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내 습지의 공간 분포 및 사회적 특성
Spatial Distribution and Social Characteristics for Wetland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2, 2012년, pp.252 - 260  

도윤호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지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란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성보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종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습지의 생태-사회적 가치는 인간사회에 혜택을 준다. 많은 나라들이 습지를 보전하고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습지들은 자연적 교란과 함께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소실되거나 구획화되었다. 구획화된 습지는 경관생태학적 연구의 주 대상이 되는데 이는 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습지의 공간-사회적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습지의 분포와 크기, 습지 간의 거리, 습지의 경관학적 형태, 토지이용현황, 공시지가 등을 연구하였다. 경상남도 내에는 146개(3,598.85 ha)의 습지가 분포해 있고 하천습지가 76개(1,955.60 ha), 범람습지가 49개(1,282.28 ha), 산지습지가 21개(1,282.28 ha)이었다. 대부분의 습지들이 크기가 작고(<2 ha) 농경지에 둘러 쌓여 있었다. 많은 습지들이 구획화되어 있고 훼손상태가 심각하지만 하천습지와 농업용 수로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의 연결성 확대를 통한 습지서식처의 확장은 습지에 의존하여 서식하는 생물들의 보전에 매우 유의할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습지들이 현재 농업용수확보를 위한 유지로 이용되고 있고 국유지의 비율이 높아 추후 습지의 훼손과 소실은 국가단위의 대규모 계획공사로 인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태적으로 민감한 행정과 법률의 개발이 습지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etlands have eco-sociological values because their functions have proven to be useful to human society. Many countries are working to conserve and protect the wetland ecosystems. However, many wetlands have disappeared or have been fragmented due to a natural and/or anthropogenic disturbanc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획화된 습지는 경관생태학적 연구의 주 대상이 되는데 이는 습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상 경상남도 습지의 공간-사회적 분포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습지의 분포와 크기, 습지 간의 거리, 습지의 경관학적 형태, 토지이용현황, 공시지가 등을 연구하였다. 경상남도 내에는 146개(3,598.
  •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사회적 특성과 습지의 훼손가능성 또는 관리의 취약성(vulnerability)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습지의 필지의 지목, 토지소유, 용도지구, 토지이용 규제 및 개발계획, 공시지가를 파악하였다. 필지별 지목은 현재 토지의 공식적 이용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토지의 형질변경 및 매각 매매 등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Ji, 2002) 공식적인 토지이용 변화는 습지의 유지 또는 변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Ta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습지의 효율적인 관리 및 보전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경상남도 행정구역 내 분포하고 있는 자연습지의 공간적 분포 및 사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경상남도에는 국내 분포가 확인된 총 956개 내륙습지(National Wetland Center of Republic of Korea homepage) 중 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습지협약에서 보호관리하고 있는 습지는 몇개인가? , 1997; Norton, 1998). 현재 160개국이 자국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국제습지협약(Ramsar Convention on Wetlands)에 가입하여 1,994개의 습지(191,860,656 ha)를 보호∙관리하고 있다(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homepage, 2012). 하지만 생태적 중요성과 사회적 혜택이 인식된 것은 불과 30~40년 전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에 개간, 수리시설 개발, 제방건설 등으로 인해 많은 습지들이 소실 또는 훼손되었다(Dahl, 1990).
습지들이 무엇에 의해 소실또는 훼손되고 있는가? 현재 160개국이 자국의 습지를 보호하기 위해 국제습지협약(Ramsar Convention on Wetlands)에 가입하여 1,994개의 습지(191,860,656 ha)를 보호∙관리하고 있다(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homepage, 2012). 하지만 생태적 중요성과 사회적 혜택이 인식된 것은 불과 30~40년 전이기 때문에 오랜 기간 동안에 개간, 수리시설 개발, 제방건설 등으로 인해 많은 습지들이 소실 또는 훼손되었다(Dahl, 1990). 최근에는 불가항력에 가까운 교란인 기후 변화와 함께 토지이용 변화, 외래종 침입, 경제상황 변화 등 습지의 서식처와 생물다양성이 위협을 받고 있다(Burkett and Kusler, 2000; Sala et al.
습지를 보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필요한데 그 중에서 서식처의 안정성과 특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2009). 특히 구획화되어 고립된 상태로 이산분포(discriminating distribution) 하는 작은 습지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서식처의 안정성과 특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Semlitsch and Bodie, 1998; Gibbs, 2000; Leibowitz, 2003). 이러한 습지 서식처 간 연결을 위해서는 경관요소에 대한 기본정보가 확보되어야 하고(Zedler, 2000), 습지가 위치한 모반(matrix)에 따라 습지의 기능과 가치가 다르게 평가될 수 있어서 습지주변의 토지이용상태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Mitsch and Gosselink,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mezaga, J.M. and L. Santamarifa. 2000. Wetland connectedness and policy fragmentation: steps towards a sustainable European wetland policy.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 B: Hydrology, Oceans and Atmosphere 25(7-8): 635-640. 

  2. Amezaga, J.M., L. Santamaria and A.J. Green. 2003. Biotic wetland connectivity-supporting a new approach for wetland policy. Acta Oecological 23: 213-222. 

  3. Bang, S.W., I.J. Yoon and K.E. Shin. 2011. Analysis of U.S. mitigation banking system and its implications for wetland conservation management in Korea. Environmental Policy 19(1): 1-21. 

  4. Brady, S.J. and C.H. Flather. 1994. Changes in wetlands on nonfederal rural land of the conterminous United States from 1982 to 1987. Environmental Management 18(5): 693-705. 

  5. Burkett, V. and J. Kusler. 2000. Climate change: potential impacts and interactions in wetlands of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2): 313-320. 

  6. Clark, P.J. and F.C. Evans. 1954. Distance to nearest neighbor as a measur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opulations. Ecology 35: 445-453. 

  7.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8. Dahl, T.E. 1990. Wetlands losses in the United States 1780's to 1980's.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pp. 1-13. 

  9. Gibbons, J.W. 2003. Terrestrial habitat: a vital component for herpetofauna of isolated wetlands. Wetland 23(3): 630-635. 

  10. Gibbs, J.P. 1993. Importance of small wetlands for the persistence of local populations of wetland-associated animals. Wetlands 13(1): 25-31. 

  11. Gibbs, J.P. 2000. Wetland loss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14(1): 314-317. 

  12. Gunderson, L.H., S.R. Carpenter, P. Olsson and G. Peterson. 2006. Water RATs (Resilience, Adaptatbility, and Transformability) in lake and wetland social-ecological systems. Ecology and Society 11(1): 16. 

  13. Gupta, T.R. and J.H. Foster. 1975. Economic criteria for freshwater wetland policy in Massachusett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st 57(1): 40-45. 

  14. ILM soft. 2011. Geovision landmap, profes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olution. ILM soft. 

  15. Ji, J.D. 200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and category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2): 101-112. 

  16. Joo, G.J., M. Lineman, D.K. Kim, K.S. Jeong, Y. Do and C.K. Shin. 2008. Riverine wetlands in the lower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Nakdong River Watershed Environment Office, Nakdong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p. 20-58. 

  17. Kindt, R. and R. Coe. 2005. Tree diversity analysis. A manual and software for common statistical methods for ecological and biodiversity studies, World Agroforestry Centre (ICRAF), Nairobi. 

  18. Lawler, S. 2001. Rice fields as temporary wetland: a review. Israel Journal of Zoology 47(4): 513-528. 

  19. Leibowitz, S.G. 2003. Isolated wetlands and their functions: an ecological perspective. Wetlands 23(3): 517-531. 

  20. Lupi, F., I. Graham-Tomasi and S.J. Taff. 1991. A hedonic approach to urban wetland valuation-Staff paper P91- 8.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N. 

  21. Lyon, J.G. 1993. Practical handbook for wetland identification and delineation. Lewis Publishers. p. 69-100. 

  22. Mahan, B.L., S. Polasky and R.M. Adams. 2000. Valuing urban wetlands: a property price approach. Land Economics 76(1): 100-113. 

  23. Mawdsley, J.R., R. O'Malley and D.S. Ojima. 2009. A Review of Climate-change adaptation strategies for wildlife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23(5): 1080-1089. 

  24. McGarigal, K. and B. Marks. 1995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Gen. Tech. Rep. PNW-GTR-351: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Portland, Oregon, Pacific Northwest Research Station.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3rd guidelines for national inland wetland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 94- 101. 

  26. Mitsch, W. and J.G. Gosselink. 1993. Wetlands Second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USA, p. 542. 

  27. Mitsch, W. and J.G. Gosselink.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1): 25-33. 

  28. National Wetland Center of Republic of Korea homepage. 2012. http://www.wetland.go.kr/. 

  29. Norton, B.G. 1998. Improving ecological communication: the role of ecologists in environmental policy formation. Ecological Application 8(2): 350-364. 

  30. Park, S.D., E.S. Hwang, J.I. Seong, K.S. Chae, C.H. Kim, G.Y. Cheon, Y.M. Son and J.D. Song. 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agricultural utilization of reclaimed land.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p. 7-48. 

  31. R Development Core Team. 2005.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URLhttp://www. R-project.org. 

  32. Ramsar Convention on Wetland homepage. 2012. http://www. ramsar.org. 

  33. Rempel, R. 2008. Patch analyst 4. Centre for Northern Forest Ecosystem Research (Ontario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Lakehead University. 

  34. Sala, O.E., F.S. Chapin III, J.J. Armesto, E. Berlow, J. Bloomfield, R. Dirzo, E. Huber-Sanwald, L.F. Huenneke, R.B. Jackson and A. Kinzig. 2000. Global biodiversity scenarios for the year 2100. Science 287: 1770-1774. 

  35. Schooley, R.L. and L.C. Branch. 2009. Enhancing the areaisolation paradigm: habitat heterogeneity and metapopulation dynamics of a rare wetland mammal. Ecological Application 19(7): 1708-1722. 

  36. Semlitsch, R.D. and J.R. Bodie. 1998. Are small isolated wetlands expendable? Conservation Biology 24(5): 1129- 1133. 

  37. Sims, K.R.E. and J. Schuetz. 2009. Local regulation and land-use change: the effects of wetlands by laws in Massachusetts.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39: 409-421. 

  38. Son, M.W. and Y.G. Jeon. 2003. Phys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etlands on the downstream reach of Nakdo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phers 9(1): 66-76. 

  39. Tang, Z., B.A. Engel, B.C. Pijanowski and K.J. Lim. 2005. Forecasting lands use change and its environmental impact at a watershed scal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76(1): 35-45. 

  40. Turner, R.K., J.C.J.M. van den Bergh, T. Soderqvist, A. Barendregt, J. van der Straatenf, E. Maltbyg and E.C. van Ierland. 2000. Ecological-economic analysis of wetlands: scientific integration for management and policy. Ecological Economics 35(1): 7-23. 

  41. Verhoeven, J.T.A. and T.L. Setter. 2010. Agricultural use of wetlands: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Annals of Botany 105: 155-163. 

  42. Washitani, I. 2007. Restoration biologically-diverse floodplain wetlands inclusing paddy fields.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11: 135-140. 

  43. Williams, J.E. 2000. The biodiversity crisis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 case study from Australia's forest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61: 65-74. 

  44. Williams, P., M. Whitfield, J. Biggs, S. Bray, G. Fox, P. Nicolet and D. Sear. 2003. Comparative biodiversity of rivers, streams, ditches and ponds in an agricultural landscape in Southern England. Biological Conservation 115: 329-341. 

  45. Zedler, J.B. 2000. Progress in wetland restoration ecology. Nature 402: 523-526. 

  46. Zedler, J.B. 2003. Wetlands at your service: reducing impacts of agriculture at the watershed scale.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2): 65-72. 

  47. Zedler, J.B. 2004. Compensating for wetland losses in the United States. Ibis 146: 92-1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