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 수술 후 성대마비 환자의 기식 음성에 대한 공기역학적 및 음향적 분석
An Aerodynamic and Acoustic Analysis of the Breathy Voice of Thyroidectomy Patient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2, 2012년, pp.95 - 104  

강영애 (충남대학교) ,  윤규철 (영남대학교) ,  김재옥 (강남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yroidectomy patients may have vocal paralysis or paresis, resulting in a breathy voi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erodynamic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a breathy voice in thyroidectomy patients. Thirty-five subjects who have vocal paralysis after thyroidectomy particip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관적 청지각적 평가 소견인 기식성에 대하여 객관적 분석도구인 공기역학적 및 음향적 검사 변수를 확인하고, 기식성을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성대마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청지각적으로 기식성(audible breathy voice)이 있는 경우와 기식성(non-audible breathy voice)이 없는 경우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공기역학적 및 음향적 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기식성을 예측해 줄 변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후 음향학적 검사 결과를 살펴볼 때 갑상선 수술로 인한 음성변화의 결과는? 갑상선 수술로 인한 음성변화는 다양하게 보고되는데, 수술후 음향학적 검사 결과에서 환자의 36%가 호전을 보였고, 47%는 변화가 없었으며, 17%는 더 악화되었다[5]. 또한, 갑상선 수술 후 후두 신경이 보존된 환자들도 발성 피로, 고음과 저음 발성의 어려움, 경미한 쉰 목소리를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6][7].
갑상선이란? 갑상선(방패샘, thyroid gland)은 나비넥타이 모양으로 후두와 기관지상부 앞쪽에 위치하며, 바깥쪽은 피막으로 싸여있어 하나의 형태를 띠지만, 안쪽에는 불규칙한 소엽(lobule)들로 나뉜다. 각 소엽에서는 내분비세포에서 분비하는 갑상샘 호르몬이 들어 있으며 분비량에 따라 기능항진 혹은 기능저하증을 겪게 되어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갑상선 수술로 인한 음성변화의 진단을 위한 방법은? 갑상선 수술 후 음성을 진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후두내시경(laryngeal endoscopy)을 이용한 육안검사, 청지각적 평가 (auditory perceptual evaluation), 음향적 검사(acoustic analysis), 공기역학적 검사(aerodynamic analysis)가 실시된다. 이중 특히 청지각적 평가는 음질을 하나의 개별 요소로 나누어 평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며[8], 평가자 주관적 심리 반영, 숙련도, 음질 영향에 따라 일관성과 신뢰성에 문제를 보이고 있다[9][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auline, M., Carding, P. N., Howard, D. H. & Lennard, T. W.(2008). Change following thyroid and parathyroid surgery, Journal of Voice, Vol. 22, No. 6, 765-772. 

  2. Clark, O. H.(1982). Total thyroidectomy: The treatment of choice for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American Surgical Association, Vol. 196, No. 3, 361-70. 

  3. Han, K. Y., Hong, S. J., Hong, S. J., Lee, S. W., & Nam, S. Y.(2001). Voice and videostroboscopic analysis after neurorrhaphy of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ed during thyroidectomy,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Vol. 44, No. 7, 763-767. (한경열, 홍석준, 홍석중, 이석우, 남순열 (2001). 갑상선절제술시 손상된 반회후두신경에 대한 문합술 후의 음성 및 화상분석,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44권 7호, 763-767.) 

  4. Zakaria, H. M., Al Awad, N. A., Al Kreedes, A. S., Al-Mulhim, A. M. A., Al-Sharway, M. A., Hadi, M. A., & Al Sayyah, A. A. (2011).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in thyroid surgery, Oman Medical Journal, Vol. 26, No. 1, 34-38. 

  5. Li, C., Tao, Z., Qu, J., Zhou, T., & Xia, F. (2010). A Voice acoustic analysis of thyroid adenoma patients after a unilateral thyroid lobectomy, Journal of Voice, Vol. 26, No. 1, e23-e26. 

  6. Sinagar, D. L., Montesinos, M. R., Tacchi, V. A., Moreno, J. C., Falco, J. E., Mezzadri, N. A., Debonis, D. L., & Curutchet, H. P. (2004).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without 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Vol. 199, No. 4, 556-560. 

  7. Akyildiz, S., Ogut, F., Akyildiz, M., & Engin, E. Z. (2008). A multivariate analysis of objective voice changes after thyroidectomy without laryngeal nerve injury,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Vol. 134, No. 6, 596-602. 

  8. Gerratt, B. R., & Kreiman, J. (2001). Measuring vocal quality with speech synthesi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10, No. 5, 2560-2566. 

  9. Ma, E., & Yiu, E. (2006). Multiparametric evaluation of dysphonic severity, Journal of Voice, Vol. 20, No. 3, 380-390. 

  10. Kent, R. D. (1996). Hearing and believing: Some limits to the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of speech and voice disord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of America, Vol. 5, 7-23. 

  11. Kreiman, J., Gerratt. B., Kempster, G., Erman, A., & Berke, G. (1993).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review, tutorial and a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36, No. 1, 21-40. 

  12. Lee, O. B., & Kim S. Y.(2011).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 of voice disord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 Vol. 3, No. 3, 167-172. (이옥분, 김소연 (2011). 음성장애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간의 상관성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 3권 3호, 167-172.) 

  13. Hartl, D. M., Hansa, S., Vaissiereb, J., Riquetc, M., & Brasnu, D. F. (2001). Objective voice quality analysis before and after onset of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Journal of Voice, Vol. 15, No. 3, 351-361. 

  14. Klatt, D. H., & Klatt, L. C. (1990). Analysis, synthesis, and perception of voice quality variations among female and male talker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87, No. 2, 820-857. 

  15. Hillenbrand, J., Cleveland, R. A., & Erickson, R. L. (1994). Acoustic correlates of breathy vocal qualit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39, No. 4, 769-778. 

  16. Bhuta, T., Patrick, L., & Garnett, J. D. (2004).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quality and its correlation with acoustic measurements, Journal of voice, Vol. 18, No. 3, 299-304. 

  17. Pyo, H. Y. & Choi, H. S. (2001). Usage of MDVP in voice and language analysis instruments, Seoul: Hankookmunhwasa, 173-177. (표화영, 최홍식 (2001). 음성 및 언어분석기기 활용법-MDVP의 실제와 활용, 한국문화사, 173-177.) 

  18. Kim, J. O. (2009).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voices of korean normal adults by gender on MDV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 Vol. 1, No. 4, 145-157. (김재옥 (2009). 성별에 따른 한국 정상 성인 음성의 음향학적 평가 기준치. 말소리와 음성과학 1권 4호, 145-157.) 

  19. Kim, H.. T., Cho, S. H., Youn, S. M., Sun, D. I., & Kim M. S. (2000).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acoustic parameters with aging in Korean,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Neck Surgery, Vol. 43, No. 1, 69-74. (김형태, 조승호, 윤성문, 선동일, 김민석, 2000. 연령에 따른 한국인의 음향지표 변화와 특성,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43권 1호, 69-74.) 

  20. Hirano, M.. (1981). Clinical examination of voice, New York: Springer Verlag. 

  21. Niimi, S., Horiguchi, S., & Kobayashi, N. (1991). F0 raising role of the sternothyroid muscle-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two tensors, Stockholm; Singular Publishing Group Inc., 183-188. 

  22. Hong, K. H., Ye, M., Kim, Y. M., Kevorkian, K. F., & Berke, G. S. (1997). The role of strap muscles in phonation in vivio canine laryngeal model, Journal of Voice, Vol. 11, No. 1, 23-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