2008). A study on sex appeal advertising expressed in print med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15, 35-46. 

  3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Korea: Author. 

  32. Korea Public Health Association (KPHA). (2011). 2010 alcohol beverage monitoring report. Seoul, Korea: Author. 

  33. Korean Alcohol and Liquor Industry Association (KALIA). (2010). Working together to reduce alcohol related harm. Seoul, Korea: Author. 

  34. Krippendorff, K. (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35. Krippendorff, K. (2011). Computing Krippendorff's alpha-reliability. Retrieved from http://repository.upenn.edu/asc_papers/43 

  36. Lee, B. J. (2002). Research on nudity expressions in sexually appealing advertisements: Focused in liquor & cosmetic printing advertis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tsity, Korea. 

  37. Lee, E. Y., & Kim, H. H. (2009). Fonction discursive et changement d'image de femme dans la publicite coreenne des produits alcooliques. French Culture and Art Studies, 27, 1-30. 

  38. Lee, J. K., Chung, S. K., & Kim, J. O. (2011). An analysis of Korean alcohol advertising expenditure.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12(2), 73-91. 

  39. Lee, M. H., & Cha, T. H. (2010). A study on appearing in liquor ad case of sex appeal: Focused on advertising self-regulation, and sensation issu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29, 153-166. 

  40. Linn, S. (2004). Consuming Kids. New York, NY: The New Press. 

  41. Mazis, M. B. (1995). Conducting research on nontraditional media in the marketing of alcoholic beverages. In S. E. Martin (Ed.), The Effects of Mass Media on the Use and Abuse of Alcohol (pp. 239-244). NIAAA Research Monograph No. 28, NIH Publication No. 95-3743,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42. Park, M. S. (1999). A comparative study of advertising creative strategy and appeals in Korean and Japanese alcohol drink advertise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Korea. 

  43. Park, M. S. (2004). A study on dysfunctional aspect of alcoholic drinks AD-Structur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ca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Korea. 

  44. Pasch, K. E., Komro, K. A., Perry, C. L., Hearst M. O., & Farbakhsh. K. (2007). Outdoor alcohol advertising near schools What does it advertise and how is it related to intentions and use of alcohol among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68, 587-596. 

  45. Pinsky, I., & Silva, M. T. A. (1999). A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of alcohol advertising on Brazilian televis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0, 394-399. 

  46. Riffe, D., Lacy, S., & Fico, F. G. (1998). Analyzing Media Messag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7. Skog, O. J. (1999). Implication of the distribution theory for drinking and alcoholism. In D. Piteeman and H. White (Eds.), Society, Culture, and Drinking Patterns Reexamined (pp. 576-597). New Brunswick, NJ: Rutgers Center of Alcohol Studies. 

  48. Snyder, L. B., Millici, F. F., Slater, M., Sun, H., & Strizhakova, Y. (2006).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on drinking among youth.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60, 18-24. 

  49. Stacy, A. W., Wogg, J. B., Unger, J. B., & Dent, C. W. (2004). Exposure to televised alcohol ads and subsequent adolescent alcohol use.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28(6), 498-509. 

  50. Strickland, D. E., Finn, T. A., & Lambert, M. D. (1982). A content analysis of beverage alcohol advertising: I. Magazine advertising.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3(7), 655-682. 

  51. Stubblefield, B. C., & Singh, N. (2004). Studying influences of underage drinking in the United States: A content analytic study of alcohol advertisements in popular magazines. Journal of Academic Business Economics, 4, 77-81. 

  52. Tak, J. Y.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television alcoholic beverage advertising on consumers' social behaviors: Focusing on priming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3(1), 153-181. 

  53. Voas, R. B., & Fell, J. C. (2010). Preventing alcohol-related problems through health policy research. Alcohol Research & Health, 33, 18-28. 

  54. World Health Organization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Abuse. (2004). Global status report: alcohol policy.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