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육괴 중부에 분포하는 대보 흑운모화강암류의 응용암석학적 연구
Applied Petrologic Study of the Daebo Biotite Granites in the mid Gyeonggi Massif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1 no.2 = no.68, 2012년, pp.263 - 275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박덕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본부)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육괴 중부인 포천지역과 양주지역에는 국내 주요 암석자원의 하나인 대보 흑운모화강암이 각각 분포한다.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상기한 두 지역의 흑운모화강암류의 입도, 암색, 광물조성, 물성 및 열극체계 등의 고유한 특성을 밝히는 데 있다. 포천지역의 흑운모화강암(PG)는 조립질과 담회색, 양주지역의 흑운모화강암(YG)은 중립질-조립질과 회색-담회색으로 대표된다. 구성광물의 모우드에서 주성분인 석영+알칼리장석+사장석은 PG에서, 부성분인 흑운모는 YG에서 증가하며, 이러한 광물함유량 차이로 인하여 PG가 YG보다 밝은 회백색을 띠게 된다. 물성 변화 및 특성에서, 비중은 PG보다 YG에서 약간 증가하며 이러한 차이는 전자보다 후자에서 주성분 광물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갖는 흑운모의 함량 증가로 볼 수 있다. PG와 YG의 흡수율공극률은 0.33%와 0.86%를 가져 동일한 값을 각각 보여준다. 물성간의 상관도에서, 공극률 대 비중은 완만한 부의 경향, 공극률 대 흡수율은 뚜렷한 정의 경향을 보여준다. 압축 및 인장강도는 PG가 1,775 $kg/cm^2$ 와 87 $kg/cm^2$ 그리고 YG가 1,647 $kg/cm^2$와 79 $kg/cm^2$를 각각 가져 모두 PG에서 증가한다. 이러한 강도특성은 내재하는 암석조직에 기인될 수 있다. 마모경도는 PG에서 약간 증가하며, 이러한 마모특성은 다른 주성분 광물에 비하여 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석영의 함량증가에 기인될 수 있다. 한편 포천 및 양주지역에서 발달하는 단열 조의 방향성에 대하여 국내 중생대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수직 결의 방향성과 비교하였다. 중첩도를 통하여, 단열 조와 상기한 수직 결 사이의 분포형태가 부합된다는 사실은 국내의 중생대 화강암류에 내재하는 미세균열 계는 경기육괴 중부의 대보 흑운모화강암류에서도 발달함을 시사한다. 상기한 두 지역간의 단열형태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에서, PG에서는 규격석 그리고 YG에서는 비규격석이 보다 많이 산출될 잠재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rassic Daebo biotite granites, known as one of the main stone resources in the country, are widely and away distributed in the Pocheon and Yangju areas of the mid Gyeonggi massif.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mainly to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rock color, mineral compos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밖에 이 흑운모화강암에 대한 광물조성 및 암석화학성(윤현수 외, 2002) 등에 대해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목적은 이 흑운모화강암의 암색, 광물조성, 물성, 열극체계 및 채석방향 해석 등을 통해 그 응용암석학적 특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그리고 이들 연구보고가 향후 국내에 부존된 기타지역의 암색계열별 암석자원과의 비교 그리고 응용분야에 이용될 비교자료로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캠브리아기 암류는 주로 어디에 분포하는가? 선캠브리아기 암류는 포천지역의 서부 일대와 남부 일부에 주로 분포하며 하부로부터 시흥층군, 장락층군, 정편마암류와 감악산변성섬장암(기원서 외, 2005) 으로 구분된다. 시흥층군은 선캠브리아기 암류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이루며 주요 구성암류는 흑운모편마암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대보화강암의 흑운모화강암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이 중에서 주연구대상인 흑운모화강암이 가장 넓은 분포지를 이루고 있다. 이 흑운모화강암은 행정구역상 포천의 중서부 일대인 영중면, 창수면, 신북면에 걸쳐 분포한다.
흑운모화강암이 석재자원 관련 산업에서는 포천석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내용이 어디에서 보고되었는가? 이 흑운모화강암은 국내에서 회백색계열 화강암 석재자원의 주요산지로서 관련산업계에서는 오히려 포천석(김동학, 1993)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된 보고로는 한국석재도감(김동학, 1993; 이태섭, 2007) 등에서 제한적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 밖에 이 흑운모화강암에 대한 광물조성 및 암석화학성(윤현수 외, 2002) 등에 대해서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희재, 송교영, 2005, 한국지질도(1:50,000) 의정부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7p. 

  2. 곽영훈, 2001, 한국지체구조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 기원서, 조등룡, 김복철, Armstrong, R., 2007, 포천지역 쥬라기 화강암질암의 산상과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KIGAM Bulletin, 11, 17-26. 

  4. 기원서, 조등룡, 김복철, 진광민, 2005, 한국지질도(1:50,000) 포천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66p. 

  5. 김동학, 1993, 한국석재도감. 한국자원연구소, 221p. 

  6. 김두영, 윤지선, 전기찬, 1996, 서울 화강암의 전단강도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3, 282-290. 

  7. 김형식, 임병조, 정명헌, 1978, 화강암질암류의 압축강도와 그 입도 및 광물성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4, 175-185. 

  8. 박덕원, 2007, 국내의 중생대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수직의 1번 및 2번 면의 방향석. 암석학회지, 16, 12-26. 

  9. 박덕원, 2008, 경상분지 남서부 일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암석학회지, 17, 206-221. 

  10. 박덕원, 김형찬, 이창범, 홍세선, 장세원, 이철우, 2004, 포천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발달된 결의 특성. 암석학회지, 13, 133-141. 

  11. 소칠섭, 최병열, 1975, 암석역학적으로 고찰한 서울화강암의 절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1, 233-239. 

  12. 윤현수, 1995, 포천-의정부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산상과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4, 91-103. 

  13. 윤현수, 1997, 포천-의정부지역 화강암류 석재자원의 암석학적 특성연구. 암석학회지, 6, 34-44. 

  14. 윤현수, 박덕원, 홍세선, 김주용, 양동윤, 장수범, 2005, 쥬라기 운악산 및 백악기 속리산 화강암류의 조직과 물성과의 관계. 지질공학회지, 15, 169-184. 

  15. 윤현수, 박용순, 이춘오, 이병대, 김경수, 1993, 문경-상주사이에 분포하는 화강암류 석재의 암석학적 특성. 암석학회지, 2, 32-40. 

  16. 윤현수, 홍세선, 2004, 진안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홍색 화강암류의 암석화학 및 물성특성. 암석학회지, 13, 161-177. 

  17. 윤현수, 홍세선, 김정민, 2006, 경기북부 갈말-영북일대 백악기 홍색 각섬석흑운모화강암의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5, 167-179. 

  18. 윤현수, 홍세선, 박석환, 이병태, 1998, 석재자원조사 및 산업화연구. 한국자원연구소, KR-98(C)-17, 13-81. 

  19. 윤현수, 홍세선, 이윤수, 2002, 포천-기산리일대에 분포하는 쥬라기 대보화강암류의 암석 및 암석화학. 암석학회지, 11, 1-16. 

  20. 이병주, 김유봉, 기원서, 2006, 한국지질도(1:50,000) 기산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9p. 

  21. 이병주, 김유봉, 이승렬, 김정찬, 강필종, 최현일, 진명식, 1999, 한국지질도(1:250,000) 서울-남천점도폭 및 설명서. 한국자원연구소, 64p. 

  22. 이태섭, 2007, 한국석재도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55p. 

  23. 좌용주, 최진범, 김건기, 김종선, 황길찬, 2007, 거창지역에서 산출되는 화강암 석재의 품질기준. 암석학회지, 16, 38-45. 

  24. 좌용주, 이상원, 김진섭, 손동운, 2000,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에 대하여. 지질학회지, 36, 335-340. 

  25. 황재하, 김유홍, 2007, 한국지질도(1:50,000) 지포리도폭 및 설명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4p. 

  26. Daly, R.A., Manger, G.E. and Clark, Jr, S.P., 1966, Density of rocks. In handbook of physical constants(ed. S.P. Clark, Jr.), Geol. Soc. Am., Mem., 97, 20-26. 

  27. Dershowitz, W.S. and Einstein, H.H., 1988, Characterizing rock joint geometry with joint system models. Rock Mechanics and Rock Engineering 21, 21-51. 

  28. Duncan, N., 1969, Engineering geology and rock mechanics. Leonard Hill, 252p. 

  29. Farmer, I.W., 1968, Engineering properties of rocks. London: E. and F.N. Spon Ltd, 180p. 

  30. Farmer, I., 1982, Engineering behaviour of rocks. Chapman and Hall., 493p. 

  31. Hawkes, R.D. and Mellor, M., 1970, Uniaxial texting in rock mechanics laboratories. Eng. Geol., 4, 177-285. 

  32. Hudson, R.D. and Priest, S.D., 1979, Discontinuity spacings in rock. Int. Jour.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 13, 15-148. 

  33. Irfan, T.Y., 1996, Mineralogy, fabric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weathered granites in Hong Kong. Quater. Jour. Eng., 29, 5-35. 

  34. IUGS, 2004, International stratigraphic chart. ICS(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35. Klein, C. and Hurlbut, C.S., Jr., 1985, Manual of mineralogy. John Wiley & Sons, Inc. 596p. 

  36. Nelson, R.A., 1985, Geologic analysis of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s. Gulf Pub. Comp., 721p. 

  37. Lee, S.R., Cho, M., Cheong, C.-S., Kim, H. and Wingate, M.T.D., 2003, Age, geochemistry,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Neoproterozoic alkaline granitoids in the northwestern margin of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Precam. Res., 122, 297-310. 

  38. Smith, M.R.(ed.), 1999, Stone: building stone, rock fill and armourstone in construction.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317-322, 441-449. 

  39. Tugrul, A. and Zarif, I.H., 1998, Correlation of mineralog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with engineering properties of selected granitic rocks from Turkey. Eng. Geol., 303-313. 

  40. Twindale, C.R., 1982, Granite landforms. Elsevier Sci. Pub. Comp., 372p. 

  41. Winkler, E.M., 1973, Stone: properties, durability in man's environment. Springer-Verlag, 230p.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