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 기울임 운동시 축 회전 유무에 따른 체간근 활성도 변화
Changes of Muscle Activation Pattern of Trunk Muscles during Whole-body Tilts with and without Axial Rotation 원문보기

한국정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29 no.7, 2012년, pp.805 - 810  

김솔비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장윤희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김신기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배태수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문무성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 ,  박종철 (스트라텍)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ermining of the exercise intensity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induction of low fatigue during exercise.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contraction level of the trunk muscles during whole body tilts with and without axial rota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muscle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차원 요부 안정화 기구의 특성상 단순히 전후면 기울기 각도에 따른 요추부 근육의 사용 패턴과 전후 기울임 상태에서 회전이 부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근육의 활성도 및 사용패턴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부의 효과적인 운동각도 선정을 위해 전후면 기울임 상태에서 회전이 부가되었을 때 동일 각도선 상에서 회전여부에 따른 근육의 활성도 및 사용 패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3 차원 요부 안정화 기기를 이용하여 전후방 기울임시 축회전 유무에 따른 근활성도 정도를 평가하여 효과적인 척추안정화 운동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회전이 없는 기울임보다 45° 축회전을 부가한 전후방기울임 상태에서 복근과 요부신전근의 수축 비율이 보다 대칭적으로 나타났으며, 60° 이상의 전후방기울임에서 나타난 40% MVC 이상의 과도한 근활성도도 45° 축회전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요부 안정화 기기의 효과적인 훈련 계획수립을 위해 전후방 기울임 및 축회전에 대한 근전도 값을 측정하여 회전 유무에 따른 체간근육의 활동 패턴과 수축레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 차원 요부 안정화 기구의 특성상 단순히 전후면 기울기 각도에 따른 요추부 근육의 사용 패턴과 전후 기울임 상태에서 회전이 부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근육의 활성도 및 사용패턴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부의 효과적인 운동각도 선정을 위해 전후면 기울임 상태에서 회전이 부가되었을 때 동일 각도선 상에서 회전여부에 따른 근육의 활성도 및 사용 패턴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 및 재발방지를 위한 운동은 왜 중요한가? 요통은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의 제한과 함께 치료를 위한 많은 경제적 비용을 동반하게 되므로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 및 재발방지를 위한 운동은 매우 중요하다.1,2 요부안정화 운동은 지난 20 여년 동안 허리근육 강화 및 만성요통의 치료를 위해 강조되었으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검증들이 이루어졌다.
지난 20여년 동안 요부안정화 운동은 무엇을 위해 강조되었는가? 요통은 통증 및 일상생활동작의 제한과 함께 치료를 위한 많은 경제적 비용을 동반하게 되므로 요통을 예방하고 치료 및 재발방지를 위한 운동은 매우 중요하다.1,2 요부안정화 운동은 지난 20 여년 동안 허리근육 강화 및 만성요통의 치료를 위해 강조되었으며, 많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검증들이 이루어졌다.3,4 Bergmark5 등은 척추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소근육(local muscle)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특히 다열근의 강화를 주장한 반면, Panjabi6 등은 척추의 전반적인 안정화를 담당하는 대근육(global muscle)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요부안정화를 위해서 Bergmark 등은 척추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소근육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Panjabi 등은 대근육의 역할은 강조하였는데 최근 Cholewicki 와 McGill 등의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는 내용은? 3,4 Bergmark5 등은 척추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소근육(local muscle)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특히 다열근의 강화를 주장한 반면, Panjabi6 등은 척추의 전반적인 안정화를 담당하는 대근육(global muscle)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최근 Cholewicki 와 McGill4 등의 다수의 연구에서 척추의 안정성은 특정 단일근육의 작용보다는 척추 주변 근육들의 동시수축(co-contraction)을 통한 안정화가 매우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Frymoyer, J. W., Pope, M. H., and Clements, J. H., "Risk factors in low-back pain. An epidemiological survey,"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 Series A, Vol. 65, No. 2, pp. 213-218, 1983. 

  2. Nachemson, A. L., "Advances in low-back pain,"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pp. 266- 278, 1985. 

  3. Hodges, P. W. and Richardson, C. A., "Inefficient muscular stabilization of the lumbar spine associated with low back pain: A motor control evaluation of transversus abdominis," Spine, Vol. 21, No. 22, pp. 2640-2650, 1996. 

  4. Cholewicki, J. and McGill, S. M., "Mechanical stability of the in vivo lumbar spine: Implications for injury and chronic low back pain," Clinical Biomechanics, Vol. 11, No. 1, pp. 1-15, 1996. 

  5. Bergmark, A.,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A study in mechanical engineering," Acta Orthopaedica Scandinavica, Supplement, Vol. 60, No. 230, pp. 5-54, 1989. 

  6. Panjabi, M., Abumi, K., Duranceau, J., and Oxland, T., "Spinal stability and intersegmental muscle forces. A biomechanical model," Spine, Vol. 14, No. 2, pp. 194-200, 1989. 

  7. Sahrmann, S. 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New York: Mosby, 2002. 

  8. Lavender, S. A., Tsuang, Y. H., and Andersson, G. B. J., "Trunk muscle activation and cocontraction while resisting applied moments in a twisted posture," Ergonomics, Vol. 36, No. 10, pp. 1145-1157, 1993. 

  9. Anders, C., Brose, G., Hofmann, G. O., and Scholle, H. C., "Evaluation of the EMG-force relationship of trunk muscles during whole body tilt," Journal of Biomechanics, Vol. 41, No. 2, pp. 333-339, 2008. 

  10. Hermens, H. and Freriks, B., "European recommendations for Surface ElectroMyography, results of the SENIAM project," Roessingh Research and Development, 1999. 

  11. Cynn, H. S., Oh, J. S., Kwon, O. Y., and Yi, C. H.,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Muscle Activity and Lateral Pelvic Tilt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 87, No. 11, pp. 1454-1458, 2006. 

  12. Anders, C., Brose, G., Hofmann, G. O., and Scholle, H. C., "Gender specific activation patterns of trunk muscles during whole body tilt,"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Vol. 101, No. 2, pp. 195-205, 2007. 

  13. Anders, C., Scholle, H. C., Wagner, H., Puta, C., Grassme, R., and Petrovitch, A., "Trunk muscle coordination during gait: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unction and acute low back pain," Pathophysiology, Vol. 12, No. 4, pp. 243-247, 2005. 

  14. Hoffer, J. A. and Andreassen, S., "Regulation of soleus muscle stiffness in premammillary cats: Intrinsic and reflex components," Journal of Neurophysiology, Vol. 45, No. 2, pp. 267-285, 1981. 

  15. McArdle, W. D., Katch, F. I., and Katch, V. L.,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23, No. 12, p. 1403, 1991. 

  16. Biederman, H. J., Shanks, G. L., Forrest, W. J., and Inglis, J., "Power spectrum analyses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discriminators in the differential assess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Spine, Vol. 16, No. 10, pp. 1179-1184,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