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기법을 활용한 충적층내 지하수-지표수 연계 특성 해석
Understanding of Surface Water-Groundwater Connectivity in an Alluvial Plain using Statistical Method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2 no.2, 2012년, pp.207 - 221  

김규범 (K-water연구원) ,  손영철 (K-water연구원) ,  이승현 (K-water연구원) ,  정안철 (K-water연구원) ,  차은지 (K-water연구원) ,  고민정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강 하류지역 주변 충적층 지역내 설치 운영중인 27개의 지하수 관측정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연계 특성 평가를 위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위의 변화는 하천수위의 변화와 교차상관계수가 0.601로서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강우와의 교차상관계수 0.125보다 매우 높다. 지하수위 시계열 자료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연구지역내 지하수위는 2개의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중에서 그룹 A에 속하는 하천에 인접한 관측정에서의 수위 변화는 하천수와 유사한 변동을 보이며 호우시의 지하수위 상승량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홍수 발생에 대한 지하수 기여에 대한 추가적 이해를 위해서는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기반으로 지구화학 분석 및 온도 계측 등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atistical analysis of time series of water level at 27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rface water-groundwater connectivity in the wide alluvial plains surrounding the Nakdong River, Korea. Change in groundwater level is strongly related to river water level, yiel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 7월 9일부터 10일까지 2일간의 시간당 10~45 mm(총 308 mm)의 강우에 의하여 하천 및 지하 수위 변동이 발생하였는데, 호우기 동안의 지하수위 상승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강우 이벤트 전후의 지하수위 변화를 파악하였다(Table 3). 낙동강 수위는 강우 이전에 평균 2.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지표수 상호 관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공간적인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로부터 호우시의 지하수위 상승과 홍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지하수위 관측은 국가지하수관측망 등이 전국을 대상으로 광역적으로 설치 운영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일 소유역내 충적층에 다수의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하여 지하수위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낙동강 중하류 주변에 넓게 발달한 충적층에서의 지하수위 변동은 강우보다는 하천 수위의 변화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7월 집중 호우기간 동안에는 일부 지점에서 지하수위가지표 부근 또는 지표상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류 주변지역에 설치 운영 중인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 관측자료와 하천수위 및 강우 자료 등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지표수 또는 강우와 연계되는 지하수위 변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지표수 상호 관계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공간적인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로부터 호우시의 지하수위 상승과 홍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지하수위 관측은 국가지하수관측망 등이 전국을 대상으로 광역적으로 설치 운영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단일 소유역내 충적층에 다수의 지하수 관측정을 설치하여 지하수위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성분 분석이란 무엇인가? 지하수 변동 유형의 평가 대하천 주변 충적층내에서의 지하수위 시계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통한 시계열 자료의 분류를 수행하였다. 주성분 분석은 변수 들의 상관행렬 또는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이용한 스펙트럴 분해(Spectral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주성분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관측정에 대하여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몇 가지의 핵심 변수를 도출함으로써 관측 정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Hannah et al.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무엇이 가능한가? 주성분 분석은 변수 들의 상관행렬 또는 공분산 행렬의 고유값과 고유벡터를 이용한 스펙트럴 분해(Spectral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주성분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관측정에 대하여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몇 가지의 핵심 변수를 도출함으로써 관측 정을 그룹으로 분류하고 지하수위 변동 패턴을 정의할 수 있다(Hannah et al., 2000; Winter et al.
국내에서 정의한 지하수-지표수 연계 개념은 무엇인가? 기존의 수자원관리는 지표수 또는 지하수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정책으로 추진되어 왔으나, 두 수자원이 단일 수자원이라는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국내에서는 “수자원 개발이 한계에 도달하거나 시공간적으로 수자원의 수요, 공급의 불균형이 심한 지역에서 유역 내 지표수와 지하수를 단일 체계로 통합하여 계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수자원의 가용량 증대와 용수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법”이라고 지하수-지표수 연계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이상일 외, 2004). 즉, 지하수-지표수 연계의 궁극적인 목적은 용수 확보와 수자원 관리에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수문학적인 접근이 전제되어야 하고 지하수-지표수 상호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5, 국가지하수관측망 주변 현황조사 및 변동특성 분석 부록(1편-5편), 서울. 

  2. 국토해양부, 한국수자원공사, 2011, 2011 지하수 관측연보, 서울, 37-40. 

  3. 김규범, 염병우, 2007, 국가지하수관측소 충적관측정의 수위 변동 유형 분류 및 특성 비교,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12(5), 86-97. 

  4. 김규범, 2010, 충적층 지하수 관측지점의 강우량 대비지하수위 변동 자료를 활용한 비산출율 추정,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11(6), 57-67. 

  5. 김규범, 최두형, 신선호, 2011, 낙동강 하중도 딴섬의 지하수위 변동 및 수질 특성,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2011, 12(2), 35-43. 

  6. 김규범, 최두형, 정재훈, 2010, 강우 대비 지하수위 변동량을 이용한 비산출율 추정 기법의 적용성 고찰, 지질공학, 20(1), 61-70. 

  7.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4,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 (1)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6), 499-507. 

  8. 김남장, 이홍규, 1964, 지질도폭 설명서-영산, 상공부, 국립지질조사소, 52p. 

  9. 이상일, 김병찬, 김수민, 2004, 지표수-지하수를 연계한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I)방법론,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7(10), 789-798. 

  10. 이소현, 김규범, 2010,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가뭄 예측, 대한지질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27-330. 

  11. 이정환, 함세영, 정재열, 정재형, 박삼규, 김남훈, 김규범, 2010, 기흥터널 건설에 따른 지하수 변화 수치모델링, 지질공학, 20(4), 449-459. 

  12. 전항탁, 김규범, 2011, 온도, 유동특성 및 지화학분석 자료를 이용한 지표수-지하수 연계특성 평가, 지질공학, 21(1), 45-55. 

  13. 정일문, 이정우, 김남원, 2011,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자원환경지질, 44(5), 433-442. 

  14. 최승오, 여상철, 1972, 지질도폭 설명서-남지, 과학기술처, 국립지질조사소, 27p. 

  15. 최유구, 김태열, 1963, 지질도폭 설명서-의령, 상공부, 국립지질조사소, 29p. 

  16. 최현미, 이진용, 하규철, 김기표, 2011, 제주도 수리자료에 대한 시계열 분석 및 지하수 함양률 추정 연구, 지질공학, 21(4), 337-348. 

  17. Adams, B., Bloomfield, J., Gallagher, A., Jackson, C., Rutter, H., and Williams, A., 2008, FLOOD 1 Final Report, Groundwater Resources Programme, Open Report OR/08/055, British Geological Survey, Keyworth, Nottingham, 65p. 

  18. Bloomfield, J.P., McKenzie, A.A., Rutter, H.K., and Hulbert, A., 2007, Methodology for Mapping Geological Controls on Susceptibility to Groundwater Flooding. British Geological Survey Internal Report, IR/07/072, 55p. 

  19. Bradford, R.B. and Croker, K.M., 2007, Application of head-flow responses to groundwater floods in Chalk catchment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40, 67-74. 

  20. Habets, F., Gascoin, S., Korkmaz, S., Thiry, D., Zribi, M., Amraoui, N., Carli, M., Ducharne, A., Leblois, E., Ledoux, E., Martin, E., Noilhan, J., Ottl, C., and Viennot, P., 2010, Multi-model comparison of a major flood in the groundwater-fed basin of the Somme River (France),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4, 99-117. 

  21. Hannah, D.M., Smith, B.P.G., Gurnell, A.M., and McGregor, G.R., 2000, An approach to hydrograph classification, Hydrological Processes, 14(2), 317-338. 

  22. Heliotus, F.D. and DeWitt, C.B., 1987, Rapid water table responses to rainfall in a northern peatland ecosystem, Water Resources Bulletin, 23, 1011-1016. 

  23. Lee, L.J.E., Lawrence, D.S.L., and Price, M., 2006, Analysis of water level response to rainfall and implications for recharge pathways in the chalk aquifer, SE England, Journal of Hydrology, 330(3-4), 604-620. 

  24. Marsh, T.J. and Dale, M., 2002, The UK floods of 2000- 2001: A hydrometeorological appraisal, The CIWEM Journal, 16, 180-188. 

  25. Morel-Seytoux, H.J., Meyer, P.D., Nachabe, M., Touma, J., van Genuchten, M.T., and Lenhard, R.J., 1996, Parameter equivalence for Brooks-Corey and van Genuchten soil characteristics: Preserving the effective capillary drive, Water Resources Research, 32(5), 1251-1258. 

  26. Morris, S.E., Cobby, D., and Parkes, A., 2007, Towards groundwater flood risk mapping,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40, 203-211. 

  27. Upton, K.A. and Jackson, C.R., 2011, Simulation of the spatio-temporal extent of groundwater flooding using statistical methods of hydrograph classification and lumped parameter models, Hydrological Processes, 25, 1949-1963, DOI: 10.1002/hyp.7951. 

  28.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7, Post Event Report - Winter storm of 1996-97, Federal Disaster DR1159, Western Washington Summary: Seattle, Wash.,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inal document May 16, 1997, 38p. 

  29. Weeks, E.P., 2002, The Lisse effect revisited, Ground Water, 40, 652-656. 

  30. Winter, T.C., Mallory, S.E., Allen, T.R., and Rosenberry, D.O., 2000,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interpreting ground-water hydrographs, Ground Water, 38, 234-2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