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BM 터널 세그먼트용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인장특성 평가
Evaluation of tensile properties of SFRC for TBM tunnel segment 원문보기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14 no.3, 2012년, pp.247 - 260  

문도영 (경성대학교 토목공학과) ,  장수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배규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  이규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Geo-인프라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BM 터널 세그먼트의 철근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로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널 세그먼트에는 철근의 감소로 인해 필요한 인장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숏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섬유에 비해 매우 높은 형상비의 강섬유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의 형상비가 80인 강섬유 콘크리트의 인장특성을 휨시험과 Double Punch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휨시험결과, 사용된 강섬유의 충분한 부착강도로 인해 30%~150%의 강도 증진을 나타냈으며, 오영훈(2008)의 예측식을 통한 휨인장강도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실험을 근거로 설계에 필요한 직접인장강도를 ACI와 RILEM의 식에 의해 평가한 결과, 적용기준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T 실험을 통해 RILEM에서 권고하고 있는 직접인장강도의 정밀도 있는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reinforcements in TBM tunnel segments, the use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SFRC) is being tried. The steel fibers with higher aspect ratio than that used in tunnel shotcrete are preferred to compensate the deficiency in tensile strength of the segm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FRC 터널 세그먼트 개발을 위한 기본 물성치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터널 세그먼트에는 숏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섬유에 비하여 큰 형상비를 갖는 강섬유가 이용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형상비 80의 강섬유가 혼입된 SFRC의 인장특성을 일반적인 휨시험과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DPT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FRC 터널 세그먼트 개발을 위한 기본 물성치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터널 세그먼트에는 숏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섬유에 비하여 큰 형상비를 갖는 강섬유가 이용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형상비 80의 강섬유가 혼입된 SFRC의 인장특성을 일반적인 휨시험과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되는 DPT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획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FRC 터널 세그먼트 개발을 위해 형상비 80의 강섬유가 혼입된 SFRC의 인장특성을 휨시험과 DPT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휨인장강도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휨인장강도가 강섬유혼입률 증가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섬유가 혼입되지 않은 실험체의 인장강도에 비하여 133%에서 253%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에 대한 영향은 고강도일수록 휨인장강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강섬유는 0.25%의 혼입률에도 콘크리트와의 부착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콘크리트의 인성증가와 휨강도 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SFRC의 휨인장강도의 예측모델을 통해 본 실험체의 강도를 예측한 결과, 오영훈(2008)의 예측모델이 본 세그먼트용 60 MPa급 SFRC의 강도를 유사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섬유의 형상비와 혼입률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어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가 각 변수에 대하여 3개 실험체의 결과이므로 실질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실험 연구를 통한 검증이 필요하다. 3. 본 실험결과를 근거로 ACI 544.4R과 RILEM TC 162-TDF에 제시되어 있는 직접인장강도를 산정한 결과, 각 규정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CI의 경우 매우 보수적이며, 유럽의 경우 약 4배 정도 크게 평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의 결과는 SFRC 터널 세그먼트의 휨설계를 위한 직접인장강도의 상한치와 하한치로 간주할 수 있으며, 적정한 산정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 DPT 시험을 통하여 동일한 배합으로 제작된 실험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휨시험의 변동계수가 3%에서 27%로 강섬유의 혼입률에 따라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DPT 시험의 변동계수는 0.3%에서 최대 8.9%로 매우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RILEM TC 162-TDF에서 규정하고 있는 직접인장강도를 비교적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는 시험방법으로 판단된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사용 목적은 무엇인가?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이하 SFRC)는 콘크리트의 인성증가, 내구성 증진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문도영 등, 2011; Mangat 등, 1987). 또한, 최근에는 철근의 인장부담을 개선하는 차원에서 강섬유로 인한 인장성능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소요철근을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한창이다(Chiaia 등, 2009; Dobashi 등, 2006).
TBM 터널 세그먼트의 철근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엇을 시도하고 있는가? TBM 터널 세그먼트의 철근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로서, 강섬유 보강콘크리트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널 세그먼트에는 철근의 감소로 인해 필요한 인장성능의 확보를 위하여 숏크리트에 사용되는 강섬유에 비해 매우 높은 형상비의 강섬유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상명, 신진용, 마상준, 남관우, 김기호 (2008), "숏크리트 구성재료에 따른 콘크리트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Vol. 10, No. 1, pp. 59-68. 

  2. 문도영, 이규필, 장수호, 배규진 (2011),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세그먼트의 강섬유가 표면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Vol. 13, No. 6, pp. 557-569. 

  3. 송용수, 류종현, 임희대 (2010), "숏크리트의 조기강도에 대한 실험적 연구", Vol. 12, No. 4, pp. 285-294. 

  4. 오영훈 (2008), "갈고리형 강섬유를 혼입한 보통 힘 및 고강도 콘크리트의 휨강도 평가", 콘크리트학회논문집, Vol. 20, No. 4, pp. 531-539. 

  5. KS F 2405 (200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한국표준협회. 

  6. KS F 2566 (2010),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휨인성 시험방법", 한국표준협회. 

  7. ASTM C 1609M (2007), "Standard test method for flexural performance of Fiber-Reinforced Concrete (Using beam with Third-Point loading)", ASTM. 

  8. Chiaia, B, Fantilli, A. P., Vallini, P. (2009), "Combining fiber-reinforced concrete with traditional reinforcement in tunnel linings", Engineering Structures, Vol. 31, pp. 1600-1606. 

  9. Cho, S.H., Karki, N.B., Cho, J.S., Waweru, R.N. (2012), "Use of Double Punch Test to Evaluate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HPFRCC6, pp. 27-34. 

  10. Dobashi, H., Konishi, Y., Nakayama, M., Matsubara, K. (2006), "Development of steel fiber reinforced high fluidity concrete segment and application to construction",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21, p. 422. 

  11. Malatesta, S.C., Aguado, A., Molins, C., Cabrera, M. (2009), "Quality control of fiber reinforced concretes by mean of double punshing test (barcelona test)", Revista Ingenieria de Construccion, Vol. 24, No. 2, pp. 119-140. 

  12. Malatesta. S.C., Aguado, A., Molins, C. (2012), "Generalization of the Barcelona test for the toughness control of FRC", Materials and Structures, RILEM 2011. 

  13. Mangat, P.S., Gurusamy, K. (1987), "Long-term properties of steel fibre reinforced marine concrete",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20, pp. 273-282. 

  14. Molins, C., Aguado A., Saludes, S. (2008), "Double Punch Test to control the energy dissipation in tension of FRC (Barcelona test)",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42, No. 4, p. 415. 

  15. RILEM TC 162-TDF (2003), " ${\sigma}-{\varepsilon}$ design method-final recommendation",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6, pp. 560-567. 

  16. Song, P.S., Hwang, S. (2004),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8, pp. 669-673. 

  17. Wafa, F.F., Ashour, S.A. (1992),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89, No. 5, pp. 449-4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