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벼 무논점파재배와 이앙재배의 생육, 출수 및 등숙특성 비교 Comparisons of Growth, Heading and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between Wet-hill-seeding and Transplanting in Rice원문보기
최근 개발된 직파재배의 일종인 무논점파는 무논점파기(8조식, $15{\times}28cm$, 주당 5~8립)를 이용하여 파종하므로 이앙재배의 재식거리와 유사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벼 무논점파재배의 생육 및 출수특성과 출수일변동에 따른 등숙율과 완전립율의 변이를 알아보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논포장(수원)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동안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무논점파는 입모수는 기계이앙의 재식밀도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얼수가 많아 최고분얼기에 단위면적당 경수는 기계이앙의 1.3~2배였다. 최고분얼기 이후 분얼수는 감소해 성숙기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큰 차이가 없었다. 2. 무논점파의 출수전 생육일수는 운광벼 84일, 호품벼 98일로 기계이앙의 파종일로부터 14일, 19일의 재배기간이 단축되었다. 3. 무논점파의 성숙기 생육특성은 간장과 수장 및 면적당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당립수는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보다 운광벼는 9일, 호품벼는 3일 늦어졌는데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작았다. 호품벼는 출수기간이 기계이앙보다 2일 짧아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4. 무논점파재배시 출수일변이에 따른 등숙율과 현미완 전립율은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생종인 운광벼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적어 무논점파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개발된 직파재배의 일종인 무논점파는 무논점파기(8조식, $15{\times}28cm$, 주당 5~8립)를 이용하여 파종하므로 이앙재배의 재식거리와 유사한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벼 무논점파재배의 생육 및 출수특성과 출수일변동에 따른 등숙율과 완전립율의 변이를 알아보고자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논포장(수원)에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동안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1. 무논점파는 입모수는 기계이앙의 재식밀도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분얼수가 많아 최고분얼기에 단위면적당 경수는 기계이앙의 1.3~2배였다. 최고분얼기 이후 분얼수는 감소해 성숙기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큰 차이가 없었다. 2. 무논점파의 출수전 생육일수는 운광벼 84일, 호품벼 98일로 기계이앙의 파종일로부터 14일, 19일의 재배기간이 단축되었다. 3. 무논점파의 성숙기 생육특성은 간장과 수장 및 면적당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수당립수는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4.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보다 운광벼는 9일, 호품벼는 3일 늦어졌는데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작았다. 호품벼는 출수기간이 기계이앙보다 2일 짧아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4. 무논점파재배시 출수일변이에 따른 등숙율과 현미완 전립율은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생종인 운광벼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연차간 변이가 적어 무논점파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irect seeding of rice is a time- and laborsaving method,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However, the area planted to direct-seeded rice is decreasing because of instability of seedling establishment, lodging, occurrence of weedy rice, and deterioration of grain quality. A newly developed wet-hi...
Direct seeding of rice is a time- and laborsaving method,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However, the area planted to direct-seeded rice is decreasing because of instability of seedling establishment, lodging, occurrence of weedy rice, and deterioration of grain quality. A newly developed wet-hill-seeding of rice, a type of direct seeding method, has shown features of growth similar to machine transplanted ri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illering pattern, heading characteristics and grain filling traits between transplanting and wet-hill-seeding in rice. Tillering of wet-hill-seeded rice was more vigorous than that of transplanted rice showing maximum tiller number 30~100% higher than transplanted rice. Wet-hill seeded rice showed later heading and shorter heading duration than transplanted ric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ing characteristics and grain filling traits, every panicle was tagged for flowering date, and the panicles on each heading date were inspected for grain filling traits. Wet-hill seeded rice and transplanted ric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m length, panicle length, the percentage of grain filling and perfect brown rice on each heading date during total heading period. Therefore, we conclude that wet-hill-seeding method is not inferior to machine transplanting in terms of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grain filling and head rice yield.
Direct seeding of rice is a time- and laborsaving method, compared to machine transplanting. However, the area planted to direct-seeded rice is decreasing because of instability of seedling establishment, lodging, occurrence of weedy rice, and deterioration of grain quality. A newly developed wet-hill-seeding of rice, a type of direct seeding method, has shown features of growth similar to machine transplanted ri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illering pattern, heading characteristics and grain filling traits between transplanting and wet-hill-seeding in rice. Tillering of wet-hill-seeded rice was more vigorous than that of transplanted rice showing maximum tiller number 30~100% higher than transplanted rice. Wet-hill seeded rice showed later heading and shorter heading duration than transplanted ric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ing characteristics and grain filling traits, every panicle was tagged for flowering date, and the panicles on each heading date were inspected for grain filling traits. Wet-hill seeded rice and transplanted ric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ulm length, panicle length, the percentage of grain filling and perfect brown rice on each heading date during total heading period. Therefore, we conclude that wet-hill-seeding method is not inferior to machine transplanting in terms of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grain filling and head rice yiel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직파재배는 입모가 균일하지 못하고 등숙율이 기계이앙에 비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어 직파재배를 기피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나 새로 개발된 무논점파에 관한 생리 생태적 특성에 대한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벼 무논점파재배의 생육 및 출수특성과 이에 따른 등숙특성을 조사하여 직파재배 미질향상과 보급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입모수 및 재식밀도와 분얼조사구간은 각 재배양식별로 2 m×2열, 4반복구에서 조사하였다.
벼무논점파기(8조식, 황금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거리는 15×28 cm, 파종량은 주당 5∼8립이 되도록 파종하였다.
소독후 싹이 1~2 mm로 균일하게 틀 때까지 침종시켰다 건져 그늘에서 반나절정도 물기를 말린 후 파종하였다. 무논점파 파종은 매년 5월 18일에 써레질 후 2일간 논굳힘 후 시행하였다. 벼무논점파기(8조식, 황금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거리는 15×28 cm, 파종량은 주당 5∼8립이 되도록 파종하였다.
기계이앙재배는 중묘표준재배법에 준하였으며 4월 30일에 파종하여 못자리에서 육묘한 후 5월 29일에 이앙하였고 조간 및 주간 거리는 30 × 14 cm로 하였다. 비료처리는 표준시비량인 질소 9 kg/ha수준으로 처리하되 완효성비료(N-P2O5-K2O = 18-7-9, 주식회사 조비)를 써래질 직전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무논점파 입모율은 파종후 3주에 실시하였고, 기계이앙재배는 이앙 후 일주일에 재식본수를 조사하였다. 재배양식에 따른 분얼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일정구간에서 분얼이 시작된 후부터 출수기까지 경수변화를 조사하였다.
무논점파 입모율은 파종후 3주에 실시하였고, 기계이앙재배는 이앙 후 일주일에 재식본수를 조사하였다. 재배양식에 따른 분얼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일정구간에서 분얼이 시작된 후부터 출수기까지 경수변화를 조사하였다. 입모수 및 재식밀도와 분얼조사구간은 각 재배양식별로 2 m×2열, 4반복구에서 조사하였다.
분얼조사구와 별도 구간(2 m×2열, 4 반복)에서 이삭별로 출수일을 지엽에 표시하여 출수변이를 조사하였고 출수 후 50∼55일에 수확하여 출수일별로 분류한 뒤 등숙율과 완전립율을 조사하였다. 현미 품위조사는 Kett사의 RN-500으로 분류한 뒤 육안으로 재조사하였다.
따라서 시험기간중(’09∼’11)의 초기생육기 기온변화(Table 1)와 전체 벼 생육기간동안의 월 평균 기상변화(Fig. 2)를 비교해보았다.
시험구는 동일포장에서 재배양식별로 분할하였고, 동일 처리구내에서 입모수 및 분얼조사구간과 출수변이조사구간, 수량 조사구간을 각 각 임의로 4반복구로 조사하였다. 재배양식간의 조사 형질의 값 차이는 t-test로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9.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2009∼2011년까지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논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2009∼2011년까지 수원의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논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품종은 중만생종인 호품벼와 조생종인 운광벼를 사용하였다. 시험용 종자는 육성지역인 익산에서 전년도에 생산, 수확한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품종은 중만생종인 호품벼와 조생종인 운광벼를 사용하였다. 시험용 종자는 육성지역인 익산에서 전년도에 생산, 수확한 것을 사용하였다. 종자소독은 프로크로라츠유제와 플루디옥소닐 혼용액(1/2000배)에 담가 30℃에서 24시간 실시하였다.
데이터처리
시험구는 동일포장에서 재배양식별로 분할하였고, 동일 처리구내에서 입모수 및 분얼조사구간과 출수변이조사구간, 수량 조사구간을 각 각 임의로 4반복구로 조사하였다. 재배양식간의 조사 형질의 값 차이는 t-test로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9.0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기계이앙재배는 중묘표준재배법에 준하였으며 4월 30일에 파종하여 못자리에서 육묘한 후 5월 29일에 이앙하였고 조간 및 주간 거리는 30 × 14 cm로 하였다.
48 m2(8열×2 m)를 수확한 후 10 a당으로 환산하였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2003)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성능/효과
Choi(1994)는 직파재배의 파종시기를 결정하는 것은 기온이라고 하였는데, 본 시험결과에서도 파종 후 입모하기까지는 기상환경 중 온도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최아시켜 파종하더라도 파종 직후 기온이 높을수록 입모에 유리하므로 벼 무논점파재배시 파종기의 기상이 평년에 비해 저온일때는 파종적기 범위내에서 기온이 상승할 때 파종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무논점파재배는 분얼수 증가가 기계이앙보다 빨라 최고 분얼기까지의 단위면적당 줄기수는 운광벼와 호품벼 모두 무논점파가 기계이앙보다 30 ~100% 많았다. 그러나 줄기수는 최고분얼기 후부터 출수기까지 급격히 감소하여 성숙기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운광벼와 호품벼 모두 기계이앙에 비해 유의한 차가 없었다(Fig.
출수기간 중 전체이삭의 90%이상이 출수하는데 걸린 기간은 운광벼가 기계이앙 7∼9일인데 비해 무논점파는 7∼6일 걸렸고, 중만생종인 호품벼는 기계이앙이 8∼6일인데 비해 무논점파는 5∼6일로 나타나 무논점파가 기계이앙보다 출수일 변이폭이 적고 동시출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Fig. 4).
직파재배는 저위절간에서부터 분얼이 시작되므로 기계이앙에 비해 무효분얼이 많고, 입모밀도가 높을수록 변이가 크고 등숙율이 낮다고 한다(Lee, 2000). 본 시험결과 무논점파재배시 무효분얼은 기계이앙에 비해 많았지만 성숙기 이삭수는 기계이앙과 비슷해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파재배가 일반적으로 등숙율이 낮다는 인식은 Lee(2000)의 보고와 같이 입모밀도가 균일하지 못하여 분얼의 변이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파종부터 출수까지의 전체생육일수는 무논점파에서 운광벼 84일, 호품벼 98일이었고 기계이앙은 파종 후 육묘기간 25을 포함하여 운광벼는 98일, 호품벼는 117일로 무논점파가 기계이앙보다 각각 14일, 19일 단축되었다(Table 3). 기계이앙에서 육묘기간을 뺀 본답생육일수는 운광벼 73일, 호품벼 92일로 무논점파보다 9일과 6일 짧았다.
파종부터 출수까지의 전체생육일수는 무논점파에서 운광벼 84일, 호품벼 98일이었고 기계이앙은 파종 후 육묘기간 25을 포함하여 운광벼는 98일, 호품벼는 117일로 무논점파가 기계이앙보다 각각 14일, 19일 단축되었다(Table 3). 기계이앙에서 육묘기간을 뺀 본답생육일수는 운광벼 73일, 호품벼 92일로 무논점파보다 9일과 6일 짧았다. 직파재배시 본답생육일수의 차이가 적으면서 전체 생육일수도 짧은 중만생종이 이모작이나 소득후작 생력재배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11년도는 분얼이 활발하지 않아 출수기도 늦고 출수기간이 길었던 것으로 생각된다(Table 3). 호품벼의 출수기는 무논점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출수일은 평균 3일 늦어졌으며 출수기간은 2일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출수기간 중 전체이삭의 90%이상이 출수하는데 걸린 기간은 운광벼가 기계이앙 7∼9일인데 비해 무논점파는 7∼6일 걸렸고, 중만생종인 호품벼는 기계이앙이 8∼6일인데 비해 무논점파는 5∼6일로 나타나 무논점파가 기계이앙보다 출수일 변이폭이 적고 동시출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Fig.
무논점파재배에 따른 성숙기 생육은 운광벼는 기계이앙에 비해 간장이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수장은 차이가 없었다(Table 4). 호품벼의 성숙기 생육은 재배양식간에 간장과 수장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Table 4).
호품벼의 성숙기 생육은 재배양식간에 간장과 수장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Table 4). 성숙기의 면적당 이삭수는 운광벼는 재배양식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연차간 변이가 큰 편이었고, 호품벼는 재배양식간 차이가 거의 없고 연차간 변이도 크지 않았다(Table 4). 다만 ’11년도에는 분얼이 저조하여 운광벼와 호품벼 모두 무논점파가 이앙재배보다 이삭수가 감소하였다(Table 4).
현미완전립율은 무논점파재배가 기계이앙에 비해 두 품종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다(Fig. 6, Table 4). 호품벼의 출수일별 완전립율은 ’09년과 ’11년은 차이가 없었고 ’10년은 무논점파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무논점파재배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요약하면, 무논점파는 기계이앙에 비해 초기 분얼이 빨라 최고분얼기의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많으나 성숙기 이삭수는 차이가 없고 키와 이삭길이도 차이가 없었다.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재배보다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나 호품벼는 기계이앙보다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무논점파재배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요약하면, 무논점파는 기계이앙에 비해 초기 분얼이 빨라 최고분얼기의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많으나 성숙기 이삭수는 차이가 없고 키와 이삭길이도 차이가 없었다.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재배보다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나 호품벼는 기계이앙보다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따라서 중부지방의 무논점파재배에서 조생종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재배적응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출수기는 무논점파가 이앙재배보다 다소 늦어지는 경향이나 호품벼는 기계이앙보다 동시출수율이 높았다. 따라서 중부지방의 무논점파재배에서 조생종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재배적응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무논점파재배시 출수일변이에 따른 등숙율과 현미완전립율은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방의 무논점파재배에서 조생종보다 중만생종인 호품벼의 재배적응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무논점파재배시 출수일변이에 따른 등숙율과 현미완전립율은 기계이앙과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따라서 안정적인 입모수를 확보하려면 파종 후 초기생육기까지 물관리와 잡초방제를 기계이앙보다 철저히 해야만 한다. 현재 육성된 직파적응성품종으로는 저온발아와 도복저항성이 높은 품종들이 추천되고 있으나 담수 하에서도 입모가 안정적인 직파재배전용품종이 개발된다면 직파재배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담수직파의 수량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벼 직파재배는 물관리에 따라 건답직파와 담수직파로 구분되는데 담수직파가 건답직파에 비해 잡초방제와 생력재배에 유리하다. 벼 담수직파의 수량성은 단위면적당 입모수와 상관이 큰데, 입모율은 기상 및 토양환경에 따라 변동이 크다(RDA, 1997). 그러나 지나치게 입모밀도가 높아 단위 면적당 이삭수와 영화수가 증가하면 등숙율이 떨어진다.
벼 담수직파의 수량성이 낮아지는 조건은 무엇인가?
벼 담수직파의 수량성은 단위면적당 입모수와 상관이 큰데, 입모율은 기상 및 토양환경에 따라 변동이 크다(RDA, 1997). 그러나 지나치게 입모밀도가 높아 단위 면적당 이삭수와 영화수가 증가하면 등숙율이 떨어진다. 특히 2차지경 착생 영화는 1차지경 착생 영화보다 등숙율이 현저히 떨어진다(RDA, 1997). 그러나 Choi et al.
벼 직파재배의 장점은 무엇인가?
벼 직파재배는 파종 및 이앙, 육묘과정이 생략됨으로써 기계이앙에 비해 노력시간을 24∼37%정도 절감할 수 있는 생력재배법이다. 따라서 농촌인구의 노령화, 인구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 및 가격경쟁력을 위한 생산비 절감차원에서 보급이 더욱 절실하다.
참고문헌 (24)
Choi, D. H. 1994. Determination of Critical Early Seeding Date for Seedling Emergence in Dry-Seeded Ric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Daily Mean Air Temperature in Korea. Korean J. Crop Sci. 39(5) : 437-443.
Choi, W. Y., S. Y. Kang, J. T. Lee. 1999. Difference of Growth and Yield among Rice Cultivars and Direct Seeding Methods as Affected by Yearly Variation Weather. Korean J. Environ. Agri. 18(3) : 229-235.
Jeong, E. G., S. N. Ahn, S. J. Kwon, J. P. Suh, O. Y. Jeong, K. H. Kang, H. C. Choi, H. G. Hwang, and K. M. Yoon. 2004. Quantitative trait loci for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in rice. Korean J. Breed. 36(5) : 365-370.
Johnkutty, I. G. Mathew, and J. Mathew. 2002. Comparsion between transplanting and direct-seeding methods for crop establishment in rice. Journal of Tropical Agriculture 40 : 65-66.
Kim, J. K, M. H. Lee, and Y. J. Oh. 1993. Lodging pattern of rice plant in broadcast-seeded and hand-transplanted cultivation. Korea J. of Crop Sci. 38(3) : 219-227.
Ko, J. C, M. K. Baek, W. J. Kim, J. Y. Shon, K. Y. Ha, H. J. Kang, M. S. Shin and J. K. Ko. 2011. Analysis of low temperature germination ratio in rice cultivars for breeding of direct seeding variety. Korean J. Intl. Agri. 23(1) : 89-9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SIS) 2010.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ion cost survey. 2010.
Lee, C. W., J. E. Hill, Y. J. Oh. 1993. Germination and Dissolved Oxygen Uptake of California Rices in Water Seeding. Korean J. Crop Sci. 38(2) : 117-120.
Lee, C. W., K. Y. Sung, S. H. Park, R. K. Park, D. S. Cho. 1988.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Submerged Paddy in Rice II. Dissolved Oxygen Uptake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Rice Varieties in the Saturated Water. Korean J. Crop Sci. 33(1) : 97-101.
Lee, J. I. 2000. A study on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cultivars for direct water-seeding. Thesis of Ph. 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Lim, J. T., B. S. Kwon, and H. J. Kim. 1991.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 Subsurface Seeded Rice as Influenced by Coating and Seeding Rates. Korean J. Crop Sci. 36(4) : 324-331.
Matsushima, S., T. Takayuki, and H. Takafumi. 1964. Analysis of yield-determin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 to yield-prediction and culture improvement of low and rice. LXX. Combined effect of air-temperatures and water-temperatures at different stages of growth on the grain yield and its components of lowland rice. Proc. Crop Soc. Jpn. 33 : 53-58.
Myung, E. J. and B. W. Lee. 1994. Effects of deep irrigation managements on tillering pattern, yield and its components in rice. Korean J. Crop Sci. Symposium. pp. 120-121.
Park, S. H., S. Y. Kim, C. D. Hwang, H. P. Moon, and S. Peng. 2001. Rice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Affected by Seeding Depth of Pre - germinated and Soaked Seeds in Wet Soil. Kor. J. Intl. Agri. 13(3) : 193-198.
Park, S. H., D. Y. Kwak, D. K. Shin, S. Y. Kim, and D. S. Lee. 1999. Rice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growth affected by seeding depth and flooding duration for anaerobic wet seeding. Kor. J. Intl. Agri. 11(2) : 161-168.
Park, S. H., C. W. Lee, W. H. Yang, and R. K. Park. 1986. Direct seeding cultivation on submerged paddy in rice. Korean J. Crop Sci. 31(2) : 204-213.
Sato, K. 1951. Studies on the flooding irrigation for rice. II. The effects of continuous submergence on the growth and tillering of rice plants. Proc. Crop Sci Soc. Jpn. 20 : 41-44.
Shon, J. Y. 2011. Physio-bi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transcript profiling of hypoxia- and anoxia-tolerant rice during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Thesis of Ph. D.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hon, J. Y., J. C. Ko, W. J. Kim, B. K. Kim, C. K. Kim, and N. J. Jung. 2008. Chang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Alcohol Dehydrogenase in Young Rice Seedlings Submerged in Water. Korean J. Crop Sci. 53(3) : 40-446.
Yang, S. J. and U. S. Yeo. 1997. Varietal difference of low temperature germinability and seedling establishment in rice. Korean J. Breed. 29(2) : 216-222.
Yoshida, S. 1973. Effects of temperature on growth of the (Oryza sativa L.) in a controlled environment. Soil Sci. Plant Nutr. 19 : 299-310.
Kim, J. K., J. I. Lee, K. H. Park, and M. H. Lee. 1995.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 associated with loding highly adapted in broadcast-seeded cultivation. RDA. J. Agri. Sci 37(2) : 20-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ion(RDA). 2010. Handbook of Extension Service Bureau.
RDA. 2003. Methods for research and analysis in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ies.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