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고에서는 기존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망을 통한 재난방송이 오디오에 한정되는 한계를 극복하고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 등 멀티미디어적으로 재난정보를 제공하여 재난상황 및 대처요령을 재난상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기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방법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험실 및 필드테스트 실시하여 본 시스템의 송출신호 품질을 확인하였다.
  • 본 고에서는 터널 및 지하공간 등의 T-DMB 수신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 평상시에는 T-DMB 방송을 중계하여 수신환경을 개선하고 재난상황 발생 시에는 기존의 T-DMB 서비스를 T-DMB 수신기의 조작없이도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을 송출하는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그 테스트 결과에 대해 소개한다. 본 고의 구성은 먼저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시스템의 개요와 더불어 시스템의 동작 및 효율적인 구성 방안을 간단히 설명하고, 둘째 성능 검증을 위해 실제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시스템을 남산 1호 터널에 설치하여 실시한 실험실 및 필드 테스트 결과를 간단히 소개한 후, 마지막으로 결론을 맺는다.
  •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시스템은 남산 1호 터널에 설치하여 실험방송을 실시할 목적으로 개발 되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6개 앙상블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전기적 특징은 <표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 방송에 있어 방송망의 이점은 무엇인가?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생한 경우, 신속하게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한다면, 효과적으로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방송망은 도시와 산간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어, 재난정보를 전국적 또는 국지적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특히, 9.
재난방송기술개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세계적으로 집중호우, 폭설, 지진, 쓰나미, 화재를 비롯하여, 국내에서는 연평도 포격 및 광명터널에서의 KTX 탈선 등과 같은 재난 및 긴급 상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어 대국민에게 효과적으로 재난상황을 전파하고 대처할 수 있는 재난방송기술개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멀티미디어 재난경보방송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방송망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진행 중인데, 이러한 변환의 특징으로 디지털화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해 지고 있다. 지상파 디지털멀티미 디 어 방 송(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2005년 12월부터 본 방송을 시작한 이후 약 3500만대의 단말기가 보급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보다 디지털방송 매체를 사용하는 멀티미디어 재난경보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장태욱, 함영권, "지상파 DMB 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Part 1 요구사항 분석," 한국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 3호, pp.230-241,2007 

  2. 최성종, 권대복, 김재연, 오건식, 장태욱, 함영권, "지상파 DMB 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Part 2 서비스 모델, 전송 채널, 서비스 시그널링," 한국방송공학회논문지, 제12권 6호, pp630-640,2007 

  3. 이용태, 박소라, 이용훈, 백명선, 임보미, 송윤정, 김건, "터널 및 지하공간용 T-DMB 재난방송 기술 개발," 2011년 한국방송공학회 하계학술대회 

  4. 정보통신단체표준, "지상파 디지털멀티디어방송(DMB) 재난경보방송 표준(Interface Standard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TTAK.KO-07.0046/R2, 2009 

  5. 정보통신단체표준, "터널 및 옥내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멀티미디어방송(DMB) 재난 및 지역방송 시스템(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Emergency-Alert and Local Broadcast System for In-Tunnel and In-Door Services)," TTAK.KO-07.0080, 2010 

  6. ETSI EN 300 401 v1.3.3, "Radio Broadcasting Systems;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to mobile, portable and fixed receivers," v.1.3.3, May 2005 

  7. ETSI ETS 300 799,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Distribution interfaces; Ensemble transport interface (ETI), Sept. 1997 

  8. Y. T. Lee, S. R. Park, M. S. Baek, Y. H. Lee, G. Kim, B. M. Lim and Y. J Song, "Field Trials of Digital Radio Technologies: DAB, DAB+, T-DMB Audio, HD Radio and DRM+", NAB Broadcast Engineering Conf. Proc.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