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introduced an azimuth tracking prismatic daylighting system. The system improved several issues of the previous passive prismatic daylighting system: low efficiency at sunrise and sunset, glare effect and polarized. The system was developed to track the movement of sun with azimuth trac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본 기술은 에너지절감 및 급속한 경제사회의 발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초고층 건축으로 인한 고도화, 밀집화에 따른 지하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2)3). 본 기술은 건축물의 소비에너지 총량 중 20~28%4)를 차지하는 조명에너지 절감을 위한 대안기술로 인식되는 등 태양광의 적극적 도입과 응용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방위각 추적방식의 프리즘형 집광부와 원형덕트를 적용한 광전송부를 포함한 집광조명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고정식 다면프리즘형 집광조명시스템과 성능(시스템효율, 실내평균조도) 비교 측정을 하였다. 측정결과, 제안된 추적식 시스템이 고정식 시스템대비 시스템효율은 약 40%, 실내 평균조도(주광률)는 약 11%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집속형(광덕트 방식)의 다면프리즘을 이용하여 당사에서 개발, 실용화한 고정식 태양광 집광조명시스템 기술에 태양위치추적기술을 부가하여 전체적인 시스템효율 향상뿐만 아니라 특히, 일출과 일몰시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추적구동제어를 위해 태양광 발전을 통한 자가발전이 가능토록 하여 에너지절감 효과를 높이고, 원형 광덕트를 적용하여 기존 사각 덕트에서 발생하는 난반사를 개선하여 광전송 효율을 개선한 방위각 추적식 집광조명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차후 연구 과제로는 집광부에 방위각외에 고도각 추적도 가능한 2축 추적기술을 적용하고 추적센서와 태양추적프로그램 방식의 병행이 가능한 태양위치 추적장치를 개발하며 구동전원의 자가발전을 위한 태양광발전모듈의 재선정과 배치형식의 변경, 그리고 광전송부는 ∅830의 외접원에 해당하는 원형 광덕트를 개발,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시스템 개발 시 고정식 집광조명시스템의 조달 가격과 개발시스템의 전체 비용대비 성능향상 정도를 포함한 사용자의 needs, 제작단가 절감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제성확보를 통하여 시장진입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다면프리즘형 집광조명시스템이 가지는 시간대별 시스템효율의 편차가 큰 것과 극심한 편광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방위각 추적 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 다면프리즘형 집광조명시스템은 태양일주 운동의 연중변화로 인해 효율적인 채광효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연중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여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유입할 수 있도록 구동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집광효율 향상과 일출, 일몰 시 태양광의 유입량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추적식 프리즘형 태양광 집광조명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집광장치와 추적제어부, 태양광발전모듈을 적용한 자가발전시스템, 원형덕트 형태의 광 전송장치 및 확산기능의 산광장치를 통합하여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양광 집광기술에 대해 설명하라 정부의 ‘저탄소녹색성장’ 정책의 일환인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태양광 활용기술 중 한 분야인 태양광 집광기술은 태양광의 유입이 불가능하거나 부족한 실내/외 공간에 다양한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유입시키는 시스템으로 에너지 절약효과뿐만 아니라 향상된 시환경을 제공한다1). 본 기술은 에너지절감및 급속한 경제사회의 발전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초고층 건축으로 인한 고도화, 밀집화에 따른 지하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2)3).
집광조명시스템의 방식과 구성은? 건축분야에 적용되는 집광조명시스템은 반사거울방식, 광덕트방식, 렌즈-광섬유 방식, 집광거울 방식5) 등이 있으며, 크게 집광부, 광전송부 및 산광부의 3부분으로 구성되며 그림 1과 같다.
집광조명시스템의 광전송부는 무엇인가? 집광부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부분으로 돔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수광하거나 프로그램 및 센서에 의해 태양광을 추적, 집광하는 장치이다. 광전송부는 집광된 빛을 덕트나 공기층, 광섬유 등을 이용하는 원하는 공간으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산광부는 전송된 빛을 확산판, 확산 렌즈 등을 통해 실내로 산광시키는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Lee, E. J., Concentrating Daylighting Duct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7, 14-19,(2008) 

  2. Park H. K., Optical fiber type sunlighting technology, ceramist, 44-62, (2010) 

  3. Lee, S. C., et al, Information business for optical fiber type sunlighting and technolog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0) 

  4. Kim, Y. S., Kwon, K. W., Skin load reduction technology of building, Korea Green Building Council, 38-41, (2009) 

  5. Yoon, Y. J., Architecture and Daylight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olar Energy Society, 8, 1, 3-10, (2009) 

  6. Kim, S. H., Kim, B. C., Solar Daylighting System, Journal of th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5, 10, 33-40, (2008) 

  7. Kim, D. H., et al, Solar-energy parts of New&Renewable energy RD&D Strategy 2030,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2007) 

  8. Korea Energy Management Corporation,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ssessment criteria - PV solar panel PV 601 : 2007, (2007) 

  9. Heo, S. K., et al, Development on Requirement Specification for Performance Assesment of Daylight Collecting System,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