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병원성 세균 및 Candida sp. 진균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35 Seaweed Extract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Candida sp.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0 no.2, 2012년, pp.144 - 151  

김미선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경진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민진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안선미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생물 유래의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35종 해조류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생제 내성균주를 포함한 다양한 세균 및 진균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 넓패, 알쏭이 모자반 및 야마다 모자반에서 광범위한 세균에 대해 우수한 항세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4종과 함께 곰피, 대황, 감태 및 톳의 8종에서 Candida albicans 생육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이중 패, 넓패, 야마다모자반 추출물은 500 ${\mu}g/mL$ 농도에서 55-93%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8종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n-hexane, ethylacetate, butanol을 이용하여 순차적 용매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다양한 Candida sp.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패 및 넓패로부터 C.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ourse of this stud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from seaweeds,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prepared from 35 different seaweeds (17 phaeophyta, 11 rhodophyta and 7 chlorophyta) were determined against food-borne diseases and pathog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lbicans 및 항생제 내성 Candida sp.에 대한 신규의 항균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해조류 특히 패, 넓패, 알송이모자반, 야마다모자반이 다양한 세균 및 항생제 내성진균의 제어를 위한 생물자원으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 에 대해 in vitro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패 및 넓패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과 항생제 다제내성 Candida sp. 의 제어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유용 활성 종류는? 해조류의 경우 fucoidans와 같은 다당류의 항혈전[22], 항 산화[2, 12, 23], 항암[3], nitrite 및 중금속 제거활성[6, 24], 고지혈증 및 고혈압 예방[8, 17], 항당뇨[16], 항돌연변이[14], 멜라린 생성억제[5, 9], elastase 저해[5] 및 항염증 활성[9]등다양한 유용 활성이 보고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해조류의 항균활성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현재까지 해조류의 항균활성은 서실, 모로우붉은실, 다시마, 갈파래, 청각, 감태, 곰피, 미역, 패, 넓패, 몽우리청각 등 각각의 해조류를 대상으로 어병세균, 항충치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에 한정 하여 보고한 바 있다[2, 7, 10, 13, 14, 21].
신규 항균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미생물의 어떤 특성 때문인가? 실제 생명공학과 정밀화학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의약용, 식품용, 농업용 화학 항균제가 개발되어 현대사회 산업 전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들은 고빈도 사용 항균제에 대해 스스로 내성을 획득하고, 나아가 유사구조의 항균제들에 대해 교차내성을 나타내므로[11, 25], 신규 항균제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또한 지구온난화에 따라 미생물성 식중독 및 병원미생물 감염 위험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식품원재료의 대량재배, 유통 및 저장시스템에서의 미생물 제어 어려움을 고려할 때 식품에 직접 이용 가능한 항균제 개발이 필수적이며, 따라서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물 유래의 항균제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다[26-28].
기존에 개발된 생물소재 유래 항균제는 육상생물 기원이었으나, 최근에는 해양 생물자원으로부터 신규 항균제를 개발하는 이유는?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생물소재 유래 항균제는 토양 방선균, 식물 및 곤충을 포함한 육상생물 기원이었으나[15, 26-28], 최근에는 해양 생물자원으로부터 신규 항균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13, 18-21]. 이는 지구 표면적의 70%를 차지하는 해양에는 지구 생물 종의 80% 이상의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양생물들은 육상생물과는 전혀 다른 생활환경으로 인해 특이한 생리활성물질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4,16]. 따라서 광범위한 해양생물자원의 유용 생리활성평가에 따른 생물소재 개발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한국의 경우 세계 4위의 생산량을 가지는 해조류[4]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생리활성 연구 및 산업적 이용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S. M., Y. K. Hong, G. S. Kwon, and H. Y. Sohn. 2010. Evaluation of in 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0: 1640-1647. 

  2. Bae, S. J. 2004.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Chondria crassicaulis. J. Life Sci. 14: 411-416. 

  3. Bae, S. J. 2004.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80-486. 

  4. Cha, M. H. and Y. K. Kim. 2008. Analysis of consumption values of a seaweed functional food. Kor. J. Food Culture 23: 462-468. 

  5. Cho, E. K. and Y. J. Choi.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J. Life Sci. 20: 1675-1682. 

  6. Choi, I. W., S. U. Kim, D. C. Seo, B. H. Kang, B. K. Sohn, Y. S. Rim, J. S. Heo, and J. S. Cho. 2005.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iomass of seaweeds, 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and Undaria pinnatifida. Kor. J. Environ. Agri. 24: 370-378. 

  7. Jin, H. J. and D. H. Jin. 2007. Screening of seaweed extracts for algicidal substances using a photosensitization effect. J. Kor. Fish Soc. 40: 122-127. 

  8. Joo, D. S., J. K. Lee, Y. S. Choi, S. Y. Cho, Y. K. Je, and J. W. Choi. 2003. Effect of sea tangle oligosaccharide drink on serum and hepatic lipids in rats fed a hyperlipidemic diet. J. Kor. Soc. Food Sci. Nutr. 32: 1364-1369. 

  9. Kang, M. C., J. Y. Lee, R. K. Ko, H. B. Kim, S. H. Hong, and G. O. Kim. 2008. Melanin inhibitory effec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Dietyota coriacea extracts derived from adjacent sea of the Jeju island. Kor. J. Biotechnol. Bioeng. 23: 311-316. 

  10. Kang, S. Y., M. J. Oh, and J. A. Shin.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Korean marine algae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18: 147-156. 

  11. Kim, B. J., S. H. Oh, and S. K. Park. 2006. Cross resistance between rifampicin and rofabutin and its relationship with rpoB gene mutations in clinically isolated MDR-TB strains. Tuberc. Respir. Dis. 60: 171-179. 

  12. Kim, B. M., J. Y. Jun, Y. B. Park, and I. H. Jeong.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eaw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5: 1097-1101. 

  13. Kim, J. H., D. S. Lee, C. W. Lim, H. Y. Park, and J. H. Park. 2002.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mustard, Laminaria japonica extracts on the cariogenic bacteria, Streptococcus mutans. J. Kor. Fish Soc. 35: 191-195. 

  14. Kim, S. A., J. Kim, M. K. Woo, C. S. Kwak, and M. S. Lee. 2005.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ive kinds of seaweeds. J. Kor. Soc. Food Sci Nutr. 34: 451-459. 

  15. Kum, E. J., S. J. Park, B. H. Lee, J. S. Kim, K. H. Son, and H. Y. Sohn. 2006. Antifungal activity of phenanthrene derivatives from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J. Life Sci. 16: 647-652. 

  16. Lee, E. H., J. Ham, H. R. Ahn, M. C. Kim, C. Y. Kim, C. H. Pan, B. H. Um, and S. H. Jung. 2009. Inhibitory effects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Sargassum yezoense on - glucosidase and oxidative stress. Kor. J. Pharmacogn. 40: 150-154. 

  17. Lee, H. O., D. S. Kim, J. R. Do, and Y. S. Ko. 1999.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algae. J. Kor. Fish Soc. 32: 427-431. 

  18. Lee, H. S., J. H. Suh, and K. H. Suh. 2000.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agent from seaweed extract and its antibacterial effect. J. Kor. Fish. Soc. 33: 32-37. 

  19. Lim, C. W. 2000. Structure and some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red alga, Symphylocladia latiuscula. J. Kor. Fish Soc. 33: 280-287. 

  20. Lim, E. J., K. R. Cho, J. Y. Kim, Y. H. Lee, J. N. Ho, Y. J. Kim, and H. Y. Cho. 2008. The anticoagul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nteromorpha interstinalis extracts. Kor. J. Food Nutr. 21: 7-14. 

  21. Lim, J. H., K. S. Jung, J. S. Lee, E. S. Jung, D. K. Kim, Y. S. Kim, Y. W. Kim, and D. H. Park. 2008. The study on antimicrob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wild seaweeds of Jeju island. J. Soc. Cosmet. Sci. Kor. 34: 201-207. 

  22. Nikapitiya, C., M. Zoysa, P. M. Ekanyake, H. J. Park, and J. H. Lee. 2006.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compound from fermented edible brown seaweed, Laminaria ochotensis. J. Aquaculture 19: 33-39. 

  23. Oh, J. K., Y. O. Shin, H. S. Sohn, and R. M. Seo. 2003. Effect of functional food including seaweeds extracts supplementation on hematological variables and antioxidant system. Kor. J. Phys. Edu. 42: 895-903. 

  24. Park, Y. 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 Soc. Food Sci. Nutr. 34: 1293-1296. 

  25. Park, Y. K., C. H. Park, W. J. Koh, O. J. Kwon, B. J. Kim, Y. H. Kook, S. N. Cho, C. Chang, and G. H. Bai. 2005. Cross resistance of fluroquinolone drugs on gyrA gene mutations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Tuberc. Respir. Dis. 59: 250-256. 

  26. Ryu, H. Y., S. M. Ahn, J. S. Kim, I. C. Jung, and H. Y. Sohn.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sp.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77-83. 

  27. Ryu, H. Y., S. M. Ahn, Y. K. Shin, and H. Y. Sohn. 2010.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90-197. 

  28. Sohn, H. Y., E. J. Kum, Y. S. Kwon, G. S. Kwon, I. Jin, H. Y. Kwon, C. S. Kwon, and K. H. Son. 2003. Screening of anti-candidiosis agent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J. Life Sci. 5: 504-6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