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목재성질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hanges in Wood Properties by Gamma Irradiation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4, 2012년, pp.229 - 236  

윤민철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병수 (한국임업진흥원) ,  김익주 (경담연구소) ,  최종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가 소나무(Pinus densiflrora), 느티나무(Zelkovas serrenata), 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의 세포벽 열화, 셀룰로오스 결정화도, 휨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목재 시편들을 100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 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 결과, 목재 세포벽 열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휨 강도 역시 현저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셀룰로오스 결정화도 역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감마선에 대한 목재의 높은 안전성은 감마선 조사 기술을 재질손상 없이 목재를 가해 중인 균류와 충류 구제를 위해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radiation on cell wall degradation, cellulose crystallinity, and flexural strength of Pinus densiflrora, Zelkova serrenata, and Paulownia tomentosa. By the gamma radiation at the dose up to 100 kGy, the cell wall degradation was not dete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의 부후균·해충의 구제를 통한 보전처리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목재유물의 주요 부재였던 소나무(Pinus densiflrora)와 느티나무(Zelkova serrenata)와 그리고 소형유물의 보관 상자 및 인테리어 부재로 사용되었던 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를 대상으로 감마선 조사에 대한 물성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 또한 정제된 구성 고분자 성분에 대한 감마선 조사의 영향은 목재 내에서의 영향과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재의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특성인 감마선 조사에 의한 셀룰로오스의 결정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00 kGy 선량의 감마선이 조사된 소나무 시편과 비 조사된 소나무 시편을 비교 분석하였다. 감마선이 조사된 소나무 시편과 조사되지 않은 소나무 시편의 X선 회절 분석 결과(Fig.
  •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의 대체 기술로서 감마선 조사 기술은 짧은 처리 시간, 높은 투과능, 비 잔존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마선 조사 기술을 목재의 구제․보전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마선에 대한 목재의 높은 안전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가 소나무(Pinus densiflrora), 느티나무(Zelkovas serrenata), 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의 세포벽 열화, 셀룰로오스 결정화도, 휨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목재 시편들을 100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 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관찰 결과, 목재 세포벽 열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휨 강도 역시 현저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셀룰로오스 결정화도 역시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감마선에 대한 목재의 높은 안전성은 감마선 조사 기술을 재질손상 없이 목재를 가해 중인 균류와 충류 구제를 위해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문화재, 건축, 가구, 집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천연 재료는 무엇인가? 목재는 문화재, 건축, 가구, 집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천연 재료이지만 재질의 특성상 미생물과 각종 곤충에 의한 열화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목조건축물은 그 재료, 형태, 입지조건에 따라 내구수명 제한이 있으며 보수 보강이 항상 뒤따라야 한다.
재료로서 목재의 단점은? 목재는 문화재, 건축, 가구, 집기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 천연 재료이지만 재질의 특성상 미생물과 각종 곤충에 의한 열화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목조건축물은 그 재료, 형태, 입지조건에 따라 내구수명 제한이 있으며 보수 보강이 항상 뒤따라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광훈. 2009. 목조문화재의 생물피해 방제기술 개발. 국립문화재연구소 용역연구사업 연구결과 보고서. pp. 3-6. 

  2. Adamo, M., M. Brizzi, G. Magaudda, G. Martinelli, M. Plossi-Zappala, F. Rocchetti, and F. Savagnone. 2001. Gamma radiation treatment of paper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Chemical, phys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is. Restaurator. 22:107-131. 

  3. Antoine, R. C., T. Avella, and J. C. Van Eyseren. 1971. Studies of wood treated by high doses of gamma-irradiation. IAWA Bull. 1971/4: 11-14. 

  4. Bouchard, J., M. Methot, and B. Jordan. 2006. The effect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cellulose of woodfree paper. Cellulose 13: 601-610. 

  5. Bull, D. C. 2000. The chemistry of chromated copper arsenate. I. characterisation of timber treatment plant chemical sludge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4(5): 367-376. 

  6. de Lhoneux, B., R. Antoine, Cote, and W. A. 1984. Ultrastructural implications of gamma-irradiation of wood. Wood Science and Technology 18(3):161-176. 

  7. Fengel, D., H. Jakob, C. Strobel. 1995. Influence of the alkali concentration on the formation of cellulose II. Study by X-ray diffraction and FTIR spectroscopy. Holzforschung 49(6): 505-511 

  8. Frazier, W. C. 1988. Food Microbiology, 4th edn. McGraw Hill. New York. p. 539. 

  9. Gonzalez, M. E., A. M. Calvo, and E. Kairiyama. 2002. Gamma radiation for preservation of biologically damaged paper.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63: 263-265. 

  10. Goto, T., H. Harada, and H. Saiki. 1974. Fine structure of gamma irradiated tracheid wall in Picea abies. Bull. Kyoto Univ. For. 46: 153-161 

  11. Hanus, J. 1985. Gamma radiation for use in archives and libraries. Abbey Newsletter 9(2): 34-36. 

  12. Hirai, N., M. Date, and E. Fukada. 1968. Studies on piezoelectric effect of wood II. Modification of Crystal Structure. Mokuzai Gakkaishi 14(5): 252-256. 

  13. Isogai, A and M. Usuda. 1990. Crystallinity indexes of cellulosic materials. Sen'i Gakkaishi 46: 324-329. 

  14. Karpov, V. L., Y. M. Malinsky, V. I. Serenkov, R. S. Klimanova, and A. S. Freidin. 1960. Radiation makes better woods and copolymers. Nucleonics 18: 88-90. 

  15. Lindgren R. M and W. E. Eslyn. 1961. Biological deterioration of pulpwood and pulp chips during storage.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44: 419-429. 

  16. Murayama, T. 1963. Studies on radiation treatment of wood and wood substance. Mokuzai Kohgyo 18: 69. 

  17. O'Brien, R. D. and L. S. Wolfe. 1964. Radiation, Radioactivity, and Insects. Academic Press. New York. p. 211. 

  18. Pointing, S. B., E. B. G. Jones, and A. M. Jones, 1998. Decay prevention in water logged archaeological wood using gamma irradiation.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42(1): 17-24. 

  19. Raczkowski, J. and E. Fabisiak. 1987. Effect of gamma radiation on shear strength of pine wood. Holzforschung und Holzverwertung 39(6): 145-148. 

  20. Siau, J. F. and J. A. Meyer. 196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heat- and radiation- cured wood polymer combination. Forest Products Journal 16: 47-56. 

  21. Schenzel, K., S. Fischer, and E. Brendler. 2005. New Method for determining the degree of cellulose I crystallinity by means of FT Raman spectroscopy. Cellulose 12: 223-231. 

  22. Sokira, A. N. and T. P. Belasheva. 1992. Effect of gamma-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viscose celluloses. Fibre Chemistry 24(1): 63-66. 

  23. Tomazello, M. G. C. and F. M. Wiendl. 1995. The applicability of gamma radiation to the control of fungi in naturally contaminated paper. Restaurator 16: 93-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