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류조건을 달리한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unds of Potato Sojues Produced by Different Distillation Condi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3, 2012년, pp.433 - 437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서지형 (영남이공대학교 식음료조리계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자를 이용해서 증류식 소주를 제조하고 전통방식의 소주고리 증류 및 감압증류 조건에 따른 퓨젤유 및 휘발성 성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감자소주의 퓨젤유 함량은 감자술덧을 감압 증류하였을 때 높았으며, isoamyl alcohol, isobutyl alcohol, n-propanol의 상대비는 전통방식 증류주가 3.1 : 0.8 : 1.0, 감압 증류주가 4.0 : 1.2 : 1.0 이었다. 감자소주의 휘발성 성분 chromatogram은 증류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휘발성 성분으로는 감자소주(I)에서 alcohol류 4종, ester류 6종, aldehyde류 1종, acid류 1종, 감자소주(II)에서 alcohol류 7종, ester류 14종, aldehyde류 2종, acid류 1종 및 기타 성분 3종이 확인되었다. 감자소주(II)는 향에 대한 선호도가 감자소주(I)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sel oils and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wo potato sojues, one of which was produced with the traditional distillation apparatus(soju-gori) and the other, with the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system, were examined. The fusel oil content was high in the potato soju that was distilled 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감자술덧을 상압 및 감압 방식으로 증류하여 감자소주를 제조하고 그 휘발성 성분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여 감자소주의 제품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4)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Potato soju distilled in the condition of 450mmHg vacuum pressure at 7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압형 증류주는 향미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 현재 증류주 제조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증류기를 이용한 감압형 증류방법이 보편적이나 민속주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주고리(soju-gori)와 같은 전통방식 증류기로 상압형 증류를 한다. 향미 특성으로 볼 때 감압형 증류주는 가열취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되는 반면 상압방식의 증류주는 비점이 낮은 성분의 손실이 용이하고 술덧 성분간의 부가반응이 촉매되어 농후한 풍미를 형성한다(4,5). 근래에는 일부 감압 증류주의 고미 발생 등이 보고 (6)되기도 하여 재료 특성에 따른 증류방식의 선정에 대한 의견(4)도 있다.
증류주 제조로 현재 보편적인 방법은? 따라서 감자소주에서 증류과정은 기본적인 주질이 결정됨으로 상품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증류주 제조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증류기를 이용한 감압형 증류방법이 보편적이나 민속주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주고리(soju-gori)와 같은 전통방식 증류기로 상압형 증류를 한다. 향미 특성으로 볼 때 감압형 증류주는 가열취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되는 반면 상압방식의 증류주는 비점이 낮은 성분의 손실이 용이하고 술덧 성분간의 부가반응이 촉매되어 농후한 풍미를 형성한다(4,5).
감자소주와 같은 민속주는 어떤 방법으로 증류하는가? 따라서 감자소주에서 증류과정은 기본적인 주질이 결정됨으로 상품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증류주 제조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증류기를 이용한 감압형 증류방법이 보편적이나 민속주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주고리(soju-gori)와 같은 전통방식 증류기로 상압형 증류를 한다. 향미 특성으로 볼 때 감압형 증류주는 가열취가 적고 휘발성이 큰 향기 성분이 유지되는 반면 상압방식의 증류주는 비점이 낮은 성분의 손실이 용이하고 술덧 성분간의 부가반응이 촉매되어 농후한 풍미를 형성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YJ, Han YS (2006)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Korean J Food Culture, 21, 31-41 

  2. Hong Y, Park SK, Chio EH (1999) Flavor chara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ors produced by the co-culture of Saccharomyces and Hansenula.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7, 236-245 

  3. Yi HC, Moo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2010)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Soc Food Sci Nutr, 39, 880-336 

  4. Choi SJ (2004) The effect of distiller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distilled liquor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5.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34-140 

  6.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1996) Development of distillation type soju from sweet potato (NO. GOVP1199700519). Final Research Report. p.244-249 

  7. Jeong YJ, Seo JH, Lee JB, Jang SM, Shin SR, Kim KS (2000) Changes in the component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of potatoes using pilot system.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233-239 

  8. In HY, Lee TS, Lee DS, Noh BS (1995)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9. Ng IK, Hupe M, Harnois J, Moccia D (1996)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vodka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sis. J Sci Food Agric, 70, 380-388 

  10. Wiley/National Bureau of Standards(NBS) (1989) Registry of mass spectral data. Wiley Science, NY, USA 

  11. Lee HS, Lee TS, Noh B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12.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1994)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ol, 26, 750-758 

  13. Meilgard MC (1982) Prediction of flavor differences between beers from their chemical composition. J Agri Food Chem, 30, 1009-1017 

  14. Nishiya T (1977) Brewing components: spirits. J Soc Brew Japan, 72, 415-432 

  15.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1994) Gas 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alcohol homologues in the korean folk sojues (distilled liquor). Korean J Chemical Soc, 38, 640-652 

  16. Hara S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alcohols. J Soc Brew Japan, 62, 1195-1205 

  17. Choi SH, Jang EY, Choi BT, Im SI, Jeong YK (2008) Analysis and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rice wine fermented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um and regular commercial rice wine. Food Quality and Culture, 2, 32-36 

  18.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9, 249-254 

  19. Yuda J (1976) Brewing component: beer(fermented flaovr component). J Soc Brew Japan, 71, 819-830 

  20. Merck Index (1992) An encyclopedia of chemicals, drugs and biologicals. 12th. p 1129-1130, 1270, 552, 547, 737. Merck Co Inc, New Jersey, USA 

  21.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2.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23. Owaki K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 Carbonyl. J Soc Brew Japan, 62, 1098-1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