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통생활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보육현장의 세시풍속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ld Caregivers' Awareness and Educational Training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0 no.3 = no.117, 2012년, pp.193 - 208  

주영애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basic data o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and seasonal custom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6 questions was developed. The data was collected by 287 child caregivers in Incheon Metro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사회적으로도 관심있게 다루어져 왔던 연구와 그 결과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육현장을 중심으로 최근에는 보육교사들이 전통생활문화와 세시풍속교육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어떻게 교육 실행을 하고 있는지에 관하여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육시설에서 전통생활 문화 및 세시풍속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 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제기하고자 하고자 한다.
  • 첫째, 믿음의 심성함양, 둘째, 윤리의식의 고취, 셋째, 공동체 의식의 고취, 넷째, 예능을 통한 정서함양의 고취, 다섯째, 긴장과 이완의 리듬을 통한 생산적 의의, 여섯째, 만남의 자리를 마련해 주는 가정교육의 장 등을 들었으며 이를 실천화하기 위해 어렸을 때부터 제도교육에서 세시풍속에 대한 교육을 시켜야 하며 '사회교육'에서도 함께 하는 다각적인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이와 더불어 새롭게 정착된 풍속과 세시풍속, 세시풍속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교육도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세시풍속의 인식과 교육실행에 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육시설에서 유아들에게 전통생활문화 교육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인천지역의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은 제한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서 보육현장에 적용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방안에 대하여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들의 세시풍속에 대한 인식조사를 토대로 하여 보육현장에서의 전통생화문화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시풍속을 계절의 변화에 따라 1년 동안 행해지는 우리 민족의 풍속으로 정의하고 1년 중 12가지 절기 (설, 정월대보름, 입춘, 삼월 삼짓날, 한식, 사월초파일, 단오 유두, 칠석, 추석, 중양절, 동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세시풍속의 인식과 교육실행에 관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보육시설에서 유아들에게 전통생활문화 교육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인천지역의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은 제한이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서 보육현장에 적용될 필요가 있는 몇 가지 방안에 대하여 제언을 하고자 한다.
  • Moon(2004a)의 연구에서도 우리의 전통사상과 전통문화 교육은 유아의 다양한 영역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 따라서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기초가 되는 전통문화와 사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유아시기의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 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생활문화나 세시 풍속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라 하겠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에게는 유아의 체험과 시청각 교육을 위한 자료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란 무엇인가? 전통이란 네이버국어사전에 따르면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ㆍ관습ㆍ행동 따위의 양식이며, 일상생활을 통해서 대대로 현재까지 전해 내려우는 것을 의미(Lee, 2002) 한다. 문화란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 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 (http://krdic.naver.
네이버 국어사전에 따르면 전통이란 무엇인가? 전통이란 네이버국어사전에 따르면 어떤 집단이나 공동체에서, 지난 시대에 이미 이루어져 계통을 이루며 전하여 내려오는 사상ㆍ관습ㆍ행동 따위의 양식이며, 일상생활을 통해서 대대로 현재까지 전해 내려우는 것을 의미(Lee, 2002) 한다. 문화란 사회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양식이나 생활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 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며,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 (http://krdic.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탐색하고 반영한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섯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전통문화 교육기회를 높임으로서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이해를 높여 전통문화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는 등의 내용이었다. 또한 Hong and Kim(2010)은 우리의 전통문화는 환경교육적 요소가 많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그 교육적 가치와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하며 실제 연구결과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 정서지능 및 창의성 증진 및 공동체 의식증진에 효과가 크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탐색하고 반영한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할 것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고병익(1982). 동아시아의 전통. 서울 : 일조각 

  2. 김득중(2005). 실천생활예절. 서울 : 교문사 

  3. 김신연(2001). 전통생활예절. 서울 : 민속원 

  4. 안혜숙.주영애.김인옥(2002). 한국의 가정의례와 세시풍속. 서울 : 신정출판사. 

  5. 양윤정.조성기.우주희(2009). 전통문화의 창조적 계승 발전을 위한 교육방안 탐색 세미나.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자료. 

  6. 이길표.주영애(1999). 한국전통생활문화연구. 서울 : 신광출판사. 

  7. 이복규(2007). 한국전통문화의 이해. 서울 : 민속원 

  8. 탁석산(2001). 한국의 주체성. 서울 : 책세상 

  9. Bae, E.(2010). A study on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administration of a hereditary yearly customs program in child educare center.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0. Bak, S. & Ju, Y.(2002). Infant social education by traditional life culture. Seoul : Yangseowon. 

  11. Bak, E., Bak, D. & Lee, H.(2003).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of Traditional Living Culture for Viable Rural Community.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9(1), 37-46. 

  12. Choi, E. Lee, S., & Lee, S.(2005).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Kindergarten Curriculum,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281-317. 

  13. Cho, H.(2009).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18, 49-77. 

  14. Chun, M.(2009). The Effects of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Using Seasonal Customs on Young Children's Economic Concepts and Pro-Social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5. Ha, Y. & Yoo, T.(2003). The Effects of ICT Teaching Method on Interest in Home Economics, Consciousness on Traditional Culture, Achievement Test, and Performance Assessment in High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1(11), 135-150. 

  16. Ha, J.(2004). An Ethnographic Inquiry on the Practice of a Hereditary Yearly Customs Program in Child Educare Center.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9(4), 239-260. 

  17. Hong, E.(2008).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contents in the curriculum of the kindergarten and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8. Hong, J. & Kim, Y.(2010).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0 No.3 

  19. Jae, C.(2009). Culture : Social Educational Significances of the Annual Cyclic Rites, Kprean Thought and Culture. 47, 197-214. 

  20. Jeon, K. & Park, C.(2003).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meaning inquiry approach and forming their national identity,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7(2), 33-57. 

  21. Jo, H.(2003). A comparative study on traditional life culture in Korea, China and Japan. national culture. 12, 23-34. 

  22. Jung, S.(2000). An Analysis on parents' and young children educators' needs for teaching Korean seasonal cust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Ju, Y. & Kim, S.(2003). Development of the Program Model about Our Traditional Seasons-Customs for Children's Etiquette -Education Centering on the Seol/Taeborem/Tano/Choosuk. The Korean Traditional Living culture. 6(1), 127-137. 

  24. Kim, H.(2009). A study o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shown in elementary textbook. Joongang folklore. 

  25. Kim, J.(2006). A Study on Revitalization Methods of Traditional Customs Education through Analyzing Demand Characteristics.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Universtiy. Incheon. 

  26. Kim, H.(2008). Effect of infant's basic lifestyle forming of seasonal customs in infant education fie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aya University. Gimhae. 

  27. Kim, M.(2003). Educational meaning of seasonal customs and practice. Asia Comparative Folklore 25, 175-208. 

  28. Kim, M.(2005). Urban life and seasonal customs. Korea folklore. 41, 17-49. 

  29. Koh, M.(2005).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ctiv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0. Lee, G.(2002).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Early Childhood Education. 11(1), 79-92. 

  31. Lee, P.(2004). Research on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of life in the practical ar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ajor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ongju. 

  32. Lee, S., & Lee B.(2009). Development of an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3), 67-77. 

  33. Lee, Y.(2007). A Discourse on the Ecological Folklore and Development of Eco-kid Education - in the case of the education of season's custom in Gwangju& Jeonnam Eco-kid Community, The Korean Folklore. 46, 43-74. 

  34. Moon, M.(2001) Manner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raditional childcare program. 3. teachersuji/ parentssuji,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5. Moon, M., Min, H., Choi, y., Seong, Y., Han, J., Lee, M. & Song, J.(2004). Seoul women's university - kindergarten program-,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regular general assembly and symposium. 103-117. 

  36. Oh, C.(2002).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Tradition Cultural Education Centering around Sesi(Time & Seasons) Custo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ild Development & Welfar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Jeonju. 

  37. Pak, H. & Ahn, Y., Ahn, B. & Kim, J.(2007). A study of the effect and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play-materials based on the traditional plays in Kyong-Nam area.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4(3), 1-23. 

  38. Pyun, H.(2007). Aspects of Acceptance of Traditional Customs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Going beyond Limitations, The Korean Folklore. 46, 105-136. 

  39. Sea, H.(2003). A Study on a Program Model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genc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illa University. Pusan. 

  40. Seo, S.(2008).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urrent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nsan, Kunsan. 

  41. http://www.familynet.or.kr 

  42. http://krdic.naver.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