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독성 와편모류 Alexandrium catenella에 대한 Pseudoalteromonas sp. NH-12의 살조능

The Algicidal Activity of Pseudoalteromonas sp. NH-12 against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catenella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1 no.2, 2012년, pp.175 - 184  

정남호 (대구가톨릭대학교 CU 인재학부) ,  손홍주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정성윤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적조 및 마비성 패독을 일으켜 문제시되고 있는 유독성 와편모류인 A. catenella 를 살조시키는 해양미생물 Pseudoalteromonas sp. NH-12를 마산만의 적조발생 해역에서 분리, 동정하고 그 특성과 살조능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보다 환경 친화적인 적조 구제 기술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적조발생 해역인 마산만의 해수에서 분리한 38개의 해양미생물 균주 중 4종의 미생물이 A. catenella 에 대해 살조능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살조능이 가장 우수한 NH-12 균주를 선별하였다. 본 균주는 API kits 및 16S rRNA gene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계통분류를 행한 결과 Pseudoalteromonas 속으로 분류되었으며, 최적 배양조건은 $25^{\circ}C$, pH 8.0, 3.0% NaCl 농도였다. Pseudoalteromonas sp. NH-12의 성장 단계별 살조능은 대수증식기 후기, 정지기, 대수증식기 중기, 유도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살조물질은 대수증식기 중기 이후에 활발히 생산되기 시작하여 대수증식기 후기에 가장 고농도로 축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2조 배양계를 이용한 살조 유형 조사에서 Pseudoalteromonas sp. NH-12는 격리된 상태에서도 A. catenella 를 살조시켜 '직접 공격형'이 아니라 세포외로 물질을 분비하여 살조시키는 '살조인자 분비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NH-12 균주 배양여과액을 5% 첨가하였을 때 36시간 후에 A. catenella 는 100% 살조되었고, 10%를 첨가한 경우 24시간 후에 99% 이상 살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identify algicidal bacterium that tends to kill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catenella, and to determine the algicidal activity. METHODS AND RESULTS: Among of four algicidal bacteria isolated in this study, NH-12 isolate was the strong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H-12 균주가 생산하는 살조물질의 농도에 따른 살조능을 알아보기 위해, 균주 배양여과액의 첨가 농도에 따른 살조능을 조사하였다. 먼저 PPES-Ⅱ 액체배지에서 최적조건(25℃, pH 8.
  • catenella를 살조시키는 해양미생물 Pseudoalteromonas sp. NH-12를 마산만의 적조발생 해역에서 분리, 동정하고 그 특성과 살조 능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보다 환경 친화적인 적조 구제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적조발생 해역인 마산만의 해수에서 분리한 38개의 해양미생물 균주 중 4종의 미생물이 A.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에서 서식하고 있는 해양미생물을 이용하여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우리나라 연안에서 적조 및 마비성 패독을 일으켜 문제 시되고 있는 유독성 적조생물인 A. catenella에 대한 살조 효과를 밝혀 적조 구제법에 대한 기초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조란?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유해성 적조는 해양환경의 오염으로 발생빈도와 기간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역이 확대되어 막대한 피해를 일으키는 사회ㆍ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적조는 해수 중 증식촉진 물질의 과잉공급과 일사량, 수온 등 해양 환경이 적조생물의 성장조건에 알맞을 때 대량으로 번식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서(Kim et al., 2006), 적조생물은 호흡 및 사체 분해 시 수중의 용존산소를 소비하여 수중의 다른 생물의 생존을 저해하며(Kim et al.
우리나라에서 활용하고 있는 적조생물의 구제 또는 제거 방법 및 연구 현황은? 그러나 아직까지 적조를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의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90년대 후반부터 ‘황토 살포법’을 실시해 오고 있다. 자연에서 산출되는 황토가 다른 방법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을 중시하여 사용(Kim et al., 2006)하고 있지만, 황토에 의한 2차 오염 또한 새로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적조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하수 처리 시설의 확충이나 가두리 양식장의 시설을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만들어 부영양화의 원인을 줄이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이겠지만, 이 또한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이에 최근에는 적조 발생 해역에 존재하는 해양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다 안전하고 환경친화적인 적조 제 어법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보고된 적조생물에 대한 살조미생물의 연구에 있어서 A.
적조생물이 초래하는 생태계의 문제는? 적조는 해수 중 증식촉진 물질의 과잉공급과 일사량, 수온 등 해양 환경이 적조생물의 성장조건에 알맞을 때 대량으로 번식하여 발생하는 현상으로서(Kim et al., 2006), 적조생물은 호흡 및 사체 분해 시 수중의 용존산소를 소비하여 수중의 다른 생물의 생존을 저해하며(Kim et al., 1997), 유해물질 및 독소를 분비하여 어패류를 폐사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적조생물의 일부는 어패류를 독화시키는 종이 있어, 이 독화된 패류를 사람이 섭취하면 마비성ㆍ설사성 중독을 일으켜 사람의 건강까지도 위협하고 있어 사회ㆍ경제적으로도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Park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ordova, J.L., Muller, I., 2002. Use of PCR and partial sequencing of the large-subunit rRNA gene to identify Alexandrium catenella (Dinophyceae) from the south of Chile, Harmful Algae 1, 343-350. 

  2. Cottrell, M.T., Suttle, C.A., 1993. Production of axenic cultures of Micromonas pusilla (Prasinophyceae) using antibiotics, J. Phycol. 29, 385-387. 

  3. Doucette, G.J., McGovern, E.R, Babinchak, J.A., 1999. Algicidal bacteria active against Gymnodinium breve (Dinophyceae). I. Bacteri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lling activity, J. Phycol . 35, 1447-1454. 

  4. Droop, M.R., 1967. A procedure for routine purification of algae cultures with antibiotics, Brit. Phycol. Bull . 3, 295-297. 

  5. Dunbar, J., Ticknor, L.O., Kuske, C.R., 2000. Assessment of microbial diversity in four Southwestern United States soils by 16S rRNA gene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66, 2943-2950. 

  6. Fontana, D.A., Haug, A., 1982. Effects of sodium chloride of the plasma membrane of halotolerant Dunaliella primoecta : an electron spin resonance study, Arch. Microbiol. 131, 184-190 

  7. Gerhardt, P., Murray, R.G., Costilow, E.R.N., Nester, E.W., Wood, W.A., Krieg, N.R., Phillips, G.B., 1981. Manual of method for general bacteriology , pp. 135-154, 1st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USA. 

  8. Guillard, R.R.L., Ryther, J.H., 1962. Studies of marine planktonic diatoms. 1. Cyclotella nana (HUSTEDT), and Detonula confervacea (CLEVE) GRAN, Can. J. Microbiol . 8, 229-239. 

  9. Imai, I., Ishida, Y., Hata, Y., 1993. Killing of marine phytoplankton by a gliding bacterium Cytophaga sp., isolated from the coastal sea of Japan, Mar. Biol. 116, 527-532. 

  10. Imai, I., Ishida, Y., Sakaguichi, K., Hata, Y., 1995. algicidal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northern Hiroshima bay, Japan, Fisher. Sci. 61, 628-636. 

  11. Jeong S.Y., Ishida, K., Ito, Y., Okada, S., Murakami, M., 2003. Bacillamide, a novel algicide from the marine bacterium, Bacillus sp. SY-1, against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Tetra. Lett. 44, 8005-8007. 

  12. Jeong, S.Y., Park, Y.T., Lee, W.J., 2000.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III. Algicidal effects of marine bacterium, Micrococcus sp. LG-5 against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J. Korean Fish. Soc. 33, 331-338. 

  13. Kamikawa, R., Nagai, S., Hosoi-Tanabe, S., Itakura, S., Yamaguchi, M., Uchida, Y., Baba, T., Sako, Y., 2007. Application of real-time PCR assay for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cysts from marine sediments, Harmful Algae 6, 413-420. 

  14. Kim, C.H., 1995. Paralytic shellfish toxin profiles of dinoflagellate Alexandrium species isolated from benthic cysts in J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 364-372. 

  15. Kim, H.G., 1997. Recent harmful algal blooms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Korea, Ocean Res . 19, 185-192. 

  16. Kim, K.Y., Kim, C.H., 2004. A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n Korean Alexandrium catenella and A. tamarense isolates (Dinophyceae) based on the partial LSU rDNA sequence data, Hangug Haeyang Haghoeji 39, 163-171. 

  17. Kim, M.C., Yu, H.S., Ok, M.S., Kim, C.H., Chang, D.S., 1999. The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algicidal bacteria in Chindong Bay, J. Korean Fish. Soc. 32, 359-367. 

  18. Kim, P.G., Park, M.E., Sung, K.Y., Jang, Y.N., 2006. A study of removal property of harmful algal blooms by Hwangto and oriental mineral medicines, J. Miner. Soc. Korea 19, 277-289. 

  19. Kim, Y.S., Jeong, S.Y., Lee, S.J., Lee, W.J., 2009.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achybacterium sp. SY-97 killing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J. Environ. Sci. 18, 435-443. 

  20. Kwak, S.K., Choi, M.Y., Cho, K.J., 2001. Distribution and occurrence frequency of red-tide causing flagellates in the Masan-Jinhae Bay, Algae 16, 315-323. 

  21. Lee, H.O., Lee, N.W., Katano, T., Han, M.S., 2006. Growth characteristics for toxic marine dinoflagellate Alexandrium catenella isolated from Jinhae Bay,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4, 147-154. 

  22. Lee, S.O., Kato, J., Takiguchi, N., Kuroda, A., Ikeda, T., Mitsutani, A., Ohtake, H., 2000. Involvement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in algicidal activity of the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strain A28, Appl. Environ. Microbiol. 66, 4334-4339. 

  23. Lovejoy, C., Bowman, J.P., Hallegraeff, G.M., 1998. Algicidal effects of a novel marine Pseudoalteromonas isolate (class Proteobacteria, gamma subdivision) on harmful algal bloom species of the genera Chattonella , Gymnodinium, and Heterosigma, Appl. Environ. Microbiol. 64, 2806-2813. 

  24. MacFaddin, J.F., 1980.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 pp. 36-308, 2nd ed. Williams and Wilkins Co., Baltimore, USA. 

  25. Mayali, X., Azam, F., 2004. Algicidal bacteria in the sea and their impact on algal blooms, J. Eukaryot. Microbiol. 51, 139-144. 

  26. Mitsutani, A., Yamasaki, I., Kitaguchi, H., Kato, J., Ueno, S., Ishida, Y., 2001. Analysis of algicidal proteins of a diatom-lytic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strain A25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Phycologia 40, 286-291. 

  27. Park, Y.T., Park, J.B., Chung, S.Y., Song, B.C., Lim, W.A., Kim, C.H., Lee, W.J., 1998. Isolation of marine bacteria killing red tide microalgae, 1. Isolation and algicidal properties of Micrococcus sp. LG possessing killing activity for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Bull. Korean Fish. Soc. 31, 767-773. 

  28. Porter, K.G., Feig, Y.S., 1980. The use of DAPI for identifying and counting aquatic microflora, Limnol. Oceanogr. 25, 943-848. 

  29. Sakata, T., Fujita, Y., Yasumoto, H., 1991. Plaque formation by algicidal Saprospira sp. a lawn of Chaetoceros ceratosporum, Nippon Suisan Gakkaishi 56, 1147-1152. 

  30. Sambrook, J., Fritsch, E.F., Maniatis, T.,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 pp. 25-28, 2nd 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ew York, N.Y., USA. 

  31. Skerratt, J.H., Bowman, J.P., Hallegraeff, G.M., James, S., Nichols, P.D., 2002. Algicidal bacteria associated with blooms of a toxic dinoflagellate in a temperate Australian estuary, Mar. Ecol. Prog. Ser. 244, 1-15. 

  32. Sommer, H., Meyer, K.F., 1937.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Arch. Path. 24, 560-598. 

  33. Su, J.Q., Yang, X.R., Zheng, T.L., Tian, Y., Jiao, N.Z., Cai, L.Z., Hong, H.S., 2007a.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rine algicidal bacterium against the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Harmful Algae 6, 799-810. 

  34. Su, J.Q., Yang, X.R., Zheng, T.L., Hong, H.S., 2007b. An efficient method to obtain axenic cultures of Alexandrium tamarense -a PSP-producing dinoflagellate, J. Microbiol. Meth. 69, 425-430. 

  35. Su, J.Q., Yang, X.R., Zhou, Y.Y., Zheng, T.L., 2011. Marine bacteria antagonistic to the harmful algal bloom species Alexandrium tamarense (Dinophyceae), Biol. Control 56, 132-138. 

  36. Taga, N., 1968. Some ecological aspects of marine bacteria in the KuroShio current, Bull. Misaki. Mar. Biol. Inst. Kyoto Univ. 12, 65-76. 

  37.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38. Wang, B.X., Yang, X.R., Lu, J.L., Zhou, Y.A., Su, J.Q., Tian, Y., Zhang, J., Wang, G.H., Zheng, T.L., 2012. A marine bacterium producing protein with algicidal activity against Alexandrium tamarense, Harmful Algae 13, 83-88. 

  39. Wang, X.L., Gong, L.Y., Liang, S.K., Han, X.R., Zhu, C.J., Li, Y.B., 2005. Algicidal activity of rhamnolipid biosurfactants produced by Pseudomonas aeruginosa, Harmful Algae 4, 433-443. 

  40. Yoshinaga, I., Kawai, T., Ishida, Y., 1997. Analysis of algicidal ranges of the bacteria killing the marine dinoflagellate Gymnodinium mikimotoi isolated from Tanabe Bay, Wakayama Pref., Japan, Fisher. Sci. 63, 94-98. 

  41. Yoshinaga, I., Kawai, T., Takeuchi, T., Ishida, Y., 1995.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of bacteria inhibiting the growth of a marine red tide phytoplankton Gymnodinium mikimotoi in Tanabe Bay (Wakayama Pref., Japan), Fisher. Sci. 61, 780-786. 

  42. Yoshinaga, I., Kim, M.C., Katanozaka, N., Imai, I., Uchia, A., Ishia, Y., 1998. Population structure of algicidal marine bacteria targeting Heterosigma akashiwo (Raphidophyceae) through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f the bacterial 16S ribosomal RNA genes, during H. akashiwo red tide, Mar. Ecol. Prog. Ser. 170, 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