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규화된 표준편차 및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variability in the middle mountain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normalized standard deviation and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5, 2020년, pp.337 - 345  

신문주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 ,  문수형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 ,  문덕철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수자원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수자원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강수량과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 산간지역 9개 지하수위 관측정 지점을 대상으로 정규화된 표준편차에 의해 변환된 시계열자료와 교차상관계수를 이용하여 강수량-지하수위 및 지하수취수량-지하수위 간의 상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일단위 원시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강수량-지하수위의 교차상관계수를 산정한 결과 최대 0.3의 낮은 교차상관계수를 가졌으나 정규화된 표준편차를 이용한 결과는 최대 0.8의 교차상관계수를 얻음으로써 더욱 명확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수량의 변동성과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대부분 양의 교차상관계수를 가졌으나, 취수량의 변동성과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대부분 음의 교차상관계수를 가짐으로써 본 연구 대상지역의 지하수위는 취수량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고 강수량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판악과 교래 강우관측소가 관측정 지하수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을 비교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하류쪽에 위치한 교래 강우관측소의 강수량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하수위 변동분석 방법은 향후 다른 지역의 강수량과 지하수 취수량이 지하수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간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oper manage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withdrawal on groundwater levels is need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precipitation-groundwater level and groundwater withdrawal-groundwate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내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강수량과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의 명확한 비교분석에 있다. 강수량과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비교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의 원시시계열자료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비교분석하는 방법 대신 정규화된 표준편차(Shi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수성이 높은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어떤 영향을 받는가? 제주도의 경우 지하수는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81%를 차지하는(JSSGP, 2018)매우 중요한 수자원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하수 이용을 위해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특히 중요하다.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지하수 취수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하천수위변화 및 기후변화와 계절적인 강수량의 변동성 등으로부터 또한 영향을 받는다(Todd and Larry, 2004; Yoon et al., 2016).
지하수란 무엇인가? 지하수는 지표수와 더불어 유용가능한 중요한 수자원이며 특히 섬 지역의 경우 대부분 용수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제주도의 경우 지하수는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81%를 차지하는(JSSGP, 2018)매우 중요한 수자원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하수 이용을 위해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특히 중요하다.
제주도의 지하수 이용량은 얼마인가? 지하수는 지표수와 더불어 유용가능한 중요한 수자원이며 특히 섬 지역의 경우 대부분 용수를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지하수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제주도의 경우 지하수는 전체 수자원 이용량의 81%를 차지하는(JSSGP, 2018)매우 중요한 수자원이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지하수 이용을 위해 지하수 취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특히 중요하다. 지하수위의 변동성은 지하수 취수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하천수위변화 및 기후변화와 계절적인 강수량의 변동성 등으로부터 또한 영향을 받는다(Todd and Larry, 2004; Y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ang, M.W., Park, K.W., Kim, S.J., and Bae, S.J. (2015).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observed groundwater level in a paddy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7, No. 6, pp. 163-171. 

  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SSGP) (2018). Comprehens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n in Jeju Island. pp. 1-328. 

  3. Jeon, H.T., Hamm, S.Y., Cheong, J.Y., Lee, C.W., Lee, J.T., and Lim, W.R. (2018). "Analysis of long-term water level change of Dongrae hot spring using time series method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54, No. 5, pp. 529-544. 

  4. Jo, S.B., Jeon, B.C., Park, E.G., Choi, K.J., Song, S.H., and Kim, G.P. (2014). "Estimation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eastern coastal aquifer of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3, No. 4, pp. 661-672. 

  5. Kim, G.B., and Yum, B.W. (2007)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for water level time series of shallow wells at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2, No. 5, pp. 86-97. 

  6. Kim, N.W., Kim, Y.J., and Chung, I.M. (2014). "Sensitivity analysis of hydrogeologic parameters by groundwater table fluctuation model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5, pp. 1409-1420. 

  7. Kim, S.G., Koo. M.H., and Chung, I.M. (2015). "Development of a transient groundwater flow model in Pyoseon watershed of Jeju Island: Use of a convolution metho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4, No. 4, pp. 481-494. 

  8. Lee, D.R., and Koo, H.B. (2000). "Analysis of groundwater recharge characteristics using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groundwater lev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33, No. 1, pp. 51-59. 

  9. Lee, J.Y., and Lee, K.K. (2002).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responses to rainfall in two aquifer system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7, No. 1, pp. 3-14. 

  10. Mendenhall, W., and Sincich, T. (2007). Statistics for engineering and the sciences. Pearson Prentice Hall, Inc., pp. 1-1060. 

  11. Moon, S.K., and Woo, N.C. (2001).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using cumulative precipitation and water-level change."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6, No. 1, pp. 33-43. 

  12. Park, W.B., Kim, G.P., Lee, J.H., Moon, D.C., Kim, S.J., Koh, G.W., Pang, S.J., and Pang, I.C. (2011).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recharge volume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20, No. 7, pp. 857-872. 

  13. Shin, M.J., Guillaume, J.H., Croke, B.F., and Jakeman, A.J. (2015). "A review of foundational methods for checking the structural identifiability of models: Results for rainfall-runoff." Journal of Hydrology, Vol. 520, pp. 1-16. 

  14. Song, S.H., Choi, K.J., and Kim, J.S. (2013). "Evalu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sing time-series data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2, No. 5. pp. 609-623. 

  15. Song, S.H., Lee, G.S., An, J.G., Jeon, S.G., and Yi, M.J. (2015). "Groundwater modeling for estimating water balance over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4, No. 4, pp. 495-504. 

  16. Todd, D.K., and Larry, W.M. (2004). Groundwater hydrology,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pp. 1-656. 

  17. Yang, J.S., and Kim, N.K. (201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average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3B, pp. 265-276. 

  18. Yoon, H.S., Park, E.G., Kim, G.B., Ha, K.C., Yoon, P.S., and Lee, S.H. (2015). "A method to filter out the effect of river stage fluctuations using time series model for forecasting groundwater level and its application to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20, No. 3, pp. 74-82. 

  19. Yoon, H.S., Yoon, P.S., Lee, E.H., Kim, G.B., and Moon, S.H. (2016).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based time series models for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to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dat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52, No. 3, pp. 187-19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