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진입이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 변화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SSM Market Entry on Changes in Market Shares among Retailing Types 원문보기

流通硏究 = Journal of distribution research, v.17 no.3, 2012년, pp.115 - 132  

최지호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BK21 (n) Biz Convergence Team) ,  윤민석 (전남대학교 전자상거래전공) ,  문연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BK21 (n) Biz Convergence Team) ,  최성호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BK21 (n) Biz Convergence Team)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기업형 슈퍼마켓(SSM)의 시장 진입이 국내 소매업 경쟁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자료의 분석기간은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이며, 기업형 슈퍼마켓이 월별로 진입한 점포수, 누적 점포수, 신규 SSM 사업체 중 $165m^2$ 미만 점포비율이 분석모형에 고려되어 소매업태별 상대적 시장점유율에 미치는 효과가 분석되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에서 종합소매업에 속해 있는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으로 구분된 소매업태간 시장점유율은 매월 각 소매업태별 판매액을 합산하여 월별 총 소매판매액을 계산한 후, 각 소매업태의 판매액이 총 소매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로 소매업태별 종사자 수, 통화량(M2)이 모형에 추가되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신규 SSM 시장진입으로 인한 소매업태별 시장점유율 변화는 대형마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SSM의 누적 점포수는 모든 소매업태의 시장점유율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력에 대한 방향성이 소매업태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SSM의 확산은 대형마트와 편의점의 시장점유율을 감소시킨 반면에 백화점, 슈퍼마켓,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점의 시장점유율에는 긍정적인 공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시사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SSM market entry on changes in market shares among retailing types. The data is monthly time-series data spanning over the perio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10, and the effect of SSM market entry on market shares of retailing types is analyzed by 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SM의 시장 진입이 소매유통구조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실증하였다. 유사성에 기초한 대체효과가 일차적으로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SSM이 동일 업태 내에 있는 슈퍼마켓만 잠식하고 있는지 아니면 대형마트와 같은 경쟁 업태도 함께 잠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SSM의 진출이 소매업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하였다. 소매업태는 ‘백화점’, ‘기타 대형 종합 소매업(이하 대형마트)’,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이하 편의점)’,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소매업(이하 기타)’ 으로 분류하였고(<표 1> 참조), 매월 출점한 SSM 점포수가 소매업태별 시장점유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 D 는 업태 내 경쟁과 업태 간 경쟁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써 SSM 영향력이 폭넓게 나타나고 있는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유에 기초하여 A와 B의 가능성은 제외하고 C와 D 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첫째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출점한 SSM의 누적 수만큼 비례 하는 시장잠식은 명확히 있었으며, 동일 업태에 속해 있는 기존 슈퍼마켓의 시장잠식이 일차적으로 정도의 문제이지 당연히 발생했다고 가정해 볼 수 있다.
  • SSM 점포수는 월별로 신규 개점한 점포수, 월별로 누적된 점포수, 신규 SSM 사업체 중 165㎡ 미만 점포수를 회귀모형의 독립변수로 투입하였다. 여기에서 165㎡ 미만의 점포만을 별도로 고려한 이유는 SSM이 매장규모에 따라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분석하고자 함이다. 소매업태별 시장점유율은 먼저 한국표준산업분류 코드에서 종합 소매업에 속해 있는 백화점, 대형마트, 슈퍼마켓, 체인화 편의점, 기타 음식료품 위주 종합 소매업으로 구분하였다.
  •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급속한 확산에 비례하여 사회적 파장도 커진 SSM 진입이 소매시장 경쟁구조에 미친 영향을 실증함으로써 지원과 규제라는 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지원은 ‘유통산업 경쟁력 강화’에 그리고 규제는 ‘영세 사업자 보호나 독점화 가능성 방지’와 연계시켜 볼 수 있다.
  • SSM이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대형마트와 같은 신규 업태가 기존의 어느 업태와 경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MCA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를 이용하여 업태별 구매품목을 분석한 연구(박성용 2003)와 SSM 진입으로 인해 경쟁업태 잠식을 실증한 조춘한, 안승호(2010) 연구를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다. 이 연구에서는 SSM 상권 범위인출점 반경 500m 이내에 위치한 편의점 매출액을 해당 상권의 활성화 정도의 지표로 사용하고 이에 대한 업종별 점포비율의 변화, SSM의 출점 여부, 그리고 소매판매지수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SSM의 출점 여부와 상관없이 편의점의 매출액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SSM의 영향이 미비하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슈퍼마켓 총 판매액에서 SSM 매출액을 분리시킬 수만 있다면 모든 잠식 유형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지만, 자료 접근이 어렵다는 구조적 제약이 존재한다. 이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SSM이 업태 내 기존 슈퍼마켓을 잠식했다고 가정하고, 이러한 가정 하에서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165㎡ 미만 음식료품 위주 종합소매점포의 판매액에 SSM이미친 영향력을 실증하고자 한다.
  • SSM을 보는 관점에 따라 전략 및 정책 모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SSM이 기존 슈퍼마켓에만 국한되어 경쟁하고 있는 것인지(업태 내 경쟁) 아니면 대형마트와 같은 경쟁업태의 시장까지 잠식하고 있는 것인지(업태 간 경쟁) 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하에서는 소매 시장에서 업태 내 경쟁과 업태 간 경쟁에 관한 기존연구와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소유권의 형태가 개인이냐 기업이냐가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는 국내 소매유통업에서 SSM이 새로운 소매업태 유형으로 고려될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를 반영한 통계자료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SSM의 진입이 동일업태 내에 있는 기존 슈퍼마켓을 잠식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SSM을 슈퍼마켓 범주에서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SSM이 슈퍼마켓 판매액에 미치는 순수효과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