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ol-Gel법에 의한 Li1+xAlxTi2-x(PO4)3 (x = 0, 0.3, 0.5)의 합성 및 전도특성
Synthesis and Conductive Properties of Li1+xAlxTi2-x(PO4)3 (x = 0, 0.3, 0.5) by Sol-Gel Method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2 no.7, 2012년, pp.346 - 351  

문정인 (배재대학교 대학원 재료공학과) ,  조홍찬 (큐슈공업대학 응용화학과) ,  송정환 (배재대학교 정보전자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_{1+x}Al_xTi_{2-x}(PO_4)_3$(LATP) is a promising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state Li ion batteries. In this study, LATP is prepared through a sol-gel method using relatively the inexpensive reagents $TiCl_4$. The thermal behavior, structural characteristics, fracture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분말을 220 MPa의 일축가압성형으로 13 mmΦ 크기의 디스크 형태로 성형체를 만들고, 4℃/min의 승온속도로 900~ 1000℃까지 승온시킨 후, 각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소결 하여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다른 Al 함량에 따라 제조된 Li1+xAlxTi2-x(PO4)3(x = 0, 0.3, 0.5) (LATP)에 대한 소결체의 소결밀도는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였다. Li1+xAlxTi2-x(PO4)3를 제조하기 위한 sol-gel 합성법의 공정도를 Fig.
  • 다른 Al의 함량을 가지는 LATP 를 각각 900℃와 1000℃에서 소결하여 얻어진 분말의 결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ometer(D1w,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측정(CuKα, 2°/min, 2θ = 20~80°) 하였다.
  • 특히 Ti계 출발원료를 비교적 저렴한 TiCl4 원액을 희석시켜 안정한 TiOCl2의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Al의 첨가량에 따른 전도도의 향상 및 전도특성에 대해 복소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 각각의 소결온도와 Al 함량에 따른 소결체의 소결밀도는 겉보기 밀도를 측정 하여 Table 1에 정리하였다. 또한 Fig. 4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 소결체의 파단면을 FE-SEM 이미지로 관찰하여 입자크기 및 치밀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 의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해 저온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Li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또한 M의 자리에 Al을 이용하여 첨가량에 따른 전도도의 향상 및 전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복소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 소결체 파단면의 형상 및 치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FE-SEM(Sirion, FEI, Netherland)을 이용 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소결밀도와 이온 전도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온 전도도 측정용 시편은 소결체의 양면을 연마 후, Au 페이스트로 코팅하여 8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였다.
  • 다른 Al의 함량을 가지는 LATP 를 각각 900℃와 1000℃에서 소결하여 얻어진 분말의 결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ometer(D1w,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측정(CuKα, 2°/min, 2θ = 20~80°) 하였다. 소결체 파단면의 형상 및 치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FE-SEM(Sirion, FEI, Netherland)을 이용 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소결밀도와 이온 전도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이 분말을 220 MPa의 일축가압성형으로 13 mmΦ 크기의 디스크 형태로 성형체를 만들고, 4℃/min의 승온속도로 900~ 1000℃까지 승온시킨 후, 각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소결 하여 소결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된 전구체 분말은 열중량 및 시차열분석(TG-DTA, MAC-2000, Japan)을 이용하여 합성되는 분말의 대략적인 하소온도의 결정, 시료의 온도증가에 따른 무게 감량 및 열분해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000℃까지 10℃/min의 승온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적 하소온도를 결정하였다. 다른 Al의 함량을 가지는 LATP 를 각각 900℃와 1000℃에서 소결하여 얻어진 분말의 결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X-ray diffractometer(D1w,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측정(CuKα, 2°/min, 2θ = 20~80°) 하였다.
  • 이온 전도도는 HIOKI의 3532-50 LCR meter의 복소임피던스를 이용한 교류 2단자법으로 실온에서 300℃까지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1 V로 하여 주파수 50 Hz에서 5 MHz까지 측정하여 각 소결온도에서 제조된 소결체들의 저항을 얻었고 이것을 가지고 계산하여 이온 전도도를 얻었다.

대상 데이터

  • 먼저 출발원료인 Ti 전구체 용액을 만들기 위해 TiCl4 (99.0%, Yakuri Chem. Co.) 원액을 사용하였다. TiCl4 원액은 상온 이상에서 물과의 반응하여 비정질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염산 가스를 발생시키는 발열 반응을 일으킨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TiCl4 원액을 희석시켜 안정한 TiOCl2의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Li1+xMxTi2-x(PO4)3의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해 저온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Li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또한 M의 자리에 Al을 이용하여 첨가량에 따른 전도도의 향상 및 전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복소임피던스를 측정하였다.
  • TiCl4 원액은 상온 이상에서 물과의 반응하여 비정질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염산 가스를 발생시키는 발열 반응을 일으킨다. 이런 반응열을 충분히 제거하기 위해 얼음물에 희석과 동시에 교반하면서 노란색의 침전물을 포함한 용액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노란색의 침전물 용액에 증류 수를 다시 첨가하여 맑고 투명하며 실온에서 안정한 2 M의 TiOCl2 수용액을 제조하여 Ti 전구체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2 M TiOCl2 수용액을 기준으로 화학양론 비에 맞추어 (NH4)H2PO4(99.
  • 이렇게 제조된 2 M TiOCl2 수용액을 기준으로 화학양론 비에 맞추어 (NH4)H2PO4(99.0%, Junsei), LiNO3(99.95%, Kanto Chem. Co.), Al(NO3)3·9H2O(99.9%, Wako)의 출발원료를 각각 50 ml 증류수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만들었다.
  • 시스템을 간편한 저온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합성하였다. 특히 Ti계 출발원료를 비교적 저렴한 TiCl4 원액을 희석시켜 안정한 TiOCl2의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Al의 첨가량에 따른 전도도의 향상 및 전도특성에 대해 복소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이론/모형

  •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processing steps for the synthesis of Li1+xAlxTi2-x(PO4)3 - disc by sol-gel method.
  • 고체전해질로서의 응용을 살펴보기 위해, Li1+xAlxTi2-x(PO4)3 소결체의 이온 전도도는 복소임피던스법으로 평가하였다. Al 함량에 따른 LATP 소결체에 대해 상온에서 측정한 복소임피던스 패턴을 Fig.
  • 본 연구에서는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로 사용될 수 있는 능면체 결정구조를 Li1+xAlxTi2-x(PO4)3 시스템을 간편한 저온 합성법인 sol-gel법으로 합성하였다. 특히 Ti계 출발원료를 비교적 저렴한 TiCl4 원액을 희석시켜 안정한 TiOCl2의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 이온 전도도 측정용 시편은 소결체의 양면을 연마 후, Au 페이스트로 코팅하여 85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였다. 이온 전도도는 HIOKI의 3532-50 LCR meter의 복소임피던스를 이용한 교류 2단자법으로 실온에서 300℃까지 측정하였다. 측정조건은 1 V로 하여 주파수 50 Hz에서 5 MHz까지 측정하여 각 소결온도에서 제조된 소결체들의 저항을 얻었고 이것을 가지고 계산하여 이온 전도도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계 출발원료인 Ti 금속 및 금속 알콕사이드는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Ti계 출발원료는 주로 Ti 금속 및 금속 알콕사이드를 이용한다.16,17) 하지만, Ti 금속은 용해시키는데 장시간이 필요하고, 금속 알콕사이드는 가격이 비싸고 수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취급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sol-gel법은 어떠한 기술인가? Li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해 mechanical activation,4,12,13) 구연산법,14) sol-gel법15-17)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 중, sol-gel법은 저온에서 다성 분의 산화물을 합성하는데, 균일하고 작은 입자크기의 분말을 만드는데 매우 적절한 기술이다.18) Sol-gel법은 Li계 고체전해질을 합성하는데 유망하다고 연구되고 있다.
기존에 Na+ 도전체인 NASICON은 어디에 이용되는가? 1,2) 또한 이온 선택성 전극용의 membrane으로서 높은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에 Na+ 도전체인 NASICON은 Na 기전력 측정식 이온 membrane 센서에 이용되고 있다.3) NASICON계의 구조를 가지는 AxMex(PO4)3(A: alkali 또는 alkaline-earth metal, Me: transition metal) 시스템은 우수한 이온 전도성, 높은 환원 준위(reduction potential), Li의 작은 원자 질량 때문에 높은 에너지밀도를 요구하는 Li 이차전지의 고체전해질 뿐만 아니라 전기화학 디바이스에서의 잠재적 응용을 위한 Li 이온 고체전해질의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 Knauth, Solid State Ionics, 180, 911 (2009). 

  2. T. Hiroo and T. Hitoshi, Mater. Trans., 53(5), 932 (2012). 

  3. P. Fabry, J. P. Gros. J. F. Million-Brodaz and M. Kleitz, Sensor. Actuator., 15, 33 (1988). 

  4. X. Xu, Z. Wen, X. Yang, J. Zhang and Z. Gu, Solid State Ionics, 177, 2611 (2006). 

  5. T. Iwahori, Y. Ozaki, A. Funahashi, H. Momose, I. Mitsuishi, S. Shiraga, S. Yoshitake and H. Awata, J. Power Sourc., 81-82, 872 (1999). 

  6. J. B. Bates, N. J. Dudney, B. Neudecker, A. Ueda and C. D. Evans, Solid State Ionics, 135, 33 (2000). 

  7. P. Maldonado-Manso, E. R. Losilla, M. Martinez-Lara, M. A. G. Aranda, S. Bruque, F. E. Mouahid and M. Zahir, Chem. Mater., 15, 1879 (2003). 

  8. J. Fu, J. Mater. Sci., 33, 1549 (1998). 

  9. H. Aono, E. Sugimoto, Y. Sadaoka, N. Imanaka and G. Adachi, J. Electrochem. Soc., 137, 1023 (1990). 

  10. K. Arbi, S. Mandal, J. M. Rojo and J. Sanz, Chem. Mater., 14, 1091 (2002). 

  11. J. S. Thokchom and B. Kumar, Solid State Ionics, 177, 727 (2006). 

  12. N. V. Kosova, E. T. Devyatkina, A. P. Stepanov and A. L. Buzlukov, Ionics, 14, 303 (2008). 

  13. H. Aono, E. Sugimoto, Y. Sadaoka, N. Imanaka and G. Adachi, J. Electrochem. Soc., 140, 1827 (1993). 

  14. X. Xu, Z. Wen, J. Wu and X. Yang, Solid State Ionics, 178, 29 (2007). 

  15. M. Cretin and P. Fabry, J. Eur. Ceram. Soc., 19, 2931 (1999). 

  16. X. M. Wu, J. L. Liu, S. Chen, M. Y. Ma and J. B. Liu, Ionics, 16, 827 (2010). 

  17. X. M. Wu, X. H. Li, Y. H. Zhang, M. F. Xu and Z. Q. He, Mater. Lett., 58, 1227 (2004). 

  18. C. J. Brinker and G. W. Scherer, Sol-gel Science: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 Processing, p. 745-786, Academic Press, Boston, USA (1990). 

  19. J. L. Narvaez-Semanate and A. C. M. Rodrigues, Solid State Ionics, 181, 1197 (2010). 

  20. J. Maier, Solid State Ionics, 131, 13 (2000). 

  21. J. Schoonman, Solid State Ionics, 135, 5 (2000). 

  22. P. Heitjans and S. Indris, J. Phys. Condens. Matter., 15, R125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