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와 의사의 암성 통증관리 지식 및 인식도
Knowledge and Awareness of Nurses and Doctors Regarding Cancer Pain Management in a Tertiary Hospital 원문보기

Asian Oncology Nursing, v.12 no.2, 2012년, pp.147 - 155  

김희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  박인숙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 ,  강경자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check the levels of cancer pain management knowledge and awareness between doctors and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Participants were 725 nurses and 95 doctors working in a hospital from May 2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교육내용으로">교육 내용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기타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관련한 인식도 결과는 간호사가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변화시키기 위해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인용 암성 통증관리지침 권고안이 현장에 근무하는 간호사와 의사의 암성 통증관리 실무에 변화를 주었는지, 추후 병원 내 통증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필요한 교육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함이며, 이를 위해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가 어떠한지 확인하고 비교하고 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와 의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비교, 확인하여 간호사들을 위한 효율적인 암성 통증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일개 상급 종합병원의 간호사와 의사를 대상으로 암성 통증관리 지식과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725명과 의사 95명을 대상으로 의료진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마약성 진통제 관련 인식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실무에 적합한 통증 관리 교육 및 중재 프로그램을 마련을 위해 수행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와 의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를 비교, 확인하여 효율적인 암성 통증관리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진통제 투약처방을 결정하는 의사와 진통제를 실제 투약하는 간호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통증 및 마약성 진통제 사용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은 적절한 통증관리를 해줄수 있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암에 의한 통증은 적절한 통증관리 원칙이 지켜진다면 70-90%에서 효과적으로 조절된다고 보고된다.5) 이처럼 암환자의 삶의 질과 통증관리는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므로 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통증관리는 치료이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이므로,6) 간호사들은 암환자들의 통증 정도와 통증조절 실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동시에 대상자의 요구와 반응에 근거한 통증조절을 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암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무엇이 있는가? 암환자들은 여러 가지 심각한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게 되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통증이다.2) 따라서 말기 암환자의 간호요구 중 1위를 차지하는 것은 통증 조절이나,3) 실제로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 활동, 보행능력, 대인관계, 수면에 있어 매우 또는 상당한 장애를 겪고 있다4)고 말한 암환자가 50-60%에 달해 통증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말기 암환자의 간호요구 중 1위를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암환자들은 여러 가지 심각한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게 되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통증이다.2) 따라서 말기 암환자의 간호요구 중 1위를 차지하는 것은 통증 조절이나,3) 실제로는 통증으로 인해 일상 활동, 보행능력, 대인관계, 수면에 있어 매우 또는 상당한 장애를 겪고 있다4)고 말한 암환자가 50-60%에 달해 통증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08. Seoul. Available at: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accessed on 1 April 2009]. 

  2. Paice JA. Pain. In: Yarbro CH, Frogge MH, Goodman M, editors. Cancer Symptom Management. 3rd ed. Massachusetts:Jones and Bartlett Publishers;2004. p.77. 

  3. Han KJ, Lee EO, Kim MJ, Park YS, Hah YS, Song MS, et al. Cancer patients' needs when chemotherapy ends. J Korean Oncol Nurs 2005;5: 107-15. 

  4. Kim SO. The plan for systematic improvement in using a narcotic drug to reduce pain for cancer patient in terminal stage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2006. 

  5. Herdon CM. Pharmacologic management of cancer pain. JNN 2003; 35:321-6. 

  6. Gong SW, Ban JY, Seo MS, Hyun SS, Kim HJ, Lee MA, et 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oncology nurse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s. Korean J Adult Nurs 2004;16:5-16. 

  7.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pain management guideline. 3rd ed. Avaliable at;http://www.cancer.go.kr/ncic/cics_t/01/011/index.html[accessed on 1 March 2009]. 

  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Seoul:Ministry Health and welfare press. 

  9. Park HA, Koh MJ, Lee HS, Kim YM, Kim MS. Nurse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a survey from korean cancer pain management project. Korean J Adult Nurs 2003;15: 205-14. 

  10. Kim MR. Knowledge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of clinical nurses [dissertation]. Seoul:Catholic Univ.;2008. 

  11. Hwang KO. Clinical nurses' knowledge and practice on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the pain of patients with cancer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2006. 

  12. Kim HK, Lee HS, Hwang KH, Yoo YS, Lee SM. Positive and negative determinants for pain management in both cancer patients and their nurses. J Korean acad Funda Nurs 2006;13:68-75. 

  13. Kang SG. A study on the nurses' knowledge regarding pain and their pain interventions [dissertation]. Seoul:Chung-Ang Univ.;2007. 

  14. Uhm SY. A study on the knowledge of pain and the pain intervention of clinical nurses [dissertation]. Gongju:Kong Ju National Univ.;2007. 

  15. Jun MH, Park KS, Gong SH, Lee SH, Kim YH, Choi J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clinical nurses versus doctor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6;12:115-23. 

  16. Choi SY. Pain management and pain knowledge of nurses. J Korean Oncol Nurs 2004;4:82-90. 

  17. Lee HY, Lee YO, Choi EY, Park YM. A comparison on stress and coping of bereavement care between nurses in the cancer unit and nurses in the general unit. J Korean Oncol Nurs 2007;7:26-35. 

  18. Lee SH. Knowledge and attitudes of clinical nurses and doctor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dissertation]. Daejeon:Daejeon Univ.;2003. 

  19. Jung KI, Park JS, Kim HO, Yoon MO, Moon MY. A survey of nurses' and doctors' knowledge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J Korean Clin Nurs Res 2004;10:111-24. 

  20. Mun JH. The comparison of physicia's and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ain management [dissertation]. Daegu:Kyungpook National Univ.;2011. 

  21. Park YS, Shin YH. Nurses' knowledge on pain management. Korean J Adult Nurs 1995;6:299-307. 

  22. Kim SJ, Hong EH, Sung LN, Kim ES, Hing EH, Yeum MR, et al. Effects of a systemic pain management method used by a group of nurses on pain management of oncology patients. Korean J Adult Nurs 1999;9: 148-61. 

  23. Hong YS. Past, present and future of hospic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08;51:509-16. 

  24. Sandoval LM.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pain. J Adv Nurs 1999;29: 935-41. 

  25. Vallerand AH, Musto S, Polomano RC. Nursing's role in cancer pain management. Curr Pain Headache Rep 2011;15:250-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