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PN의 몰드-인-칼라 수지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Nylon6/Ionomer Semi IPN for Molded-In-Color Compound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4, 2012년, pp.407 - 412  

이재훈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과) ,  황진택 (만도신소재(주)) ,  강호종 (광에너지소재연구센터 단국대학교 고분자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lded-in-color(MIC) 수지로 사용 가능한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nterpenetrating network(IPN)의 물성을 기존 MIC 수지인 나일론6/이오노머 블렌드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나일론6/이오노머 semi IPN은 분자 수준의 믹싱인 IPN 구조를 가져 블렌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개선된 homogeneous 형태학적 구조를 가짐에 따라 내스크래칭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semi IPN 구조는 나일론6의 결정화 속도를 감소시키며 용융점도의 증가 그리고 점도의 온도 의존성을 감소시켜 블렌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MIC용 사출 가공 특성이 우수해짐을 예측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of nylon6/ionomer semi interpenetrating networks (IPN) as a molded-in-color (MIC) compound had been studied, and comparison was made with nylon6/ionomer blends. Nylon6/ionomer semi IPN shows better homogeneity in phase morphology than nylon6/ionomer blend, and it caused better an...

주제어

참고문헌 (19)

  1. R. P. Saltman, U. S. Patent 5,091,478 (1992). 

  2. K. Ogiso and H. Mukai, U. S. Patent 5,800,912 (1998). 

  3. Y. Kazuhisa, K. Daisuke, and K. Akihikoc, Japanese Patent 308441 (1989). 

  4. S. Kuniyuki, K. Matsuji, N. Masakazu, and M. Masamichi, Japanese Patent 301748 (1989). 

  5. M. Toshiki and O. Kazuhisa, Japanese Patent 255842 (1990). 

  6. S. C. Feinberg, U. S. Patent 6,756,443 B2 (2004). 

  7. C. J. Talkowski, U. S. Patent 5,866,658 (1999). 

  8. S. C. Feinberg, C. J. Talkowski, and K. C. Andersen, U. S. Patent 7,144,938 B1 (2006). 

  9. C. W. Lin, Y. F. Huang, and A. M. Kannan, J. Power Sources, 164, 449 (2007). 

  10. D. L. Siegfried, D. A. Thomas, and L. H. Sperline, U. S. Patent 4,468,499 (1984). 

  11. D. Klempner, L. H. Sperling, and L. A. Utracki,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4. 

  12. T. Hong, J. Hwang, and H. Kim, Korea Patent 0081493 (2010). 

  13. T. Hong, J. Hwang, and H. Kim, Korea Patent 0049345 (2010). 

  14. T. Hong, J. Hwang, and H. Kim, Korea Patent 0049362 (2010). 

  15. T. Hong, J. Hwang, and H. Kim, Korea Patent 0049347 (2010) 

  16. X. F. Lu and J. H. Hay, Polymer, 42, 9423 (2001). 

  17. M. Joshi, B. S. Butola, G. Simon, and N. KuKaleva, Macromolecules, 39, 1839 (2006). 

  18. K. C. Cho, B. H. Lee, K. M, Hwang, H. S. Lee, and S. J. Lee, Polym. Eng. Sci., 38, 1969 (1998). 

  19. K. S. Cole and R. H. Cole, J. Chem. Phys., 9, 341 (19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