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T3-L1 세포분화 중 지방축적 및 ROS 생성에 대한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argassum micracanthum extract on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3, 2012년, pp.455 - 461  

이영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윤보라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최현선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부용 (차의과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분화 과정 중에 잔가시 모자반의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두 농도(10 및 100 ${\mu}g/mL$) 모두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지방세포 분화 중 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 생성량을 비교한 결과,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한 지방세포의 경우 지방축적량과 ROS 생성량 모두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써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PPAR{\gamma}$$C/EBP{\alph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ROS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주요 효소인 NOX4의 발현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의 축적 억제 효과와 더불어 ROS 생성 억제에 효과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비만과 같이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개선을 위한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sity, a strong risk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diseases,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size of adipocytes differentiated from precursor cells, preadipocytes.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3T3-L1 adipocyte facil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로 나타났다(23). 따라서 본 연구는 3T3-L1 지방세포에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 단계에서의 지방 축적 억제와 활성산소종 생성량을 관찰하고 이와 관련 있는 전사인자들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항산화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 유도물질을 처리하여 분화 과정 중에 잔가시 모자반의 지방축적과 ROS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은 XTT assay에서 두 농도(10 및 100 μg/mL) 모두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DA 승인을 받은 비만 치료의 대표적인 약물 2가지는 무엇인가? 현재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을 받은 비만 치료의 대표적인 약물인 시부트라민(sibutramine)과 오르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 의약품으로 부작용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당뇨, 고혈압, 이상지방혈증 등을 포함한 위험인자가 있는 비만 환자가 아닌 일반적인 과체중을 포함한 비만 환자에게 이용되기 어렵다(10-13).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도 경제적이며 효과가 좋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었다.
비만이란? 비만(obesity)은 음식물로부터 섭취한 에너지와 사용한 에너지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중성지방이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병으로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혈증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이다(1,2). 지방의 축적은 지방세포(adipocytes)의 비대(hypertrophy)와 과형성(hyperplasia)을 초래하여 비만을 포함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의 발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4).
해조류 중 갈조류에 함유된 기능성 다당류는 무엇인가? 해조류는 한천(agar) 및 후코이단(fucoidan)과 같은 고분자 다당체 이외에도 후코잔틴(fucoxanthine) 및 폴리페놀 (polyphenol)과 같은 저분자 화합물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저분자 화합물들은 우수한 기능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18,19). 특히 갈조류의 경우 라미나란, 후코이단과 알긴산을 포함한 다당류와 함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포함하여 면역증진, 항혈액응고,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항종양활성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20-22). 본 연구진에 의한 이전의 연구에서 49종의 해조류를 스크리닝 해 본 결과, 잔가시 모자반에 페놀성 화합물이 약 4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piegelman BM, Flier JS (2001) Obesity and the regulation of energy balance. Cell, 104, 531-543 

  2. Marcelin G, Chua S (2010) Contributions of adipocyte lipid metabolism to body fat content and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urr Opin Pharmacol, 10, 588-593 

  3. Holst D, Grimaldi PA (2002) New factors in the regula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metabolism. Curr Opin Lipidol, 13, 241-245 

  4. de Ferranti S, Mozaffarian D (2008) The perfect storm: obesity, adipocyte dysfunction, and metabolic consequences. Clin Chem, 54, 945-955 

  5. Attie AD, Scherer PE (2009) Adipocyte metabolism and obesity. J Lipid Res, 50, 395-359 

  6. Rosen ED, MacDougald OA (2006) Adipocyte differentiation from the inside out. Nat Rev Mol Cell Biol, 7, 885-896 

  7. Kim KH (2009) Perspective in regulation of adipogenesis by bioactive food components. Food Sci Industry, 42, 51-57 

  8. Lee OH, Kwon YI, Hong HD, Park CS, Lee BY, Kim YC (2009)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hanges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es during differentiation of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 70-75 

  9. Valko M, Moncol DJ, Cronin TD, Mazura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10. Kim MH (2004) Updates in treating obesity. Kor J Health Psychol, 9, 493-509 

  11. Lee HE, Lee YJ, Cho OB, Kang SM (2007) Effects of a combined diet of Jerusalem artichoke' Inulin, Lotus leaf and herb extracts in obesity induced white rat with fat diet. J Kor Soc Appl Biol Chem, 50, 295-303 

  12. Reddy PM, Chow SS (1998) Focus on orlistat: a nonsystemic inhibitor of gastrointestinal lipase for weight reduction in the management of obesity. Formulary, 33, 943-959 

  13. Eun WS, Kwon JH, Yang SY, Park HJ, Kim HK (2008) Development of egg yolk antibody specific to the pancreatic lipase domain for anti-obesity.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99-306 

  14.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Ha JU, Lee SC (2001) 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6-1032 

  15.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49 

  16.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472 

  17. Kopelman P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 635-643 

  18. Peng J, Yuan JP, Wu CF, Wang JH (2011) Fucoxanthin, a marine carotenoid present in brown seaweeds and diatoms: metabolism and bioactivities relevant to human health. Mar Drugs, 9, 1806?1828 

  19. Fitton JH (2011) Therapies from fucoidan; multifunctional marine polymers. Mar Drugs, 9, 1731?1760 

  20. Nishino T, Yokoyama G, Dobashi K, Fujihara M, Nagumo T (1989)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cose containing sulfated polysaccharide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kurome and their bloodanticoagulant activities. Carbohydr Res, 186, 119-129 

  21. Hong YK, Park IS, Jung YH, Song SH, Hong SY (1998) Effect of the seaweed Porphya yezoensis extract on triton WR-1339 induced hypercholesterolemia in Mouse. Bull Korea Fish Soc, 31, 508-515 

  22. Ha JH, Kwon MC, Han JG, Jin L, Jung HS, Choi GP, Park UY, You SG, Lee HY (2008) Enhancement of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low molecular weight fucoida isolated from Hizikia fusiforme. Korea J Food Sci Technol, 40, 545-550 

  23. Lee OH, Yoon KY, Kim KJ, You SG, Lee BY (2011) Seaweed extracts as a potential tool for the attenuation of oxidative damage in obesity-related pathologies. J Phycol, 47, 548-556 

  24. Student AK, Hsu RY, Lane MD (1980) Induction of fatty acid synthetase synthesis in differentiating 3T3-L1 preadipocytes. J Biol Chem, 225, 4745-50 

  25. Blumberg JM, Tzameli I, Astapova I, Lam FS, Flier JS, Hollenberg AN (2006) Complex role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its ligand i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J Biol Chem, 28, 11205-11213 

  26.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M, Shimomura I (2004)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114, 1752-1761 

  27. Rosen ED (2005) The transcriptional basis of adipocyte development.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 73, 31-34 

  28. Evans RM, Barish GD, Wang YX (2004) PPARs and the complex journey to obesity. Nat Med, 10, 355-361 

  29. Pablo C, Daiana S, Soledad C, Virginia D, Lelia D, Juan CC, Liliana NG (2011) N-Acetylcysteine reduces markers of differentiation in 3T3-L1 adipocytes. Int J Mol Sci, 12, 6936-6951 

  30. Sampson N, Koziel R, Zenzmaier C, Bubendorf L, Plas E, Jansen-Durr P, Berger P (2011) ROS signaling by NOX4 drives fibroblast-to-myofib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diseased prostatic stroma. Mol Endocrinol, 25, 503-515 

  31. Basuroy S, Tcheranova D, Bhattacharya S, Leffler CW, Parfenova H (2011) Nox4 NADPH oxidase-derived reactive oxygen species, via endogenous carbon monoxide, promote survival of brain endothelial cells during TNF- $\alpha$ -induced apopto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300, C256-2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