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동천동 일대에 분포하는 A-형 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type granite in Dongcheondong, Gyeongju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3, 2017년, pp.271 - 280  

명보라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주지원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  김정훈 (경북도청 환경정책과) ,  장윤득 (경북대학교 지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천동 화강암은 경주 동천동 일대에 분포하는 알칼리장석화강암이다. 이는 주로 우백질의 조립질화강암이며 알칼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이 관찰된다. 경하관찰 결과, 알칼리장석은 퍼싸이트로 나타나며, 석영은 주로 파동소광을 보인다. 사장석은 주로 알바이트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와 각섬석은 간극상으로 산출된다. 동천동 화강암은 $(Na_2O+K_2O)/Al_2O_3$ 비가 높고 (MgO+CaO)/FeOT가 낮은 전형적인 A-형 화강암 영역에 도시되며 경상분지 I-형 화강암류에 비해 $SiO_2$, $Na_2O$, $K_2O$, Rb, Ga, Zr이 부화되어 있는 반면 $TiO_2$, $Al_2O_3$, CaO, MgO, Sr, Ba, Sc 등은 결여되어 있다. 또한, 연구지역 화강암은 I-형 화강암에 비해 희토류원소의 함량이 높고 큰 Eu(-) 이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지화학적 특성은 기존에 보고된 경상분지 I-형 화강암류와 뚜렷이 구분된다. 동천동 A-형 화강암은 현재까지 제시된 A-형 화강암의 기원 중 지각 내의 토날라이트질(Tonalite) 내지 화강섬록암의 I-형 화강암의 부분용융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ngcheondong granite is alkali feldspar granite in Dongcheondong, Gyeongju. The granite is coarse grained and consists of alkali feldspar, quartz, amphibole, and biotite. Alkali feldspar is perthitic orthoclase and quartz often shows undulatory extinction. Plagioclase often shows albite twi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지역 동천동 화강암의 A-형 혹은 I-형 화강암의 특성 규명은 동천동 화강암이 정치할 당시 경상분지 내 비조산성 또는 후조산성 화성활동의 특성 규명과 경상분지의 지구조적 환경의 특성에 대한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경주 동천동 화강암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자료를 통해 동천동 화강암의 지화학적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지역 화강암의 형성기작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지역 화강암이 A-형 화강암일 가능성을 제시한 배경이 되는 연구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지역인 경주 동천동 화강암은 인근에 분포하는 고제3기 A-형 화강암(기계, 남산)과 야외기재적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Park et al., 2015). 또한, 양산단층을 중심으로 양측지괴에 분포하는 화강암체들에 대한 구조적인 비교연구과정에서 경주 남산과 포항시 기계면에 분포하는 A-형 화강암이 21.3 km의 우수향 변위를 가지는 동일한 암체로 추론된 바 있어(Hwang, 2004; Hwang et al., 2007) 양산단층 인근에 추가적인 고제3기 A-형 화강암의 분포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이처럼 동천동 화강암과 관련된 야외기재적인 연구와 구조적인 연구를 통하여 연구지역 화강암이 A-형 화강암일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가능성에 대한 암석지구화학적인 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상태이다.
동천동 화강암의 특징은 어떠한가? 사장석은 주로 알바이트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와 각섬석은 간극상으로 산출된다. 동천동 화강암은 $(Na_2O+K_2O)/Al_2O_3$ 비가 높고 (MgO+CaO)/FeOT가 낮은 전형적인 A-형 화강암 영역에 도시되며 경상분지 I-형 화강암류에 비해 $SiO_2$, $Na_2O$, $K_2O$, Rb, Ga, Zr이 부화되어 있는 반면 $TiO_2$, $Al_2O_3$, CaO, MgO, Sr, Ba, Sc 등은 결여되어 있다. 또한, 연구지역 화강암은 I-형 화강암에 비해 희토류원소의 함량이 높고 큰 Eu(-) 이상을 보여준다.
동천동 화강암은 무엇인가? 동천동 화강암은 경주 동천동 일대에 분포하는 알칼리장석화강암이다. 이는 주로 우백질의 조립질화강암이며 알칼리장석, 석영, 흑운모, 각섬석이 관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derson, I.-C., Frost, C.-D., and Frost, B.-R., 2003, Petrogenesis of the Red Mountain pluton, Laramie anorthosite complex, Wyoming: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A-type granite. Precambrian Res, 124, 243-267. 

  2. Anderson, J.-L., 1983, Proterozoic anorogenic granite plutonism of North Americ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Memoirs, 161, 133-154. 

  3. Chappell, B. and White, A. 1974, Two contrasting granite types. Pacific geology, 8, 173-174. 

  4. Collins, W. Beams, S. White, A. and Chappell, B. 1982, Nature and origin of A-type grani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outheastern Australia.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80, 189-200. 

  5. Creaser, R.-A., Price, R.-C., and Wormald, R.-J., 1991, Atype granites revisited: assessment of a residual-source model. Geology, 19, 163-166. 

  6. Douce, A.-E., 1997, Generation of metaluminous A-type granites by low-pressure melting of calc-alkaline granitoids. Geology, 25, 743-746. 

  7. Hong, Y.-K., 1987,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cambrian, 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0, 35-60. 

  8. Hwang, B.-H., McWilliams, M. Son, M. and Yang, K. 2007, Tectonic implication of A-type granites across the Yangsan fault, Gigye and Gyeongju areas, southeast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Geology Review, 49, 1094-1102. 

  9. Hwang, B.-H., Lee, J.-D., and Yang, K.-H., 2004, Petrological study of the granitic rocks around the Yangsan Fault: Lateral Displacement of the Yangsan Faul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0, 161-178. 

  10. Irvine, T.-N., and Baragar, W.-R.,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8, 523-548. 

  11. Jin, M.-S., 1980, Geological and isotopic contrasts of the Jurassic and the Cretaceous granit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6, 205-215. 

  12. Jin, M.-S., 1988, Geochemistry of th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granitic rocks in southern Korea: Pt. II trace elements geochemistr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68-188. 

  13. Jo, D.-L., 1993, Mineralogy and geochemical Study for Origin of Phaner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Yonsei, 189p. 

  14. Kim, K.-H., 1992, Geochemical Study of Some Mesozoic Granitic Rock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5, 435-446 

  15. King, P.-L., White, A.-J., Chappell, B.-W., and Allen, C. M., 1997, Characterization and origin of aluminous A-type granites from the Lachlan Fold Belt, Southeastern Australia. Journal of Petrology, 38, 371-391. 

  16. Koh, J.-S., Yun, S.-H., and Lee, S.-W., 1996, Petr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type granite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Namsan Granite, Kyeongju.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5, 142-160. 

  17. Lee, J.-D., and Hwang, B.-H., 1999, Petrology of the granitoids in the Namsan-Tohamsan area around Gyeongju,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80-95. 

  18. Lee, J.-D., 2000, Petrology of the granitoids in the Gyeongju-Gampo a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9, 70-83. 

  19. Loiselle, M. and Wones, D. 1979, Minera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anorogenic granit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468. 

  20. Mason, B. and Moore, C. B., 1985, Principles of Geochemistry. New York, Wiley, 340p. 

  21. Mushkin, A. Navon, O. Halicz, L. Hartmann, G. and Stein, M. 2003, The petrogenesis of A-type magmas from the Amram Massif, southern Israel. Journal of Petrology, 44, 815-832. 

  22. Park, S.-C., Moon, S.-W., Kim, S.-D., and Jwa, Y.-J., 2015, A Petrological Study of Stones Used in the Three Storied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24, 11-24. 

  23. Pearce, J.-A., Harris, N.-B.,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ournal of petrology, 25, 956-983. 

  24. Ringwood, A.-E., 1955, The principles governing trace element distribution during magmatic crystallization Part I: The influence of electronegativity.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7, 189-202. 

  25. Skjerlie, K.-P., and Johnston, A.-D., 1992, Vapor-absent melting at 10 kbar of a biotite-and amphibole-bearing tonalitic gneiss: implications for the generation of A-type granites. Geology, 20, 263-266. 

  26. Takahashi, M. 1985, A proposal and development of granitoid series concept. The Memoirs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25, 225-244. 

  27. Tsusue, A. and Ishihara, S. 1974, The iron-titanium oxides in the granitic rocks of Southwest Japan. Mining Geology, 123, 13-30. 

  28. Turner, S.-P., Foden, J.-D., and Morrison, R.-S., 1992, Derivation of Some a-Type Magmas by Fractionation of Basaltic Magma-an Example from the Padthaway Ridge, South Australia. Lithos, 28, 151-179. 

  29. Whalen, J.-B., Currie, K.-L., and Chappell, B.-W., 1987, A-type granites: geochemical characteristics, discrimination and petrogenesi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95, 407-419. 

  30. White, A.-J., and Chappell, B.-W., 1977, Ultrametamorphism and granitoid genesis. Tectonophysics, 43, 7-22. 

  31. White, A.-J., 1979, Sources of granite magmas(abstract).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5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