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발목관절에 테이핑 적용이 보행속도와 관절각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Joint Taping Applied to Patients with Hemiplegia on Their Gait Velocity and Joint Angle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4 no.2, 2012년, pp.157 - 162  

이민석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준희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박승규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정일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nkle Joint Taping applied to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on their gait velocity and joint angles. Methods: We randomly extracted a clinical sample from 30 patients with hemiplegia resulting from stroke and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of a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누워 있는 상태에서 발목관절 외과의 말단을 후외측 상방으로 통증이 없는 범위까지 밀어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20 cm의 테이프 2개를 비골 원위부에서 외과에서 시작해 아킬레스건을 지나 사선방향으로 적용하였다. 강화를 위해 두 번째 테이프를 같은 방법으로 적용한다.
  •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전 보행속도 검사(time to up and go test)를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장비를 통한 보행시의 환측 발목의 관절각도 값을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반적 운동치료(근력강화, 관절 가동범위 증진, 신장 운동)와 10분 동안 Treadmill에서 걷기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만 테이핑을 1일 8시간 주 5회 적용하고 2주간 시행하여 보행속도 및 보행 중 발목관절각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전라남도 1개 의료기관 물리치료센터에서 실험에 참여하고자 하는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로 진단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전 보행속도 검사(time to up and go test)를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장비를 통한 보행시의 환측 발목의 관절각도 값을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반적 운동치료(근력강화, 관절 가동범위 증진, 신장 운동)와 10분 동안 Treadmill에서 걷기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만 테이핑을 1일 8시간 주 5회 적용하고 2주간 시행하여 보행속도 및 보행 중 발목관절각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측정 방법은 트레드밀 위에서 2분씩 총 2번 시도하여 발목관절 움직임에 대한 최대값의 평균 테이터를 수집하였다. 트레드밀 보행속도는 뇌졸중 환자 보행속도의 중간 속도인 0.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전라남도 1개 의료기관 물리치료센터에서 실험에 참여하고자 하는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로 진단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전 보행속도 검사(time to up and go test)를 측정하였고, 3차원 동작분석장비를 통한 보행시의 환측 발목의 관절각도 값을 측정하였다.
  • 1초이었다. 실험군은 뇌경색 10명, 뇌출혈 5명이었으며, 대조군은 뇌경색 9명, 뇌출혈 6명이었다. 환측은 실험군은 우측 편마비 7명, 좌측 편마비 7명이었으며, 대조군은 우측 편마비 7명, 좌측 편마비 7명의 분포를 보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연구변수는 없었으므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 연구 대상자는 2009년 7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전라남도에 소재한 W 병원에서 치료 중인 뇌졸중으로 인해 편마비로 진단받은 환자 30명으로, 운동이나 보행에 있어 의학적 금기에 해당되지 않는 자, 균형 및 보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물투여나 근골격계 질환이 없는 자, 운동이나 보행에 있어 의학적 금기에 해당되지 않는 자, 심박수나 혈압이 안정적인 자, 보조 장치에 관여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45 m 이상 보행이 가능한 자, 지시하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지시에 따를 수 있는 자와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총 30명이었다. 연령 분포는 실험군에서 53.
  • 실험군은 뇌경색 10명, 뇌출혈 5명이었으며, 대조군은 뇌경색 9명, 뇌출혈 6명이었다. 환측은 실험군은 우측 편마비 7명, 좌측 편마비 7명이었으며, 대조군은 우측 편마비 7명, 좌측 편마비 7명의 분포를 보여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연구변수는 없었으므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데이터처리

  • 14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이 검사에서 14초가 넘게 나올 경우 높은 낙상의 위험이 있으며 보행 시 지팡이와 같은 보조도구가 필요하다.15 검사자는 대상자가 일어나서 다시 앉을 때까지의 시간을 초 시계를 통해 기록하였으며,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본 연구를 위한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용 SPSS 14.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보행속도 그리고 환측 발목 관절각도에 대한 집단 간 동질성 비교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 보행속도 그리고 환측 발목 관절각도의 비교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보행속와 환측 발목 관절각도 변화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은 α=0.

이론/모형

  • 보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TUG test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기본적인 운동성과 균형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 팔걸이가 있는 50 cm 높이의 의자에서 일어나 전방 3 m 지점을 돌아 다시 의자에 앉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로는 보행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속도측정검사(time to up and go test, TUG)를 사용하였고, 보행 중 환측 발목 관절각도와 보폭을 측정하기 위해 3차원 동작분석장비를 사용하였다.
  • 연구 대상자 발목관절의 각도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3차원 모션 Capture 시스템을 이용하였다(Gaitlab, 오스트리아). 3차원 동작분석기는 세 개의 카메라와 삼각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운데 카메라는 active 반사마커의 적외선 광센서를 이용하여 위치지점을 받아들이도록 되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이란 무엇인가? 보행이란,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몸의 무게 중심을 이동 시키는 율동적인 일련의 운동이라 한다.3,7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서 운동학적 변인인 관절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단하지 보조기와 기능적 전기자극 적용 후 과도한 족저굴곡과 전반슬의 보행양상 변화가 개선되었음을 관찰하고, 이러한 과도한 족저굴곡은 편마비보행의 특징으로 유각기에서 편마비측 진출과 계단보행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지적하였다.
편마비의 발생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편마비는 뇌출혈, 뇌경색 등 몇 가지 원인에 의한 뇌졸중과 외상으로 인해 뇌에 출혈 또는 손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뇌 병변으로 인한 편마비 발병의 연령층 또한 점점 젊어지는 추세이다.
뇌졸중 환자의 비정상적인 보행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가? 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특성은 비대칭적인 체중 지지와 자세와 더불어 족하수, 첨족, 전반슬 등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서 체간의 측굴이나 회선 보행 등의 비정상적인 보행이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행속도가 느려지고,4,5 근수축의 동원 순서와 활성도의 변화로 인하여 에너지 소비가 늘어나 일상생활 활동의 범위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발목은 체중부하 과정에서 하지 근육의 기능과 협력작용을 통해 신체를 지지해주고, 발바닥 촉각을 통해 신체의 자세에 대한 감각정보를 제공해주며, 신제의 작은 흔들림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GA. A case study of tretment group program of hemiplegia patient and family. Ewha Womans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3. 

  2. Statistics Korea. 2009. 

  3. An CS, Jung S. A study on gait analysis of normal adult and hemiplegia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2;14(3):143-8. 

  4. Chu KS, Eng JJ, Dawson AS et al. Water-based exercise for cardiovascular fitnes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70-4. 

  5. Kim WH. The effect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stroke patients on physiological cost index during walking. J Korean Acad Rehab Med. 2006;13(1):32-7. 

  6. Runge CF, Shupent CL, Horak FB et al. Ankle and hip postural strategies defined by joint torques. Gait Posture. 1999;10(2):161-70. 

  7. Lee JK. Effects of therapeutic taping on decrease of painful gait syndrome.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1. 

  8. Jang SJ, Kim BJ, Kim CW et al. Effect of plastic ankle foot orthosis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hemiplegic gai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9;23(4):853-60. 

  9. Song GH. The effect of arm sling on gait in patients with hemiplegi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10. Lee JD, Seo JC, Baek YH. The effect of taping therapy on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of poststroke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1;18(2):175-85. 

  11. Kim KS, Seo HM, Lee HD. Effect of taping method on ADL, range of motion, hand function & quality of life in post-stroke Patients for 5 weeks. Korean J Rehabil Nurs. 2002;5(1):7-17. 

  12. Mulligan BR. Manual therapy NAGS, SNAGS, MWMS etc. 5th ed.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 Yoon HI Ltd., 2007;85-7. 

  13. Hughes T, Rochester P.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exercise and taping on proprioception in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Phys Ther Sport. 2008;9(3):136-47. 

  14.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t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142-8. 

  15. Shumway Cook A, Brauer S, Woollacott M.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using the Timed Up & Go Test. Physical Therapy. 2000;80(9):896-903. 

  16. Olney SJ, Griffin MP, Monga TN et al. Work and power in gait of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1;72(5):309-14. 

  17. Carr J, R Shepherd. Clinical physiotherapy specialisation in Australia: some current views. Aust J Physiother. 1996;42(1):9-13. 

  18. Lage KJ, White SC, Yack HJ. The effects of unilateral knee immobilization on lower extremity gait mechanics. Med Sci Sports Exerc. 1995;27:8-14. 

  19. Kerrigan DC, Abdulhadi HM, Ribaudo TA, Della Croce U. Biomechanic effects of a contralateral shoe-lift on walking with an immobilized knee. Ach Phys Med Rehabil. 1997;78:1085-109. 

  20. Joo BG, Yoo JY, Ha SB. Effect of torgue heel on excessive external rotation of hemiplegic foot three dimensional gai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98;22(5):1114-22. 

  21. Hughes T, Rochester P.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exercise and taping on proprioception in subjec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review of the literature. Phys Ther Sport. 2008;9(3):136-47. 

  22.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t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142-8. 

  23. Steffen TM, Hacker TA, Mollinger L. Age-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walking speeds. Phys Ther. 2002;82:128-37. 

  24. Hwang BY. Effects of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rson with chronic stroke. Keimyu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25. Kim YH. Effects of realignment at lower extremities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ople with chronic stroke.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26. Lee SH. Effect of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the balance and gait in patient with hemiplegia.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5. 

  27. Lee DJ, Kim SY, Song C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1):39-45. 

  28. Chang JS, Lee SY, Lee MH et al. The correlations between gait speed and muscle activation or foot pressur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3):47-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