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선캠브리아 지각진화사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2 = no.68, 2012년, pp.89 - 112  

이승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조경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는 크게 낭림육괴, 경기육괴, 영남육괴의 3개의 주요 선캠브리아 기반암복합체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지층의 분포와 층서계통을 살펴보고, 최근 보고된 정밀지질 연대자료를 기초로 층서계통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연대자료 및 동위원소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괴들의 선캠브리아 지각진화사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층서는 대체로 결정질 기반암과 상부의 지표암(supracrustal rock)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들 모두의 연령이 대부분 후기 고원생대(2.3~1.8 Ga)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 층서체계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과거 기반암의 연대로 생각되었던 시생대 암층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어콘 상속핵 연대에 의하면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지각의 기원은 이미 고시생대(~3.6 Ga) 시기에 시작되었다. 이후 27억년을 전후하여 맨틀로부터 대부분의 지각형성 기원물질이 추출되었으며, 약 200~400Ma의 정치시기를 거쳐 약 25억년(경기육괴, 영남육괴) 혹은 23억년(낭림육괴)에 이들 기원물질의 재활성에 의해 대부분의 지각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들 지각들은 고원생대 시기동안 대륙연변부 조산대에 위치하여 반복적인 지각분화과정을 경험하였으며, 이후 약 18억~19억 시기에 최종 지각화 과정을 거쳐 안정된 대륙탁상지로 형성되었다. 이후 낭림육괴와 경기육괴에는 중원생대에서 신원생대 시기에 일부 퇴적작용과 화성활동이 있었으나, 영남육괴는 고생대 퇴적분지 형성 이전까지 비교적 안정된 지괴로 남아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Peninsula consists of three Precambrian blocks: Nangrim, Gyeonggi and Yeongnam massifs. Here we revisited previous stratigraphic relationships, largely based on new geochronologic data, and investigated the crustal evolution history of the Precambrian massifs. The Precambrian strata hav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는 어떻게 구성되나? 한반도는 크게 낭림육괴, 경기육괴, 영남육괴의 3개의 주요 선캠브리아 기반암복합체로 구성된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지층의 분포와 층서계통을 살펴보고, 최근 보고된 정밀지질 연대자료를 기초로 층서계통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연대자료 및 동위원소자료를 바탕으로 각 지괴들의 선캠브리아 지각진화사를 살펴보았다.
낭림육괴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낭림육괴는 낭림지괴를 중심으로 남으로 평남분지, 북동쪽으로 마천령지괴와 관모봉지괴로 구성되어 있으며(Fig. 1), 고원생대(1.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층서 및 지각발달사에서 지금까지 밝혀진 중요한 결과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밝혀진 몇 가지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암층들의 나이는 거의 대부분 고원생대에 해당하며, 과거 생각과 달리 시생대 지층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2)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지괴들의 최종 지각화 과정은 모두 약 19억~18억년에 이뤄졌다. (3) 우리나라 선캠브리아 지괴들은 모두 후시생대 지각형성물질을 기초로 고원생대 시기의 반복적인 재활성에 의해 만들어진 2차 지각으로 구성되며, 지각의 주성장 시기는 약 25억년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4)

  1. 권용완, 김형식, 오창환, 1997. 경기육괴 북동부지역에 분포하는 오대산편마암복합체의 다변성작용. 암석학회지, 6, 226-243. 

  2. 기원서, 김정환, 1992. 순창전단대에 발달된 전단지시자에 대한 고찰. 지질학회지, 28, 426-435. 

  3. 김남훈, 2010. 영남육괴 북동부 일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 그 지구조적 의의.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7p. 

  4. 김남훈, 박계헌, 송용선, 강지훈, 2002. 평해-울진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성통의 부재 및 평해통과 원남통의 관계에 대한 소고. 암석학회지, 11, 271-277. 

  5. 김남훈, 송용선, 박계헌, 이호선, 2009. 영남(소백산)육괴 북동부 평해지역 화강편마암류의 SHRIMP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8, 31-47. 

  6. 김명정, 박계헌, 박양진, 최지은, 2011. 옥천변성대 충주지역 계명산층의 SHRIMP U-Pb 연령.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51. 

  7. 김옥준, 1973. 경기육괴서북부의 변성암복합체의 층서와 지질구조. 대한광산지질학회, 6, 201-218. 

  8.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김기태, 1963b. 한국지질도 1:50,000 삼근리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36p. 

  9.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a. 한국지질도 1:50,000 평해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10. 김옥준, 홍만섭, 원종관,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1963c. 한국지질도 1:50,000 도계동도폭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3p. 

  11. 나기창, 1996. 선캠브리아의 지질시대 구분 및 동북 아시아 선캠브리아의 층서와 이에 관한 우리말 용어의 문제점. 암석학회지, 5, 10-20. 

  12. 나기창, 김형식, 이상훈, 1982. 서산층군의 층서 및 변성작용. 대한광산지질학회, 15, 33-39. 

  13. 대한지질학회, 1998. 한국의 지질. 시그마프레스, 서울, 802p. 

  14. 박계헌, 송용선, 박맹언, 이승구, 류호정, 2000. 동북아시아 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 연대학적 연구: 1. 지리산 지역 변성암의 변성연대. 암석학회지, 9, 29-39. 

  15. 박계헌, 정창식, 이광식, 장호완, 1993. 태백산지역의 고기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류에 대한 납 동위원소 연구. 지질학회지, 29, 387-395. 

  16. 손치무, 1971. 동아의 선캠브리아계의 층서에 관하여. 대한광산지질학회, 4, 19-32. 

  17. 손치무, 1973. 선캠브리아기의 구분에 대하여. 광산지질학회지, 6, 65-78. 

  18. 송용선, 박계헌, 박맹언, Cao L., Jin W., Zhang X., 류호정, 2001. 동북아시아지역 선캠브리아 지괴에 대한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적 연구: 2. 경기육괴 일부 변성암의 저어콘 연대. 암석학회지, 10, 95-105. 

  19. 송용선, 박계헌, 서재현, 조희제, 이기욱, 2011. 평창-원주 지역의 경기육괴 기반암 편마암 복합체에 대한 SHRIMP 저어콘 연대 측정. 암석학회지, 20, 99-114. 

  20. 송용선, 박계헌, 이호선, Cao Lin, Orihashi Yuji, 2009. 북한 증산-평원지역 화강편마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8, 171-179. 

  21. 오창환, 김정빈, 박영석, 김성원, 2006. 경기육괴의 고원생대 암류들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그 의의. 지질학회지, 42, 587-606. 

  22. 이기욱, 김정민, 정창식, 조문섭, Ian S. Williams, 2006. 영남육괴 북부지역 미그마타이트질 편마암에서 산출하는 모나자이트의 표면 U-Pb 연대-한반도 고원생대의 고온 변성작용.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4. 

  23. 이기욱, 조문섭, Ian S. Williams, 안인수, 정창식, 2008. SHRIMP를 이용한 모나자이트 U-Th-Pb 연대측정 및 산소동위원소 예비분석.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33. 

  24. 이상만, 김형식, 1984. 소위 율리층군 및 원남층군의 변성 암석학적 연구-태백산일대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20, 195-214. 

  25. 이상만, 김형식, 홍성태, 박찬수, 1990. 원주-평창 일대에 분포하는 변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6, 32-52 

  26. 이용일, 최태진, Orihashi Yuji, 2011. 선캠브리아기 율리층군의 LA-ICP-MS 저어콘 U-Pb 연대. 지질학회지, 47, 81-87. 

  27. 이호선, 박계헌, 송용선, 김남훈, Orihashi Yuji, 2010. 영남 육괴 북동부 홍제사 화강암의 LA-ICP-MS U-Pb 저콘 연대. 암석학회지, 19, 103-108. 

  28. 이호선, 송용선, 박계헌, 2002. 중부 영남육괴 김천일대 선캠브리아기 편마암의 저어콘 화학연대. 암석학회지, 11, 157-168. 

  29. 정창식, 길영우, 김정민, 정연중, 임창복, 2004. 영남육괴 북동부 죽변 지역 선캠브리아기 기반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40, 481-499. 

  30. 조등룡, 2010. 경기육괴 서부 전변성도 편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층서적 의의.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춘계지질과학기술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20. 

  31. 조등룡, 김용준, 2003. 경기육괴 포천 지역의 흑운모 편마암과 우백질 화강암맥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 광역변성작용 연령 및 퇴적시기의 제한.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76. 

  32. 조등룡, 김용준, Richard Armstrong, 2002a. 영남육괴 지리산 지역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과 우백대의 SHRIMP U-Pb저콘 연대측정: 원생대 전기 (2,002Ma-1,864Ma)의 퇴적과 광역변성작용. 한국자원공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대한지질학회 춘계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283-285. 

  33. 조등룡, 김용준, Richard Armstrong, 2002b. 영남육괴 지리산 지역의 동복 화강편마암에 대한 SHRIMP U-Pb 저콘 연대와 이의 선캠브리아 지체구조적 의미.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31-33. 

  34. 조등룡, 김용준, Richard Armstrong, 2006. 서산층군 함철규암의 쇄설성 저어콘에 대한 SHRIMP U-Pb 연대: 시대와 층서의 제한. 암석학회지, 15, 119-127. 

  35. 조등룡, 김유봉, 2003. 장계-장수 지역의 영남육괴 선캠브리아 기반암류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측정 : 고원생대의 지질사건.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77. 

  36. 조문섭, 김태훈, 김현철, 2004. 옥천변성대 규장질 변성응회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신원생대(약 7.5억년전) 화산활동. 암석학회지, 13, 119-125. 

  37. Chang, H.-W., Turek, A. and Kim, C.-B., 2003.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m-Nd isotopic constraint for Precambrian pluto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7, 471-491. 

  38. Chang, K.-H. and Park, S.-O., 2001. Paleozoic Yellow Sea Transform Fault: Its role in the tectonic history of Korea and adjacent regions. Gondwana Research, 4, 588-589. 

  39. Chang, K.-H. and Zhao, X., 2012. North and South China suturing in the east end: What happened in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in press. 

  40. Cheong, C.-S., Kwon, S.-T. and Park, K.-H., 2000. Pb and Nd isotopic constraints on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of the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02, 207-220. 

  41. Cho, D.-L., Kim, Y.-J. and Armstrong, R., 2006. SHRIMP U-Pb geochronology of detrital zircons from iron-bearing quartzite of the Seosan Group: Constraints on age and stratigraphy.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5, 119-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Cho, D.-L., Kwon S.-T., Jeon, E.-Y. and Armstrong, R., 2001.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of an amphibolite and a paragneiss from the Samgot unit, Yeoncheon Complex in the Imjingang belt, Korea: Tectonic implication.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nnual Meeting Abstract, 14-1, 89. 

  43. Cho, D.-L., Kwon, S.-T., Jeon, E.-Y. and Armstrong, R., 2005. SHRIMP U-Pb zircon ages of metamorphic rocks from the Samgot unit, Yeoncheon complex in the Imjingang belt, Korea: Implications for the Phanerozoic tectonics of East Asia [abs.]. Annual Meeting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71, 6. 

  44. Cho, M. and Kim, Y., 2005. Metamorphic evolution of the Ogcheon Belt, Korea: a reviewand new age constraints. International Geology Review, 47, 41-57. 

  45. Cho, M., 2001. A continuation of chinese Ultrahigh-pressure belt in Korea: Evidence from Ion Microprobe U-Pb zircon ages. Gondwana Research, 4, 708. 

  46. Cho, M., Kim, H., Lee, Y., Horie, K. and Hidaka, H., 2008. The oldest (ca. 2.51 Ga) rock in South Korea: U-Pb zircon age of a tonalitic migmatite, Daeijak Island, western Gyeonggi massif. Geosciences Journal, 12, 1-6. 

  47. Cho, M., Na, J. and Yi, K., 2010. SHRIMP U-Pb ages of detrital zircons in metasandstones of the Taean Formation, 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Tectonic implications. Geosciences Journal, 14, 99-109. 

  48.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ence Reviews, 52, 175-235. 

  49. Cluzel, D., Jolivet, L. and Cadet, J.P., 1991. Early middle Paleozoic intraplate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a new insight on the Paleozoic buildup of east Asia. Tectonics, 10, 1130-1151. 

  50. DePaolo D.J., 1981. Neodymium isotopes in the Colorado front Range and crust-mantle evolution in the Proterozoic. Nature, 291, 193-196. 

  51. Gebauer, D. and Grunenfelder, M., 1979. U-Th-Pb dating of minerals. In Lectures in Isotope Geology (eds. E. Jajer, J.C. Hunziker),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105-131. 

  52. Hietpas, R.T., Jensenb, J.D. and Bolon, D.N.A., 2011. Experimental illumination of a fitness landscape. Proceeding of the Nar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8, 7896-7901. 

  53. Hong, Y.K., 1992. Petrogeneses and evolution of early Proterozoic granitic rocks in the northeastern Ryeongnam massif, Ko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8, 571-589. 

  54. Horie, K., Tsutsumi, Y., Kim, H., Cho, M., Hidaka, H. and Terada, K., 2009. A U-Pb geochronological study of migmatic gneiss in the Busan Gneiss complex, Gyeonggi massif,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05-215. 

  55. Jeon, H., Cho, M., Kim, H., Horie, K. and Hidaka, H., 2007. Early Archean to Middle Jurass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correlation with Chinese cratons: SHRIMP U-Pb zircon age constraints. Journal of Geology, 115, 525-539. 

  56. Kemp, A.I.S. and Hawkesworth, C.J., 2003. Granitic perspectives on the generation and secular evolu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In: Rudnick, R.L. (Ed.), The Crust, Treatise in Geochemistry, 3, 349-410. 

  57. Kim, C.-B., Turek, A., Chang, H.W., Park, Y.S. and Ahn, K.S., 1999.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and Mesozoic plutonic rocks in the Seoul-Cheongju-Chooncheon area, Gyeonggi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3, 379-397. 

  58. Kim, J. and Cho, M., 2003. Low-pressure metamorphism and leucogranie magmatism,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implication for Paleoproterozoic crustal evolution. Precambrian Research, 122, 235-251. 

  59. Kim, N., Cheong, C.-S., Park, K.-H., Kim, J. and Song, Y.-S., 2012. Crustal evolution of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revealed by SHRIMP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stry. Gondwana Research, 21, 865-875. 

  60. Kim, S.W., Kwon, S., Santosh, M., Williams, I.S. and Yi K., 2011. A Paleozoic subduction complex in Korea: SHRIMP zircon U-Pb ages and tectonic implications. Gondwana Resarch, 20, 890-903. 

  61. Kim, S.W., Oh, C.W., Ryu, I.-C., Williams, I.S., Sajeev, K., Santosh, M. and Rajesh, V.J., 2006a.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Okcheon Belt, South Korea, and its comparison with the Nanhua Rift, South China: implications for rifting in Rodinia. Journal of Geology 114, 717-733. 

  62. Kim, S.W., Oh, C.W., Williams, I.S., Rubbato, D., Ryu, I.-C., Rajesh, V.J., Kim, C.-B., Guo, J. and Zhai, M., 2006b. Phanerozoic high-pressure eclogite and intermediate-pressure granulite facies metamorphism in the Gyeonggi Block,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eastward extension of the 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 zone. Lithos, 92, 357-377. 

  63. Kim, S.W., Williams, I.S., Kwon, S. and Oh, CW., 2008. SHRIMP zircon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taplutonic rocks from the south-western Gyeonggi Block, Korea: implications for Paleoproterozoic to Mesozoic tectonic link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ern China. Proceedings of the Annual Joint Conferenc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6-29. 

  64. Kwon, S., Sajeev, K., Mitra, G., Park, Y., Kim, S.W. and Ryu, I.-C., 2009. Evidence for Permo-Triassic collision in Far East Asia: the Korean collisional oroge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79, 340-349. 

  65. Kwon, Y.W., Oh, C.W. and Kim, H.S., 2003. Granulitefacies metamorphism in the Punggi area, northeastern Yeongnam massif,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s for east Asia. Precambrian Research, 122, 253-273. 

  66. Lan, C.Y., Lee, T., Zhou, X.H. and Kwon, S.T., 1995. Nd isotopic study of Precambrian basement of South Korea: evidence for early Archean crust? Geology, 23, 249-252. 

  67. Lee, K.-S., Chang, H.-W. and Park, K.-H., 1998. Neoproterozoic bimodal volcanism in the central Ogcheon belt, Korea: age and tectonic implication. Precambrian Research, 89, 47-57. 

  68. Lee, S.R., Cho, M., Cheong, C.S. and Park, K.H., 1997. An early Proterozoic Sm-Nd age of mafic granulite from the Hwancheon area, South Korea. Geoscience Journal, 1, 136-142. 

  69. Lee, S.R., Cho, D.-L., Cho, M., Wu, F.-Y., Kim, H. and Jeon, H., 2007. Hf isotopic evidence for Paleoarchean (> 3.5 Ga) crustal components in the Korean Peninsula. Geosciences Journal, 11, 271-278. 

  70.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22, 297-310. 

  71. Lee, S.R., Cho, M., Yi, K. and Stern, R.A., 2000, Early Proterozoic granulites in central Korea: tectonic correlation with Chinese cratons. The Journal of Geology, 108, 729-738. 

  72. Li, S.Z., Zhao, G.C., Santoshi, M., Liu, X. and Dai, L.M., 2011. Palaeoproterozoic tectonothermal evolution and deep crustal processes in the Jiao-Liao-Ji Belt, North China Craton: a review. Geological Journal, 46, 525-543. 

  73. Li, Z.X., and Powell. C.McA., 2001. An outline of the paleogeographic evolution of the Australasian reg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oproterozoic. Earth-Science Reviews, 53, 237-277. 

  74. Lin, J., Fuller, M. and Zhang, W., 1985. Preliminary Phanerozoic polar wander paths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Nature, 313, 444-449. 

  75. Lyang, T.J., Liu, Y., Yang, J.H., Kim, H., Han, R.Y. and Kim, J.N., 2009. Precambrian crustal evolution in Rangrim Massif, Korean Peninsula. Global Geology, 12, 57-63. 

  76. Maruyama, S.Y., Kimura, I.G. and Terabayashi, M., 1997. Paleogeographic maps of the Japanese islands: plate tectonic synthesis from 750 Ma to the present. Island Arc 6, 121-142. 

  77. Metcalfe, I., 2006. Palaeozoic and Mesozoic tectonic evolution and palaeogeography of East Asian crustal fragments: The Korean Peninsula in context. Gondwana Research, 9, 24-46. 

  78. Na, K.C., 1992. A study on the Metamorphism in thd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 Massif.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 25-33. 

  79. Nelson, D.R., 2001. An assessment of the determination of depositional ages for Precambrian clastic sedimentary rocks by U-Pb dating of detrital zircons. Sedimentary Geology, 141-142, 37-60. 

  80. Nemchin, A.A. and Cawood, P.A., 2005. Discordance of the U-Pb system in detrital zircons: Implications for provenance studies of sedimentary rocks. Sedimentary Geology, 182, 143-162. 

  81. Oh, C.W., 2006. A new concept on tectonic correl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istories from the late Proterozoic to Cretaceous. Gondwana Research, 9, 47-61. 

  82. Oh, C.W., Choi, S.-G., Seo, J., Rajesh, V.J., Lee, J.H., Zhai, M. and Peng, P., 2009. Neoproterozoic tectonic evolution of the Hongseong area,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mplication for the tectonic evolution of Northeast Asia. Gondwana Research, 16, 272-284. 

  83. Oh, C.W., Kim, S.W. and Williams, I.S., 2006. Spinel granulite in Odesan area, South Korea: tectonic implications for the collision between the North and South China blocks. Lithos, 92, 557-575. 

  84. Paek, R.J., Kang, H.G. and Jon, G.P., 1996. Geology of Korea. Pyongyang Korea. 631p. 

  85. Peng, P., Zhai, M., Li, Q., Wu, F., Hou, Q., Li, Z., Li, T. and Zhang, Y., 2011. Neoproterozoic (-900 Ma) Sariwon sills in North Korea: geochronology, geochemistry and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the south-eastern margin of the North China Craton. Gondwana Research, 20, 243-254. 

  86. Ree, J.H., Cho, M., Kwon, S.T. and Nakamura, E., 1996. Possible eastward extension of Chinese collision belt in South-Korea: the Imjingang belt. Geology, 24, 1071-1074. 

  87. Ree, J.H., Kwon, S., Park, Y., Kwon, S.T. and Park, S.H., 2001. Pretectonic and posttectonic emplacements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20, 850-867. 

  88. Sagong, H. and Kwon, S.-T., 1998. Pb-Pb age and uplift history of the Busan gneiss complex in the Okchon Belt, Korea: a comparison with the Bagdalryeong gneiss complex in the Kyongki Massif. Geosciences Journal, 2, 99-106. 

  89. Sagong, H., Cheong, C.-S. and Kwon, S.-T., 2003. Paleoproterozoic orogeny in South Korea: evidence from Sm-Nd and Pb step-leaching garnet ages of Precambrian basement rocks. Precambrian Research, 122, 275-295. 

  90.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Oxford, Blackwell, 312p. 

  91. Taylor, S.R. and McLennan, S.M., 1995.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the continental crust, Reviews of Geophysics, 33, 241-265. 

  92.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s, Korea. Geochemical Journal, 30, 231-249. 

  93. Wan, Y.S., Liu, D.Y., Wang, S.J., Dong, C.Y., Yang, E.X., Wang,W., Zhou, H.Y., Ning, Z.G., Du, L.L., Yin, X.Y., Xie, H.Q. and Ma, M.Z., 2010. Juvenile magmatism and crustal recycling at the end of Neoarchean in western Shandong province, north China Craton: evidence from SHRIMP zircon dating. American Journal of Science, 310, 1503-1552. 

  94. Wang, H. and Mo, X., 1995. An outline of the tectonic evolution of China. Episodes, 18, 6-16. 

  95. Wu, F.-Y., Han, R.-H., Yang, J.-H., Wilde, S.A., Zhai, M.-G., and Park, S.-C., 2007a, Initial constraints on the timingof granitic magmatism in North Korea using U-Pb zircon geochronology. Chemical Geology, 238, 232-248. 

  96. Wu, F.-Y., Yang, J.-H., Wilde, S.A., Liu, X.-M., Guo, J.-H., and Zhai, M.-G., 2007b, Detrital zircon U-Pb and Hf isotopic constraints on the crustal evolution of North Korea. Precambrian Research, 159, 155-177. 

  97. Wu, F.-Y., Zhao, G.C., Wilde, S.A. and Sun, D.Y., 2005. Nd Isotopic constraints on the crustal formation of the North China Craton.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 24, 523-545. 

  98. Yi, K. and Cho, M., 2009. SHRIMP geochronology and reaction texture of monazite from a retrogressive transitional layer, Hwacheon Granulite Complex, Korea. Geosciences Journal, 13, 293-304. 

  99. Yin, A. and Nie, S.,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eastern Asia. Tectonics, 12, 801-813. 

  100. Yin, A. and Nie, S., 1996. A Phanerozoic palinspastic reconstruction of China and its neighboring regions. In: Yin, A., Harrison, T.M. (Eds.), Tectonic Evolution of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2-485. 

  101. Zhai, M., Guo, J., Li, Z., Chen, D., Peng, P., Li, T., Hou, Q. and Fan, Q., 2007. Linking the Sulu UHP belt to the Korean Peninsula: Evidence from eclogite, Precambrian basement, and Paleozoic sedimentary basins. Gondwana Research, 12, 388-403. 

  102. Zhai, M., Guo, J., Peng, P. and Hu, B., 2007. U-Pb zircon age dating of a rapakivi granite batholith in Rangnim massif, North Korea. Geological Magazine, 144, 547-552. 

  103. Zhai, M.G. and Guo, J., 2005. Discovery of eclogites and extension of Sulu UHP belt in South Korea. Mittleilungen Der Oserrechischen Mineralogischen Gesellschaft, 150, 172. 

  104. Zhao, G., Cao, L., Wilde, S.A., Sun, M., Choe, W.J. and Li, S., 2006. Implications based on the first SHRIMP U-Pb zircon dating on Precambrian granitoid rocks in North Korea.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51, 365-3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