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의 하부층 현무암질 집괴암 층내 염기성 암맥에서 산출되는 타킬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화산학적 의미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Tachylite occurring in Basic Dike, Basaltic Agglomerate Formation, Ulleung Island and Its Implications of Volcanic Activity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2, 2012년, pp.63 - 76  

배수경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추창오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타킬라이트는 현무암질 용암의 급랭에 의해 형성된 흑색의 현무암질 유리질암로서 울릉도 최 하부층 현무암질 집괴암 내에서 드물게 산출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타킬라이트의 산출특징과 미세조직의 광물학적 특징을 규명하고, 울릉도 초기 화산활동의 의미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타킬라이트의 산상을 조사하고 편광현미경, XRD, EPMA, SEM을 이용하여 광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타킬라이트는 내수전, 도동 및 저동 해안산책로, 거북바위, 예림원 지역 현무암질 집괴암 내 염기성 암맥 주변부에서 산출된다. 타킬라이트의 폭은 수 cm 내지 10 cm까지 다양하다. 타킬라이트의 겉 표면은 치밀하고 매끈하나, 내부는 패각상 깨짐이 특징적이다. 타킬라이트의 기질부는 유리질과 같은 비정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립질의 반정광물로는 흑운모, 아노소클레이즈, 새니딘, 사장석, 각섬석, 및 티탄철석 등이 소량으로 포함된다. 타킬라이트에서 특징적으로 발달하는 균열은 아원형, 타원형이 우세하며, 간혹 여러 다면체를 보이는데, 경계부가 구획되어 일종의 구상체나 덩어리를 이룬다. 조직과 광물조성의 특징으로 볼 때, 타킬라이트는 가수분해작용과 같은 후속 저온성 변질작용을 거의 받지 않았다. 타킬라이트의 산출특징은 울릉도 하부층인 현무암집괴암층의 대부분이 수중환경에 있었거나, 최소한 해수에 포화되어 있었음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achylite, black basaltic glass formed by the rapid cooling of molten basalt, locally occurs at the Basaltic Agglomerate Formation (BAF), the lowest formation of Ulleung Isla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haracterize the occurrence and mineralogy of tachylite and to elucidate its formatio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울릉군의 지원(울릉도 세계지질공원 등재 추진을 위한 학술연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린다. 논문을 검토하고 건설적인 개선안을 제시한 두 분의 심사위원께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울릉도 현무암질 집괴암층내 염기성 암맥의 최외곽부에서 산출하는 타킬라이트의 광물학적 및 냉각특징을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현무암질 집괴암층의 화산학적 생성환경을 고찰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타킬라이트 자체의 지질학적 연구나, 노두 규모의 암맥상으로 산출하는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슈도타킬라이트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한편, 슈도타킬라이트(pseudotachylite)는 높은 응력의 심부단층대에서 마찰열로 인해 단층암이 국부적으로 용융되어 형성되는데, 타킬라이트와 유사 하게 검은 유리질을 나타내는 이유로 인해 ‘슈도 (pseudo)’를 타킬라이트 앞에 붙인 용어이다. 슈도 타킬라이트는 단층지진에서 중요하며 비교적 산출이 흔하므로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진 데 비하여(Ferr et al.
타킬라이트는 무슨 색을 띠는가? 타킬라이트(tachylite)는 화산암이 급랭하면서 형성되는 검정색 내지 담갈색을 띠는 현무암질 유리암(basaltic glass)을 지칭하는데, 특히 현무암질 마그마 기원의 암맥, 암상(sill), 베개용암(pillow lava) 의 냉각연변부(chilled margin) 등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타킬라이트는 특히 수중환경이나 빙하지역에서 현무암질 용암이 급랭하면서 형성되므로 이는 빙하, 해양, 수중화산체의 생성환경을 해석하는데 중요하다.
타킬라이트질 암편이 화산성 퇴적물이나 응회 암에 포함되는 예시는? 국내의 경우, 타킬라이트질 암편이 화산성 퇴적물이나 응회 암에 간혹 포함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제주도의 일부 수중 응회환(tuff ring)의 응회암내에 타킬라 이트 파편이 퇴적물 입자로 포함되거나(Sohn and Park, 2005), 신생대 마이오세 팔조리 응회암의 괴상화산력 응회암 내 암편들 중에서 타킬라이트가 소량으로 존재한다(정종옥 외, 2006). 이들은 현무암질 용암이 수성화산활동(hydrovolcanic activity) 동안 용암의 가장자리나 껍질부에서 타킬라이트가 형성된 후, 침식, 파쇄되어 퇴적작용으로 운반된 것들로서 라필리(lapilli) 크기의 암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규한 (1996) 울릉도 저동지역의 제4기 저동층의 새로운 층서 설정. 한국지구과학회지, 17, 383-390. 

  2. 김기범, 이기동 (2008) 울릉도의 화산층서와 단층에 대한 연구. 지질공학, 18, 321-330. 

  3. 김윤규, 이대성 (1983) 울릉도 북부 알카리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6, 19-336. 

  4. 노진환, 홍진성 (2005) 장기지역 범곡리층군에 부존되는 진주암의 산출상태와 생성관계. 한국광물학회지, 18, 277-288. 

  5. 민경덕, 김옥준, 윤석규, 이대성, 김규한 (1982) 한국남부의 백악기말 이후의 화산활동과 광화작용에 대한 판구조론의 적용성 연구(II).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6. 민경덕, 김옥준, 윤석규, 이대성, 김규한 (1988) 한국 남부의 백악기말 이후의 화성활동과 광화작용에 대한 판구조론 적용성 연구(II). 지질학회지, 24, 특별호, 11-40. 

  7. 송용선, 박계헌, 박맹언 (1999) 울릉도 화산암의 주원소, 희토류 및 미량원소 지구화학. 암석학회지, 8, 57-70. 

  8. 송용선, 박맹언, 박계헌 (2006) 울릉도와 독도 화산암의 생성연대 및 진화사. 암석학회지, 15, 72-80. 

  9. 원종관, 이문원 (1984) 울릉도의 화산활동과 암석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20, 296-305. 

  10. 이대성 (1954) 울릉도의 지질.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 199-207. 

  11. 임지현, 추창오, 장윤득 (2011) 울릉도 부석 기질의 암석? 광물학적 특성. 한국광물학회지, 24, 151-164. 

  12. 정기영 (2011) 울릉도 조면암질 유리의 변질에 의한 할로이사이트의 생성. 한국광물학회지, 24, 111-118. 

  13. 정종옥, 권창우, 손영관 (2006) 한반도남동부 마이오세어일분지의 팔조리응회암: 하성-호성환경에서의 일차 및 이차 화산쇄설성 퇴적작용. 지질학회지, 42, 175-197. 

  14. 진명식, 신흥자, 권석기 (2005) 한반도의 화성암과 화성 활동.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10p. 

  15. Blenkinsop, T.G. and Fernandes, T.R.C. (2000) Fractal characteriz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n chromites from the Great Dike, Zimbabwe. Pure Appl. Geophys., 157, 505-521. 

  16. Davis, B.K. and McPhie, J. (1996) Spherulites, quench fractures and relict perlite in a Late Devonian rhyolite dyke, Queensland, Australia. J. Volcanol. Geotherm. Res., 71, 1-11. 

  17. Ferre, E.C., Allen, J.L., and Lin, A. (2005) Pseudotachylytes and Seismogenic Friction: Current Research. Tectonophysics, 402, Special Issue. 1-168. 

  18. Kingery, W.D., Bowen, H.K., and Uhlmann, D.R. (1976) Introduction to Ceram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p1032. 

  19.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 Petrol., 27, 747-750. 

  20. Maichera, D., White, J.D.L., and Batiza, R. (2000) Sheet hyaloclastite: density-current deposits of quench and bubble-burst fragments from thin, glassy sheet lava flows, Seamount Six, Eastern Pacific Ocean. Marine Geol., 171, 75-94. 

  21. Portner, R.A., Nathan R. Daczko, N.R., and Dickinson, J.A. (2010) Vitriclastic lithofacies from Macquarie Island (Southern Ocean): compositional influence on abyssal eruption explosivity in a dying Miocene spreading ridge. Bull. Volcanol., 72, 165-183 

  22. Ross, C.S. and Smith, R.L. (1955) Water and other volatiles in volcanic glasses. Am. Mineral., 40, 1071-1089. 

  23. Smith, C.S. (1964) Some Elementary Principles of Polycrystalline Microstructures, Metall. Rev. 9, 1-48. 

  24. Sohn, Y.K. and Park, K.H. (2005) Composite tuff ring/cone complexes in Jeju Island, Korea: possible consequences of substrate collapse and vent migration. J. Vol. Geotherm. Res., 141, 157-175. 

  25. Tuffen, H. and Castro, J.M. (2009) The emplacement of an obsidian dyke through thin ice: Hrafntinnuhryggur, Krafla Iceland, J. Vocanol. Geotherm. Res. 185, 352-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