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여, 이 제형의 물리적 특성과 증진된 피부 투과 효과를 평가하였다. 탄성 리포좀은 인지질과 계면활성제의 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루틴을 담지한 탄성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5.7 ~ 298.0 nm, 가변형성은 20.9 ~ 42.5, 포집효율은 52.0 ~ 71.0 %로 측정되었다. 0.1 %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 중에서 인지질과 계면활성제 비율이 85 : 15 인 경우가 가장 높은 포집효율(71.0 %)과 가변형성 지수(42.5)를 나타내었다. 이 제형을 대상으로 피부 투과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일반 리포좀(98.0 ${\mu}g/cm^2$)과 1,3-butylene glycol (76.3 ${\mu} g/cm^2$) 용액보다 탄성 리포좀의 피부 투과능(129.9 ${\mu}g/cm^2$)이 훨씬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Tego^{(R)}$ care 450을 이용한 탄성 리포좀이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repared elastic liposome containing rutin, known as antioxidants, and evaluated the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enhanced skin permeation effect. The elastic liposome was prepared using the different ratios of egg phospholipids and $Tego^{(R)}$ care 450. The mean di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루틴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PEG-free 계면활성제인 Tego care 450를 이용하여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였으며, 탄성 리포좀의 물리적 특징을 평가하고, 이러한 시스템이 루틴의 피부 전달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고 천연물에 널리 존재하는 물질인 루틴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하기 위해 루틴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고 탄성 리포좀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피부 투과 능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어떠한 특성 때문에 경피 전달 시스템이 많이 이용되는가? 피부는 외부로부터의 보호막 역할을 하지만, 효능 물질 투과에 대해 장벽으로 작용한다. 이 때문에 효능 물질을 안정화시키고 경피 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경피 전달 시스템(transdermal delivery systems, TDS)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란? 플라보노이드는 페놀성 화합물로서 주로 배당체의 형태로 식물계에 널리 존재한다. 플라보노이드는 활성산소의 직접적인 소거, 금속이온 킬레이트 작용, 지질 과산화 반응 종결 및 생체 내 산화효소의 작용 저해 등의 다양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피부는 우리 몸 표면 얼마를 덮고 있나? 피부는 대략 우리 몸 표면의 1.8 m2를 덮고 있으며 외부 환경의 여러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1]. 자외선, 환경오염과 같은 외부 스트레스나 잘못된 식습관은 신체 내에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시키고, 이는 피부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 L. Honeywell-Nguyen and Joke A, Bouwstra, Vesicles as a tool for transdermal and dermal delivery, Drug Discovery Today: Technologies., 2(1), 67 (2005). 

  2. G. E. Rhie, M. H. Shin, J. Y. Seo, W. W. Choi, K. H. Cho, K. H. Kim, K. C. Park, H. C. Eun, and J. H. Chung, Aging- and photoaging-dependent changes of enzymic and nonenzymic antioxidants in the epidermis and dermis of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8(4), 741 (2002). 

  3.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1), 75 (1997). 

  4. S. Y. Kim, S. R. Kim, H. Y. Kim, M. Kong, J. H. Lee, H. J. Lee, M. Y. Lim, N. R. Jo,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6(3), 175 (2010). 

  5. N. Kamalakkannan and P. S. M. Prince, Antihyperglyca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rutin, a polyphenolic flavonoid,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Wistar rats, Basic & Clin Pharmacol Toxicol., 98(1), 97 (2006). 

  6. T. Guardia, A. E. Rotelli, A. O. Juarez, and L. E. Pelzer,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plant flavonoids. Effects of rutin, quercetin and hesperidin on adjuvant arthritis in rat, Il Farmaco., 56(9), 683 (2001). 

  7. K. Sattanathan, C. K. Dhanapal, R. Umarani, and R. Manavalan, Beneficial health effects of rutin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APS., 1(8), 227 (2011). 

  8. A. A. Fernandesa, E. L. Novellia, K. Okoshi, M. P. Okoshib, B. P. Di Muzioa, J. F. Guimaraes, and A. Fernandes Junior, Influence of rutin treatment on biochemical alterations in experimental diabetes, Bidmedicine & Pharmacotherapy., 64(3), 214 (2010). 

  9. E. J. An, C. K. Kang, J. W. Kim, and B. S. Jin, Lipid-based vesicles as transdermal delivery system. KIC News., 13(4) (2010). 

  10. G. Cevc and G. Blume, Lipid vesicles penetrate into intact skin owing to the transdermal osmotic gradients and hydration force, BBA - Biomembranes., 1104(1), 226 (1992). 

  11. P. L. Honeywell-Nguyen, H. W. Wouter Groenink, A. M. de Graaff, and J. A. Bouwstra, The in vivo transport of elastic vesicles into human skin: effects of occlusion, volume and duration of application. JCR., 90(2), 243 (2003). 

  12. G. Cevc and G. Blume, New highly efficient formulation of diclofenac for the topical, transdermal administration in ultradeformable drug carriers, Transfersomes, BBA-Biomembranes., 1514(2), 191 (2001). 

  13. M. A. Elsayed, Y. Abdallah, F. Naggar, and M. Khalafallak, Lipid vesicles for skin delivery of drugs: Reviewing three decades of research, Int. J. Pharm., 332(1), 1 (2007). 

  14. G. Ceve, A. Schatzlein, and H. Richardsen, Ultra-deformable lipid vesicles can penetrate the skin and other semipermeable barriers unfragmented. Evidence from double lable CLSM experiments and direct size measurements, Biochim. Biophys. Acta., 1546, 21 (2002). 

  15. W. Johnson, Final report on the safety sssessment of PEG-25 propylene glycol stearate, PEG-75 propylene glycol stearate, PEG-120 propylene glycol stearate, PEG-10 propylene glycol, PEG-8 propylene glycol cocoate, and PEG-55 propylene glycol oleate, Int. J. Toxicology., 20, 13 (2001). 

  16. J. E. Kim, H. J. Lee, M. S. Lim, M. A. Park, and S. N. Park,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lip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Phersicaria hydropiper L.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1), 15 (2012). 

  17. G. Cevc, A. Schatzlein, and G. Blume, Transdermal drug carriers: Basic properties, optimization and transfer efficiency in the case of epicutaneously applied peptides, J. Control. Release., 36, 3 (1995). 

  18. G. Cevc, D. Gebauer, J. Stieber, A. Schatzlein, and G. Blume, Ultraflexible vesicles, transfersomes, have an extremely low pore penetration resistanceand transport therapeutic amounts of insulin across the intact mammalian skin, Biochim. Biophys. Acta, 1368, 201 (1998). 

  19. W. G. Cho, Comparison of drug delivery using hairless mouse and pig skin, J. Kor. Oil. Chemists'Soc., 24, 410 (2007). 

  20. G. M. Maghraby, A. C. Williams, and B. W. Barry, Skin delivery of oestradiol from deformable and traditional liposome: mechanistic studies, J. Pharm. Pharmacol., 51, 1123 (1999). 

  21. D. Lichtenberg, R. J. Robson, and E. A. Dennis., Solubilization of phospholipids by detergents. Structural and kinetic aspects, Biochim. Biophys. Acta., 737(2), 285 (1983). 

  22. J. Lasch, J. Hoffman, W. G. Amelyaneenka, A. A. Klibanov, V. P. Torchilin, and H. Binder, Interaction of triton X-100 and octyl glycoside with liposomal membranes at sublytic and lytic concentration: Spectroscopic studies, Biochim. Biophys. Acta., 1022, 171 (1990). 

  23. S. Jain, N. Jain, D. Bhadra, A. K. Tiwar, and N. K. Jain, Transdermal delivery of an analgesic agent using elastic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Current Drug Delivery., 2, 22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