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 관찰된 바다거북의 좌초와 혼획
Observation and Record of Sea Turtles in Bycatch and Stranding from Jeju Island of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4 no.5 = no.59, 2012년, pp.662 - 669  

정민민 (국립수산과학원) ,  문대연 (국토해양부) ,  김성호 (국립수산과학원) ,  김흥수 (국립수산과학원) ,  김재우 (국립수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되는 바다거북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바다거북(C. mydas) 12마리, 붉은바다거북(C. caretta) 3마리, 매부리바다거북(E. imbricata) 1마리, 미확인 종 25마리 등 총 41마리의 바다거북이 2년 동안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관찰되었다. 월별 및 해역별로는 8월에 제주도 북서부 연안의 애월읍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빈도가 높았고 2008년 보다 2009년도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제주도 북부 해안에 위치한 애월읍 연안 해역에서 연속적으로 출현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 지역은 바다거북의 색이장 및 생육장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어구별로는 정치망과 자망에서 주로 혼획 되었으며, 수동적 어구 형태인 정치망의 혼획이 높은 것으로 보아 먹이를 쫓아가다가 혼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도 제주도 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바다거북의 개체수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catch and stranding of sea turtles from Jeju coastal water of Korea were monitered from 2008 to 2009. A total of 41 sea turtles, consisting of 12 greens (Chelonia mydas), 3 loggerheads (Caretta caretta), 1 hawksbill (Eretmochelys imbricata) and 25 unidentified species, were recorded and observ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국토해양부의 ‘멸종위기 해양동물 바다거북 보호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논문은 2008년도에서부터 2009년까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실시한 바다거북에 대한 혼획 및 좌초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2년간 실시된 바다거북의 혼획 및 좌초 조사는 제주도의 연안 해역에서 추자면을 제외한 행정구역별(2개 시, 7개 읍, 4개 면 등) 13개 해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최초 발견한 어업인이나 이들로부터 신고 받은 해양경찰서에 의해 국립수산과학원 미래양식연구센터에 신고 되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연구원이 직접 현장에서 혼획 및 좌초된 바다거북의 생물학적 자료를 수집하거나 좌초 사망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실로 운반하는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되는 바다거북의 종별 마릿수는 어떠한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되는 바다거북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푸른바다거북(C. mydas) 12마리, 붉은바다거북(C. caretta) 3마리, 매부리바다거북(E. imbricata) 1마리, 미확인 종 25마리 등 총 41마리의 바다거북이 2년 동안 제주도 연안 해역에서 관찰되었다. 월별 및 해역별로는 8월에 제주도 북서부 연안의 애월읍 해역에서 혼획 및 좌초 빈도가 높았고 2008년 보다 2009년도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바다거북이 주로 정치망과 자망 같은 수동적 어구에서 혼획되는 것으로 보아 바다거북은 어떻게 혼획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가? , 2006). 이러한 바다거북의 행동 습성은 어업활동을 위하여 설치한 그물에 혼획될 수 있는 원인이 되는데, 트롤이나 선망 같은 능동적 어구보다는 정치망이나 자망과 같은 수동적 어구에 의하여 혼획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바다거북은 오징어와 같은 먹이감을 쫓아가다가 어구에 혼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바다거북이 폐사체의 상태로 연안에 좌초하는 것의 원인을 어떻게 추정할 수 있는가? 바다거북이 폐사체의 상태로 연안에 좌초하는 경우가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관찰되고 있는데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하지만 발견되는 바다거북의 크기가 성체 이상 크기이며 일부 개체에서는 체표에 상처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대부분 어업 활동에 의하여 폐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인근 일본에서도 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바다거북의 약 5% 정도가 좌초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어구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Bolton and Witherington,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종문(2012). 초등교사의 해양수족관 현장학습에 대한 인식과 해양수족관의 교육적 기능, 수산해양교육연구 24(3), 459-467. 

  2. 문대연.정민민.안용락.최석관.오봉세.김장근.이주.김문진.김삼연(2009). 한국 연안의 멸종위기 바다거북의 분포 및 좌초 현황, 한국수산과학학회지 42(2), 657-663. 

  3. 정민민.문대연.김성호.김흥수.김재우(2012). 우리나라 제주도에 위치한 바다거북 우연산란장의 환경조건, 수산해양교육연구 24(4), 507-515. 

  4. Balazs, C.H., 1982. Growth rates of immature green turtles in the Hawaiian archipelago, Pages 117-126 in K.A. Bjorndal (ed), Biology and Conservation of Sea Turtles, Smithsonian Inst. Press. Washington, D.C., 583. 

  5. Bolton, A.B. and B.E. Witherington, 2003. Loggerhead sea turtles, Washington: Smithsonian Book, 210-217. 

  6. Bustard, R.H., 1970. Experimental turtle farmes for Torres Strait Islands, Aust. Fish., 29:18-21. 

  7. FAO, 2005. Report of the technical consultation on sea turtle conservation and fisheries, Bangkok, Thailand, 29 November-2 December 2004. FAO Fisheries Report No. 765. Rome, FAO, 31. 

  8. Gardner, B., S.J. Morreale, P.J. Sullivan, C.N. Barron and S. Epperly, 2006. Spatio-temporal analyses of loggerhead sea turtle interactions with pelagic fisheries, EOS Trans. Am. Geophys. Union, 87. 

  9. IATTC, 2006. Annual Report of the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2004. IATTC, LaJolla, California, USA. 96. 

  10. Marquez, M.R., 1990. FAO Species Catalogue, Vol. 11. Sea Turtle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ea turtle species known to data, FAO Fisheries Synopsis, 125, 81. 

  11. Moncada, F., F.A. Abreu-Grobois, A. Muhlia-Melo, C. Bell, S. Troeeng, K.A. Bjorndal, A.B. Bolten, A.B. Meylan, J. Zurita, G. Espinosa, G. Nodarse, R. Marquez-Millan, A. Foley and L. Ehrhart, 2006. Movement patterns of green turtles (Chelonia mydas) in Cuba and adjacent Caribbean waters inferred from flipper tag recaptures, J. of Herpetology, 40: 22-34. 

  12. WCPFC 2008. Summary Report of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Fifth Regular Session, 8-12 December 2008, Busan, Korea. 206. 

  13. Wyneken, J., 2001. Anatomy of sea turtle. NOAA Technical Memorandum NMFS SEFSC, No. 470, 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